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년 새해를 맞이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희망을 가져본다. 그 중에서 으뜸은 교육에 대한 희망일 것이다. 교육이 바뀌었으면 하고 바란다. 새롭고, 올바른 방향으로 교육이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 일 것이다. 그러면 어떤 것이 교육의 올바른 방향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여러 가지다.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교육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일반적이고, 상식적이며, 공통적인 면이 있지 않을까 싶다.
먼저, ‘양적’에서 ‘질적’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산업사회에서는 ‘양적’인 개념이 중시되었다. 하지만 이제는 ‘질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역시 교육도 ‘몇 명’이 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변했는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제 ‘양적’인 개념은 그 가치가 한계가 있다. ‘질적’인 개념에 의미를 두어야 한다. 그래야 교육이 변한다. 이미 우리의 교육은 ‘양적’인 개념에 있어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하지만 ‘질적’인 관점에서 누구도 만족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질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 학교 평가가도 이러한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교육이 산다.
‘실적’보다 ‘만족’지향적이어야 한다. 양적인 개념에서는 실적을 중시하고, 질적인 관점에서는 개인의 ‘만족도’를 중시한다. 학생 개개인의 만족을 최대한 중시하는 교육이 실현되어야 한다. 우리 학생들은 학교 교육에서 얼마나 만족을 하고 있는가? 불만족의 원인은 무엇인가? 에 대한 철저한 고민이 필요하다. 그래서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계속 찾아가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외부로 보이는 실적에 대한 관심은 학생 개개인이 느끼는 감정을 소홀히 하게 된다. 보여주기 위한, 평가를 위한 교육보다는 학생들의 만족을 최대한 실현시켜주는 교육이 환영을 받는 시대가 되었다.
‘전체’보다 ‘개인’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우리는 늘 전체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 전체속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에 대한 관심은 소홀히 한다. 전체는 허상이다. 실제는 개인이 존재한다. 개인이 모여 전체가 이루어진다. 우리가 전체에 관심을 둘 때 개인은 이미 묻혀버리고 만다. 우리가 개인에 초점을 둔 다면 전체는 자연스럽게 변화할 것이다. 그것이 진정한 교육이 아닐까? 수업을 할 때, 특히 공개 수업을 하게 되면 개인에 대한 관심은 소홀히 하게 된다. 왜냐하면 교사가 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개인을 볼 여유가 없다. 그래서 학생 개개인은 전체에 묻히고 만다. 진짜 수업은 학생 하나 하나를 천천히 들여다 볼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정확성’보다 ‘유창성’을 강조해야 한다. 우리 영어 교육은 지금까지 너무 정확성을 추구하여 왔다. 그래서 교실에서는 틀리면 챙피한 일이다. 절대로 틀려서는 안 된다. 틀리면 선생님한테 혼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업은 엄숙하고 우수한 학생들이 지배하는, 못한 학생들은 가만히 죽어있어야 하는 수업이 되어 버렸다. 실수가 난무하고, 못해도 해볼려고 하고 하는 수업은 아니었다. 이제는 ‘유창성’을 추구해야 한다.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혹시 틀렸다고 하더라도, 거침없이 표현할 수 있는 시원스런 수업이 되어야 한다. 틀린 것을 바탕으로 교사는 학생을 지도하고, 학생은 스스로 틀린 것을 알고 고쳐 나가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 실수를 통해 학생들은 하나 하나 자신의 것을 만들어 간다.
‘유지’보다는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교육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는 문명을 후세에 유지하고 전달하는 기능이다. 하지만 문명의 의미는 그 시대 상황과 관련하여 의미를 가진다. 시대와 관련없는 문명은 박물관에 깊숙이 보관되면 되는 것이다. 현 시대 사람들에게 의미를 주어 교훈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그것이 현 시대에 맞게 ‘변화’되어야 한다. 그것이 교육이다. 그래서 그러한 교육이 현 시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교육은 일차적으로 우리의 생존을 위한 것이다. 생존의 의미에는 ‘죽느냐, 사느냐?’ 하는 양적인 개념과 동시에 ‘얼마나 잘 살아가는가?’ 하는 질적인 의미를 포함한다.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은 것’을 추구해야 한다. 보이는 것보다는 보이지 않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 지금 당장 드러난 실적은 없지만 가치있는 것들을 추구해야 한다. 외부의 변화보다는 내부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한 변화는 지금 당장 우리가 느낄 수 없지만, 서서히 그러나 큰 흐름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질적’인 면은 양적인 것과 달리 잘 보이지 않는다. 학생들의 만족이나 행복도 잘 드러나지 않는다. 전체에 비하면 개인은 매우 작아 잘 보이지 않는다. 실수를 통하여 얻게 되는 큰 언어체계의 습득은 쉽게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것이 우리가 추구하는 진정한 교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