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가 학업성취도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학업 성취도 평가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확인하여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력 수준을 전반적으로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간 경쟁이 아닌 지역간, 학교간 경쟁을 통해 학력의 수준을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부족한 학생과 학교에 대한 지원을 하기 위함이다.
지역간 경쟁을 통하여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학교 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책임있는 교육 운영을 통하여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에 대한 책임지도가 가능하도록 학습보조 인턴교사, 대학생 멘토링 시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교사의 수업을 돕고 방과후 학교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수업을 도와주게 된다. 그리하여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학교가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교과부가 의도하고 있는 정확한 진단에 의한 처방(지도)는 의미가 있다. 학생을 정확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학생들을 학교가 책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보조 인턴교사와 대학생 멘토링 서비를 제공한다. 이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로 학교 교육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학습부진아의 문제는 학교 현장에서 심각하다. 한 마디로 부진아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교사는 주어진 시간에 교과과정을 지도해야 한다. 전체 학생을 지도하기 때문에 부진아 학생을 지도할 여력이 부족하다. 그래서 마음은 있지만 지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부진아 학생도 수준이 제각기 다르다. 수업 시간내에 보충이 가능한 학생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야말로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이다. 이런 학생을 지도하자면 다른 학생들을 포기해야 한다. 또 이것은 모든 학교, 학급에 공통적이다.
아무리 좋은 학교라 할지라도 부진아 문제는 있게 마련이다. 우수한 학생들을 시험으로 선발한 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가 해당이 된다. 이러한 학생들을 위하여 모든 학교 학교에 부진아 전담교사를 배치한다면 부진아의 문제는 실질적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부진아를 전담으로 하는 교사가 1:1로 지도를 했을 때 가능하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담임 책임에 의한 부진아지도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사는 부진아 학생을 돌보아 줄 ‘여력’이 없다. 시간이 없고 늘 바쁘다. 학교 후에 지도도 불가능하다. 학교 후에 학생은 학원을 가야 한다. 아무리 학교에서 가르치고자 해도 가르칠 수 없다. 집에서 바로 전화가 온다. 또 학부모는 학교에 남아서 공부를 한다는 사실이 교우관계에 부정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또 어떤 학부모는 부진아 학생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을 학교에서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못해 주고 있다.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실질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전담교사를 배치하는 것이 정답이다. 정규 수업 중 에 운영하는 방법이 있다. 캐나다의 경우 부진아를 위한 수업을 정규 수업 중 에 실시한다. 학부모가 동의한 경우 정규수업시간에 1:1 개별지도를 통하여 부진영역에 대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별도의 교실에서 수업을 실시한다. 학생의 수준에 따라 몇 일에서 몇 개월 동안 실시한다.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통과를 해야 한다. 또한 방과 후에 실시할 수도 있다. 방과 후에 별도의 수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철저하게 1:1 개별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1대 다수는 효과가 떨어진다.
학업성취도평가 실시로 기초학습부진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학교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많다. 실제로 어떤 학교는 매월 시험을 실시하고, 아니 매 시간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그야말로 평가를 위한 수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지도는 소홀하고 평가만 강조한다. 이런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은 어렵다. 학생들의 흥미와 자신감, 성취감을 주는, 학생들이 즐기는 수업은 어렵다. 학교에서 학업성취도평가 점수에 관심을 가지면 가질수록(당연히 그럴 것이다 왜냐하면 학교평가와 교장경영능력평가의 주요 지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학교 공부에 싫증을 낼 것이다. 이것은 교과부가 강조하고 있는 ‘인성’과 ‘창의성’ 교육과는 거리가 먼 이야기다.
모든 학교에 부진아 전담교사를 배치하게 된다면 문제는 해결이 된다. 학습부진아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학업성취도평가 실시는 특히 초등학교 교육에 심각한 영항을 주고 있다. 우리가 지향하는 학생들이 즐거운 학교를 통하여 인성과 창의성을 길러주는 교육이 아니다. 학생들은 학교를 싫어할 것이고 공부시간은 재미가 없다. 시험만 강조한다. 그리고 또 학원에서 시험을 위한 공부를 해야 한다. 학생들이 불쌍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