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꼭지 배수관을 막히게 하는 것은 큰 것이 아니다. 작은 휴지나 머리카락이 막히게 한다. 큰 것은 버리면 된다. 작은 것을 소홀히 하다가 결국 막히게 한다. - 인생도 마찬가지다. 작은 것에 의해 더 상처를 받는다. 작은 것에 의해 의사소통이 막히고 어려움을 겪는다. 또 작은 것은 알아채기 어렵고 소홀히 하게 된다. 인생을 잘 사는 방법은 작은 것에 주의하라. 작은 말 한마디, 행동 하나하나가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만든다.
배는 뒤에 키가 있다. 뒤에서 방향을 조정한다. - 학생들을 인솔할 때는 교사가 앞에서 있는 것보다 뒤에서 하는 것이 좋다. 앞에서 인솔하면 뒤에서 학생들이 잘 따라오는지 알 수 없다. 줄이 엉망이다. 하지만 뒤에서 가면 학생들이 줄을 맞추고 잘 오는지 아닌지를 잘 알 수 있다. 잘 안된 학생들을 지적하여 바르게 가도록 지도할 수 있다.
사람들은 인터넷 속도가 빠른 컴퓨터를 선호한다. 아무리 클릭을 해도 움직이지 않은 컴퓨터는 아무 곳에나 버려진다. - 사람도 업무처리에 있어서 최대한 빨리해야 한다. 신속한 업무처리는 그 사람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준다. 빨리 업무를 처리할수록 그 사람을 선호하게 한다. 업무처리가 항상 늦은 사람은 대접을 받지 못한다.
잔잔한 호수에는 물이 맑고 물고기들이 잘 살 수 있다. 자주 홍수가 나서 흙탕물이 되어 있는 호수는 물고기들이 살 수 없다. - 사람들도 자기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삶의 질이 향상된다. 교사도 스스로 자신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야 수업의 질이 높아진다. 기타 잡무로 교사를 항상 바쁘게 만들수록 수업은 소홀히 하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공부를 잘 할 수 없다.
돌고래를 춤추게 하는 것은 ‘칭찬’이 아니라 돌고래를 훈련시키는 사람이 주는 ‘먹이’이다. 돌고래를 배가 고프게 한 다음에 알맞은 행동을 하면 먹이를 준다. - 학생들을 움직이게 하는 것 - 발표를 잘 하도록 하고, 활동에 참여하게 하고, 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는 것 - 을 잘하는 방법으로 ‘자석’을 활용한다. 잘 한 그룹에게 자석을 주고 자석을 받은 학생들에게 보상(칭찬이나 선물 등)을 준다. 그러면 학생들의 참여가 활발해진다.
나뭇가지는 가지치기를 해 줘야 잘 자란다. 가지치기를 하지 않은 나무는 쓸모가 없게 되고 잘 자라지 않는다. - 학생들은 잘못한 행동에 대하여 ‘지도’(적당한 벌이나 활동에서 제외시키는 것, 불이익, 반복될 경우 규정에 의한 체벌 등)를 받아야 한다. 그래야 바르게 잘 자랄 수 있다.
우리는 하루 세 끼 밥을 먹어야 한다. 밥을 먹으면 양치질을 해야 한다. 밥을 안 먹으면 죽고, 양치질을 안 하면 이가 썩고 지독한 냄새가 난다. - 우리는 매일 공부를 해야 하고, 책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 공부를 안 하면 커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없고, 책을 읽지 않으면 나쁜 생각이나 행동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