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에서는 ‘영어 수업 잘하는 교사 만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 ‘영어우수 교사 인증제’를 실시하여 영어 교사의 수업력을 향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교사들로 하여금 수업 연구에 매진하도록 한다. 많은 연구비를 지급하고 승진 가산금, 인사상 부가점을 부여하기로 각 시교육청별로 세부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영어로 수업을 잘하는 교사가 늘어나고 따라서 학생들의 영어 사용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면 과연 이러한 제도를 통하여 얼마나 많은 효과가 있을까? 진정으로 현장 교사들의 수업 능력을 제고하기 방안은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점은 수업을 보는 ‘관점’이다. 어떤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보아야 하는가?라는 점이다. 흔히 말하는 ‘잘 연습된 수업’, 잘 꾸며진 수업‘을 가지고 잘 된 수업이라 한다면 문제다.
공개수업의 상황을 생각하면 일반 수업과 많이 다르다. 공개수업은 엄청난 시간을 들여 자료를 준비하고 활동을 고안한다. 하지만 일반 수업은 실제로 많은 준비를 할 수 없다. 초등학교에서는 담임교사가 모든 교과를 지도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모든 시간 교재 연구가 불가능하다. 그러면 이렇게 ‘준비된’ 수업과 ‘준비안 된’ 수업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물론 공개수업을 통하여 교사의 수업 기술이 향상되는 점이 많다. 수년간의 공개수업을 통하여 새로운 방법을 시도할 수 있다. 활동이나 자료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사고하여 더 나은 방안을 찾을 수 있다. 준비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의견을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업 후 자기 평가 및 협의회를 통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수업을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더 나은 수업을 할 수 있는 계기를 준다.
문제는 한 두 번의 ‘준비된’ 공개수업이 아니라, ‘준비안 된’ 일반수업이다. 한 두 번의 공개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학생들은 늘상 이루어지는 ‘일반수업’을 통하여 많은 것을 경험하고 변화한다. 공개 수업을 통하여 한 두 번 발표를 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교육의 결과는 지속적인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다는 것이다.
일반수업은 공개수업과 다른가? 많이 다르다. 엄청나게 투자된 노력과 시간을 생각하면 같을 수 없다. 매일 그와 같은 방법으로 수업을 한다면 버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물론 이 과정에서 일반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기술 등과 같은 것이 많이 있을 수 있다. 또 공개수업을 통해서 얻어진 수업 기술을 일반 수업에 적용하여 좀 더 나은 수업을 진행 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수업을 보는 관점을 ‘일반 수업’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보여주기식’의 공개 수업은 일반 수업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낮은 평가를 주어야 한다. 또한 ‘교사’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에게 ‘의미(학생의 입장에서는 재미)’있는 수업과 다르다.
공개수업을 보는 관점은,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인가?’, ‘학생들에게 많은 변화를 줄 수 있는 수업인가?’, ‘일반 수업에서 가능한 수업인가?’, ‘수업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한 수업인가?’,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수업인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개수업은 ‘교사 중심의 보여주기식’ 수업이 될 가능성이 매우 많다. 이것은 일반수업의 ‘학생이 느끼고 변화하는 수업’과는 매우 다르다. 따라서 수업 평가의 핵심은 ‘교사’와 ‘양’의 측면이 아니라, ‘학생’과 ‘질’의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수업을 잘하는 교사’를 통한 수업 능력향상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