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마강 나루터에 세워진 조각품들의 향연
백마강 달빛에 어린 구드래. 그 이름도 낯설은 구드래는 과연 어떤 곳일까? 구드래는 굿뜨래라고도 하는데, 부여에 있는 부소산 서쪽 기슭 백마강가에 있는 나루터 일대를 말한다. 삼국유사에 보면 백제왕이 왕흥사에 갈 때, 사비수 언덕 바위에 올라 부처님에게 절을 하면 그 바위가 저절로 따뜻해져서 자온대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나온다. 구드래 혹은 굿뜨래란 지명은 여기에서 유래하는데, 방을 데우는 구들장을 뜻하는 것이다.

이 구드래는 백마강을 유람하는 황포돛단배의 선착장이 있는데, 이 선착장에서 황토돛배를 타고 백마강 일대의 고란사와 부소산성등을 둘러보는 코스가 있다. 외지에서 부여를 올 때, 처음 들르는 곳은 으례 구드래 공원이다. 즉, 구드래는 부여를 여행할 때 일종의 베이스캠프 역할을 하는 곳인 셈이다.

구드래 공원에 가면 두 가지 볼거리가 있다. 하나는 나루터 근처에 모여 있는 이름난 식당이고, 또 하나는 너른 잔디밭에 설치된 조각품들이다.

부여라는 고적한 옛날 풍경에 현대적인 조각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은 무척 이색적인 일이다. 구드래 조각공원에는 옛 백제인의 조각 기술을 이어받은 지역 출신 조각가의 작품 30점이 있다. 또한 지난 99년도에 개최된 국제 현대조각 심포지움에 참가한 국내외 유명 조각가의 작품 29점 등, 총 59점의 조각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백마강과 물새가 울고, 일엽편주 돛단배를 홀로 저어가는 사공’이란 글자가 새겨진 백마강 달밤 노래비가 세워진 조각공원에서 옛 정취와 함께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함께 감상하는 곳이 바로 구드래 조각공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