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껍데기’와 ‘껍질’

‘껍데기’와 ‘껍질’은 퀴즈 프로그램에도 자주 나오던 것이다. 즉 ‘조개껍질 묶어 그녀의 목에 걸고~’라는 노래를 두고, 텔레비전 퀴즈 프로그램에서, ‘조개껍질’은 틀리고, ‘조개껍데기’가 맞는 것이라고 했다. 이뿐인가 이는 학교 시험 문제에서도 자주 출제되었다.

실제로 ‘껍데기’와 ‘껍질’을 사전으로 검색하면, 이 말이 맞기도 하다. 표준국어대사전에,

‘껍데기’는
1.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
- 달걀 껍데기를 깨뜨리다.
2.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
- 이불의 껍데기를 갈다.
- 베개 껍데기를 벗겼다.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
- 귤의 껍질을 까다.
- 양파의 껍질을 벗기다.
- 이 사과는 껍질이 너무 두껍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달걀, 굴, 호두’는 모두 겉을 싸고 있는 것이 단단한 물질이니, ‘달걀 껍데기, 굴 껍데기, 호두 껍데기’라고 한다. 반면 ‘사과, 귤, 바나나’는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으니, ‘사과 껍질, 귤껍질, 바나나 껍질’이 자연스럽다. 이런 논리로 접근하면 노랫말의 ‘조개껍질’은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이므로, ‘조개껍데기’가 맞는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아울러 사전에도 이러한 언어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우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조개껍데기’와 ‘조개껍질’이 모두 실려 있다.

‘조개껍데기’
조갯살을 겉에서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
- 조개껍데기를 활용해 예쁜 목걸이를 만들었다.

‘조개껍질’
조개껍데기.
- 회현리 패총은 가야시대 사람들도 먹고 남긴 조개껍질로 쌓아 만들었으며 그 높이가 굉장히 높다.

표준국어대사전뿐만이 아니라, 한글학회 발행 ‘우리말 큰사전’에도 ‘조개껍질’은 ‘조가비’와 같은 말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쯤 되면, 무턱대고 ‘조개’는 겉을 싸고 있는 물질이 단단하기 때문에 ‘조개껍데기’만 바른 표현이라고 하는 것은 궁색하다.
이에 비해 다음과 같은 경우는 명백한 오류다.

○ 그 역시 김밥과 풀빵, 뻥튀기, 과일 등을 팔며 고학으로 경북 포항 동지상고 야간부를 졸업했다. 그는 이 시기를 “귤 껍데기처럼 우리 대가족에게 들러붙은 가난은 내가 스무 살이 넘어서도 떨어질 줄 몰랐다.”라고 회상하기도 했다.
○ 껍질을 깨는 아픔 없이는 국가이익도 없다.
○ 새 생명의 역사를 위해 껍질을 깨는 변화와 개혁의 아픔을 통과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귤 껍데기’는 ‘귤껍질(이는 한 단어로 취급한다. 따라서 붙여 쓴다.)’로 써야 한다. 뒤의 표현도 일반적으로 많이 쓰고 있는데 잘못되었다. ‘껍데기’는 깰 수 있지만, ‘껍질’은 깨는 게 이상하다. 벗는다고 해야 바른 표현이다.

하나 더, ‘돼지 껍질’과 ‘돼지 껍데기’를 혼용해서 쓰고 있는데, 이 현상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여기서도 ‘껍질’이라는 사전적 의미에만 집착하면 ‘돼지 껍질’만이 바른 표현이다. 그리고 우리 속담에 ‘껍질 상치 않게 호랑이를 잡을까.(호랑이 가죽이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힘들여 애써야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껍질 없는 털이 있을까(바탕이 있어야 그 위에 무엇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말.)’처럼, 동물의 표피는 ‘껍질’로 쓰니 당연히 ‘돼지 껍질’이라고 쓴다.

그런데 이 또한 그렇게 간단하게 정리할 문제가 아니다. 현실적으로 ‘돼지 껍질’과 함께 ‘돼지 껍데기’도 많이 쓰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만이 아니다. ‘굴 껍질/굴 껍데기, 나무 껍질/나무 껍데기, 소라 껍질/소라 껍데기, 호두 껍질/호두 껍데기’도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고 있다.

이처럼 ‘껍질’과 ‘껍데기’의 표현이 동시에 가능한 경우는 생물이다. 이들은 외피가 모두 단단하고 두껍다. 이들의 경우 본체와 붙어 있을 때에는 ‘-껍질’이라고 하다가 본체에서 분리된 다음에는 ‘-껍데기’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돼지 껍데기’도 이러한 의식의 작용으로 사용하게 된 단어이다.

반면 ‘감자 껍질, 밤 껍질, 사과 껍질, 양파 껍질, 참외 껍질’과 ‘이불 껍데기, 베개 껍데기, 과자 껍데기’는 ‘-껍질’과 ‘-껍데기’의 결합이 분명하다.
여기에서도 규칙성이 발견된다. 우선 ‘-껍질’과 강한 결합력을 나타내는 단어는 내용물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내용물은 대부분 생물로 본래의 것에 붙어 있어서 떼어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껍데기’는 내용과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단어에 붙어 있다. 그리고 ‘-껍데기’가 붙은 단어는 모두 무생물이다.

사정이 이렇다면 ‘-껍질’과 ‘-껍데기’를 기계적으로 대입하는 것은 위험한 사고다. 사전에 이미 이러한 현상까지 반영해서 표제어로 올려놓았는데도 학교에서 경직된 문법적 사고를 보이는 사례가 있다. 언중의 현실을 반영한 교육 내용이 있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