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이 군대를 입대하는 날 2009년 첫 출근을 출근했다. 인문계 고등학교의 특성상 방학중이지만 보충수업으로 여느 때와 같이 학교는 ‘푸른 신호 ON LINE‘ 이다. 컴퓨터를 켜니 화면에 뜨는 읽지 않는 메쎄지가 줄을 이었다. 그 중 신년인사 라는 파일로 교장 선생님께서 전송하신 쿨 메씬져가 띄었다. 직원 개인 개인에게 맞는 말씀으로 보내신 신년의 메씬져다. 직원들에게 자율적인 업무능력과 창의적 학습능력을 발휘하게 하시는 초우량적 지도성을 발휘하시는 교장선생님께서 보내신 신년편지는 마치 초등학교 다닐 때 학년말에 받는 생활통지표에 행동 발달상황 란에 나만을 위한 담임선생님의 말씀 내용을 읽고 또 읽던 것과도 같은 것이었다.
‘한 해 동안 수고 많았습니다. 한결같은 마음으로 더욱 애써 주시기 바랍니다. 강 너머 푸른 바람 송사리 회유하고 미려한 글 솜씨는 靈肉을 넘나들며 옥소리 구슬이 되어 무지개 위 구른다 새해에도 더욱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시오.‘
아들군대 보내는 맘이 울적하다고 하던데 겪려 말씀 때문일까? 긍정적 신념과 용기가 더욱 생긴다. 아들의 영장을 받던날 군 입대 날이 생각보다 당겨져서 “어? 친구들이랑 스키가자고 약속된 날인데... 그런데 여기가 더 재미 있겠다” 본인을 챙기기 보다 부모의 맘을 읽던 사려 깊은 아이를 생각하면 어떻게 울적하다 등의 기분으로 감상에 빠지겠는가? 멈추지 말고 이웃에 유익되게 살아 그 기운이 전해져서 더욱 성취하고 승리하는 아들 되게 하는 것이 부모 됨이 아닌가 한다.
더욱 애국심이 우려 나온다. 생활의 목표가 수정 되고 애국이란 구체적 실천이 뭔가를 생각하게 된다. 더욱 낮아져서 겸손을 실천하고 베풀어서 여유를 얻고 경쟁하여 혼자 걷는 대신 협력하여 함께 외롭지 않던, 양보다는 질적 가치를 추구하던 아들의 철학을 인정하고 실천 하는 거다.
주머니 속의 송곳처럼 숨겨지지 않는 사실이 있다. 아이를 최선으로 키워 국방에 나라를 지키는 일꾼으로 내보낼 수 있다는 것이 자부심과 자랑으로 와 닿는 사실이 말이다. 어쩔수없는 경우도 있겠지만 의도적으로 외국을 배회시키며 차별화하여 양육하고자 참다운 행진을 노치고 있는 병역기피 가족들 앞에 더 더욱 말이다.
아마도 올해는 근하신년의 메쎄지 처럼 건강하고도 행복해지며 더욱 삶이 깊어지고 성숙해질것 같은 예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