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말이 많다. 그만큼 문제가 많다는 것이기도 하고 관심이 많다는 것이기도 하다. 실제로 우리나라 교육은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물론 다른 나라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나라가 교육의 문제를 최우선으로 하여 치열한 노력을 다하고 있다. 이렇게 국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우리가 그리는 이상적인 교육의 모습을 그려보면 어떨까? 그러면 우리가 노력해야 할 구체적인 방법이 그려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먼저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여야 한다. 학생들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자기가 관심이 있는 것들을 마음껏 해볼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한다. 학교 환경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해 볼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모든 학생들은 각각 자기만의 특성과 소질, 흥미, 적성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학교 교육이 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은 지금보다 더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변화하는 학교여야 한다. 학생들이 자신들의 꿈을 마음껏 펼쳐 보일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그래서 위해서는 자신들이 하고 싶은 활동 등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그러한 프로그램에 열심히 참여함으로써 ‘변화’하고 ‘성장’하게 된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교육의 목적이다. 학생들의 변화와 성장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기가 하고 싶은 활동을 했을 때 가능하다. 또한 우리가 추구하는 ‘질적’인 변화와 성장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가능하다.
학생들이 머무르고 싶은 학교여야 한다. 학교는 학생들이 가슴을 설레면서 가고 싶은 곳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학교에서는 자신들이 하고 싶은 모든 것들을 할 수 있고, 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재미가 있고, 매일 매일 배워나가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학교를 머무르고 싶은 곳으로 만들어야 한다.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무한정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꿈꾸는 것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주는 곳이어야 한다. 학교에 가면 모든 것을 할 수 있고, 모든 것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친구도 만날 수 있고, 자신이 읽고 싶은 책도 마음대로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모든 교육 활동이 ‘학생 지향적’이어야 한다. 어떤 활동이 학생들이 만족하지 않는다면 방법을 바꾸도록 해야 한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행사가 ‘정말 학생들이 즐거워하는 것이냐?’라는 관점에서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바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학생들에게 ‘재미’가 없는 것은, 학생들에게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의미가 없는 것은 학교나 교사, 행정가를 위한 것이다. 학생들은 피상적으로 참여할 것이고 따라서 학생들의 진정한 ‘변화’를 이끌 수 없다. 모든 활동에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것이냐?’의 관점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변화하는 학교는 성장하게 마련이다. 학생들이 머무르고 싶은 학교는 늘 학생들로 넘쳐나는 학교가 될 것이다. 모든 교육 활동이 학생지향적인 된다면 학생들이 열심히 참여할 것이다. 이러한 학교는 우리는 바라는 ‘이상적인’ 학교의 모습이다. 현재의 학교가 이러한 모습이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모든 잣대를 ‘학생’의 기준에서 보는 것이다. 그러면 위에서 제시한 모든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자면 모든 것을 ‘어른’, ‘학교’의 기준이 아닌 모든 것을 ‘학생’의 눈으로 볼 수 있을 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