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대학의 문화는 어떤 것이 있을까. 낭만, 연애, 자유로움, 동아리, 축제, 취업, 학점, 아르바이트 등등. 대학 캠퍼스는 젊음이 있고 자유로움이 있는 곳이다. 대학 문화는 기성세대에게도 늘 그리움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대학의 이미지는 역시 공부하는 곳이다. 밤을 밝히고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모습이 대학 본래의 이미지다.
그러나 우리 대학은 공부하는 이미지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 가장 먼저 대학은 학생 중심의 수업이 왜곡되어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 대학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발표 수업은 지금의 대학 현실과 맞지 않다. 배울 것이 많은 학생들에게 무조건 발표만 종용하는 것은 내실 있는 수업이 아니다. 더욱 이러한 수업 행태가 서울의 명문 대학에서 지방의 대학까지 전국적으로 행해지고 있어 효과 면에서 의심이 간다.
조별 과제 수행도 그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 조별 과제 학습은 교과 중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극단적 개인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우리 대학에서의 조별 과제는 혼자 해도 충분한 경우가 많다. 특히 인문학 과제는 혼자 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조별 수행을 요구한다. 이공계 강의라도 학부 때는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실험 과정이 없기 때문에 조별 수행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대학생들은 자료 수집과 보고서 작성 등 억지로 역할을 나누어 실시한다. 심지어 조별 과제는 최종 결과물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일부 학생들은 아예 과제 준비에 참여하지 않고도 조원과 똑같은 학점을 받는다. 이러 이유로 학생들은 아예 공부를 하지 않는다.
대학의 방학도 고려해야 할 대상이다. 과거에 먹고 노는 대학생이라는 말이 있었듯이 대학의 방학은 꽤 길다. 그러나 이렇게 방학이 길어야 할 이유가 없다. 시대와 환경이 변했다. 과거에는 대학생은 알아서 공부하는 시대였지만, 책임 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이 방학을 이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 흔한 과제도 없이 긴 방학을 즐기는 대학은 학문의 전당의 모습이 아니다.
지방 대학은 신입생이 점점 줄어서 위기라고 한다. 대학이 변하지 않고 습관처럼 학생을 가르치는 데에 따른 당연한 결과다. 서울대학교와 전국의 지방 대학까지 모두 똑같은 교육과정으로 학사 일정까지 흉내 내고 있다면 지방 대학의 미래는 더 어두워진다. 자기 대학만의 시스템을 만들고 공부시키는 대학으로 변모해야 성장 동력이 살아난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힘들고 치열한 경쟁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다. 그러다보니 입학하기 위해 노력했던 지난날의 세월을 보상받으려는 듯 대학에 오면 낭만만 쫓아다닌다. 고등학교에서는 입시 준비만 했다면, 대학에서는 본인의 평생을 준비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밀도 있는 대학 교육은 개인의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서는 국가의 인재를 기르는 시스템이다.
언제부턴지 대학은 논문 한 편도 안 쓰고 졸업을 할 수 있다. 취업 걱정을 한다고 학생들에게 후한 학점을 준다. 느슨한 학사 관리로 학생들은 대리 출석을 하고, 보고서(report)는 베껴서 제출한다. 햇수만 지나면 대학 졸업장을 받는다. 대신 학생들은 취직을 위한 공부를 하고 각종 고시 준비에만 시간을 쏟고 있다. 한 마디로 공부하는 것 같지만,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다.
대학은 자기만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창출해야 한다. 대학은 매년 재학생과 등록금 갈등을 겪는다. 학부모와 재학생은 대학이 어떠한 변화도 보여주지 못하면서 계속 높은 수업료를 요구하고 있다고 아우성이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대학이 질 높은 교육시스템을 제공하는 길뿐이 없다. 또한 정부도 역할이 있다. 정부는 대학교와 전문대학의 교육역량 강화 사업에 연간 5천억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예산이 확보되었다고 무턱대고 집행 할 것이 아니라, 대학이 본래의 역할과 사명을 다하도록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데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도 자기 전공에 대해 심도 있는 학습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대학생으로서 창조적인 정신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창조적인 정신을 통해 능력을 키우는 것이 대학생의 자세이다. 과거의 지식을 그대로 암기하고 배우는 것은 이제 지양해야 한다.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기 위해,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자세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