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 광고에 ‘프라이팬’을 판매하는 것을 자주 본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기름에 지지는 음식을 많이 해 먹었다. 명절에는 부침개가 빠지지 않는다. 이 전통은 오늘날도 변하지 않아 명절이 되면 온가족이 모여서 부침개를 만든다. 명절뿐만 아니라, 평상 시에도 기름에 요리를 하는 음식을 많이 해 먹는다. 그러다보니 ‘프라이팬’은 집집마다 필수품이다.
그런데 ‘프라이팬’을 ‘후라이팬’이라고 하는 것을 자주 본다. ‘후라이팬’은 국어사전에 없는 말이다. 이 말을 듣던 사람은 “외래어니까 없지요”라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외래어는 국어의 범주에 속한다. 따라서 올바른 외래어 표기는 사전에 엄연히 등재되는데, ‘프라이팬’도 그 중에 하나다.
‘프라이팬’을 ‘후라이팬’이라고 하는 것은 일본어의 영향 때문이다. 즉, 일본에서는 ‘ㅍ’과 ‘ㅎ’의 구분이 모호하다. 그들은 손전등을 ‘후래시(flash)’라고 하고, 음식을 기름에 지지거나 튀기는 일 또는 그렇게 만든 음식을 ‘후라이(fry)’라고 한다. 우리는 ‘플래시, 프라이’라고 읽고, 사전에도 이렇게 등재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화이팅’도 ‘파이팅’이라고 해야 하고, ‘첨부화일’이라는 표현도 ‘첨부파일(-file)’이라고 해야 한다. 대형 할인점이 구매 금액 중 일정 금액을 포인트로 적립해줘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고 사은품, 할인쿠폰 등의 혜택을 주는 ‘훼밀리 카드(family card)’도 어이없는 표기다. ‘패밀리 카드’가 바른 표기다.
외래어는 국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그 뿌리는 우리말이 아니다.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할 경우도 있지만, 이들은 가능한 한 쉬운 우리말로 다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신에 근거해 사전에서는 ‘프라이팬’을 ‘지짐 판’ 혹은 ‘튀김 판’으로 순화해서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프라이’도 국어사전에서는 ‘부침’ 혹은 ‘튀김’으로 순화해서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패밀리 카드’도 ‘가족사랑 카드’등을 제안해 보고 싶다.
지금은 ‘프라이팬’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옛날은 이렇게 편리한 것이 없었다. 주로 ‘번철’을 사용했다.
‘번철’
전을 부치거나 고기 따위를 볶을 때에 쓰는, 솥뚜껑처럼 생긴 무쇠 그릇.
- 번철에 기름을 두르다.
- 번철에 저냐를 부치다.
- 부침개는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부쳐서 익힌 음식을 통틀어 일컫는 말. 빈대떡, 전유어, 전병, 전 등이 모두 부침개에 들어간다.
‘번철’은 뜻풀이에서 짐작하듯 무쇠솥의 뚜껑을 잦힌 것이다. 그런데 옛날에는 솥을 덮는 쇠뚜껑을 잦히지 않고 ‘번철’ 대신에 쓰기도 했다. 이를 ‘소댕’이라고 한다. 이는 가운데가 볼록하게 솟고 복판에 손잡이가 붙어 있지만, ‘번철’ 대용으로 쓸 만하다. 실제로 최근 음식점에서 솥뚜껑을 이용해서 고기를 굽기도 하는데, 이것이 ‘소댕’이다. ‘소댕으로 자라 잡듯(그저 모양만 비슷한 전혀 다른 물건을 가지고 와서 딴소리를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는 속담을 쓰듯, ‘소댕’은 일상에서 제법 쓰던 말이다.
생활의 변화로 사용하는 문물이 변하고, 그에 따라 명칭이 바뀌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그러나 우리의 문물이 새로운 것에 밀려가면서 이름도 잊히면 안타까운 일이다. ‘소댕’이나 ‘번철’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우리 조상이 사용하던 도구이다. 이름과 함께 다시 떠올려 보는 것도 우리가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