2025.04.18 (금)

  • 맑음동두천 17.3℃
  • 맑음강릉 19.6℃
  • 구름조금서울 18.3℃
  • 구름조금대전 20.1℃
  • 맑음대구 22.8℃
  • 맑음울산 20.7℃
  • 구름많음광주 18.6℃
  • 박무부산 14.9℃
  • 구름많음고창 18.7℃
  • 구름조금제주 19.2℃
  • 구름조금강화 11.5℃
  • 맑음보은 20.9℃
  • 구름조금금산 20.5℃
  • 구름많음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21.1℃
  • 맑음거제 16.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죽성리 왜성에 흐르는 민초들의 아픔을 보며

부산에서 송정해수욕장 입구를 지나 한 10분쯤 가다보면 기장군 사거리가 나온다. 이 사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멸치회로 유명한 대변항이 나오고, 왼쪽으로 가면 수산물로 유명한 기장 시장이 나온다.

여기서 조금만 더 위로 가면 오른 쪽으로 빠지는 샛길이 하나 있다. 한적한 이 샛길을 따라 자동차로 약 3분 쯤 가면 작은 어촌이 하나 나온다. 조용하면서도 평화로운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이 어촌이 바로 죽성리 라는 곳으로써, 전형적인 어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아름다운 곳이다.




마을 입구에 차를 세워놓고 천천히 걸어가다 보면 아담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죽성 초등학교가 나온다. 이 학교의 벤치에 앉아 가만히 눈을 감으면 바다에서 불어오는 갯내음과 뒷산에서 불어오는 풀 향이 결합된 냄새가 코끝을 스친다. 신선하면서도 깊은 맛을 지닌 향이 외로운 나그네의 마음을 심란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뒷산 정상에 있는 바윗돌 같은 것이 눈에 걸린다.

그래서 학교 운동장을 쓸고 있는 어르신에게 물어보니 대뜸 ‘왜놈들 성’이라고 하신다. 이게 무슨 말인가? 그래서 뒷산 정상을 자세히 보니 성곽의 형태가 어슴프레 눈에 들어왔다. 아, 이렇게 평화로운 곳에도 임진왜란의 상흔이 고스란히 남아 있구나. 갑자기 가슴이 막막해지기 시작했다.




정상에 올라가 표지판을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발발 다음 해인 1593년, 왜장 구로다나 가마사가 쌓은 성이라고 적혀 있다. 성벽은 3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이 만든 공간은 약 11,776평이다. 성벽은 장방형의 크고 작은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의 총 길이는 약 1km이며 높이는 4m정도이다.

전형적인 왜성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이 성은, 현존하는 왜성 중에서 보존 상태가 상당히 양호한 편에 속한다고 한다. 죽성리 왜성은 울산의 서생포성과 학성, 그리고 부산 성을 연결하는 중간 요충지 역할을 하는 성이었다.

죽성리 왜성은 기장군 지방에서는 유일하게 1963년도에 사적 제52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재는 사적에서 제외하다는 규정으로 방치되어 오다가 우여곡절 끝에 1997년에 부산시 기념물 제48호로 다시 지정되기도 했다.




현재 성 안은 공지로서 아무런 시설도 없으며 예전에 古기와 파편이 산재된 채로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지금은 그저 잡초만이 무성할 따름이며 성안의 면적도 많이 축소된 편이다. 임진왜란 때 소서 행장의 1군에 이어 2군을 이끌었던 가등 청정이 정유재란 때 죽성리 왜성에 잠시 주둔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기장현읍지에 보면 ‘왜성은 현에서 동녘으로 8리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 옛 두모포진에 왜가 건설하였다. 성은 견고하고 반원으로 통행하여 지나가도록 되어 있고 상하로 사닥다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일본 측에서는 이 성을 "기장 성"이라고 했고, 우리나라에서는 두모포 성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죽성리 성은 일본에게 대단한 전략적 요충지는 아니었던 모양이다. 남해안 일대의 왜성은 총 18곳이었는데, 정유재란 때까지 일본이 굳게 사수했던 성은 부산성과 가덕성 뿐이었다. 죽성리 왜성은 일본군이 전쟁 초기 잠시 체류했던 임시 군사기지에 불과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성의 전략적 위치가 어떠했든지 간에 일본군의 침략 흔적이 이렇게 작고 한적한 어촌에까지 남아 있는 걸 보니 그저 한탄스러울 뿐이다. 왜성에 올라서서 바라본 바다는 어찌 그리 푸른지. 오백년 전, 일본군이 이 평화로운 어촌을 침탈하였을 때도 저 바다는 여전히 푸른색이었을 것이다.

필자는 왜성에 쌓여 있는 돌들을 한참 쳐다보았다. 분명 저 돌들에는 당시 일본군의 채찍을 맞아가며 돌을 옮긴 우리나라 백성들의 숨결이 묻어 있을 것이다. 그 억울한 백성들의 원혼이 돌 틈 사이로 자꾸만 보이는 것 같아 필자는 서둘러 왜성을 빠져나와야 했다. 그리고 이 왜성의 흔적을 교훈삼아 우리 민족이 다시는 치욕의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기를 바래고 또 바래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