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야당이 당사에서 창당 3주년 기념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당 대표가 한 말이 일간지에 일제히 표제어로 올랐다. 그 말은 ‘곁불 쬐는 정치는 안 하겠다’는 것이었다. 당 대표는 “어떤 변화가 올 때 중심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느냐, 주변부에서 태풍에 휩쓸려가는 역할을 하느냐는 오직 자신의 결단과 의지에 달려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당 대표는 정치 상황에 영향을 받는 변수가 아니라 정치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도적 역할을 해낼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렇게 말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치권에선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계 개편이 이뤄지면 이 당은 흔들릴 것이라는 관측이 공공연히 나오고 있는데, 이러한 전망에 일침을 가하는 일성이라고 판단된다.
여기에 ‘곁불’은 주변인으로 남지 않고, 상황의 중심에 선다는 의미로 썼다. 특별히 잘못이 없다. 그러나 이를 다음과 같이 쓰면 잘못이다.
○ 무엇보다도 백미(白眉)는 “진정한 무사(武士)는 추운 겨울날 얼어 죽을지언정 곁불을 쬐지 않는다”는 대목이었다(광주일보 2002년 1월 19일).
여기에 ‘곁불’은 잘못이다. 이는 의미상 ‘무사’의 지조와 체면을 강조하는 문장이다. 따라서 ‘겻불’을 써야 한다. 이처럼 ‘겻불’과 ‘곁불’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두 단어는 발음은 같지만 뜻은 다르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각 단어를 사전에서 검색하여 본다.
‘겻불’
겨를 태우는 불. 불기운이 미미하다.
- 질화로에 남은 겻불도 꺼졌다.
- 금방까지 시퍼랬던 군중들의 서슬이 겻불 사그라지듯 사그라졌다(송기숙, 녹두 장군).
‘곁불’
1. 얻어 쬐는 불.
- 그는 정류장 옆에서 곁불을 쬐며 차가 오기를 기다렸다.
2. 가까이하여 보는 덕.
- 그들의 눈에는 나의 고시 합격이 권력의 곁불을 쬐러 들어가는 것쯤으로 비치었던 모양이다.
-3. (북한어)남이 켰거나 들고 있는 불.
- 곁불에 밤길을 걷다.
‘겻불’은 벼, 보리, 조 따위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 즉 겨를 태우는 불이다. 이 불은 보기에는 뻘겋고 불기운이 힘찬 듯하지만, 겨를 태운 불이라 온기는 별로 없다. 이 불이 비록 뜨겁지는 않아도 아쉬운 사람에게는 효과가 있다. 추위에 곧 얼어 죽게 생겼는데 좋고 싫은 것을 가릴 틈이 없다.
그러나 양반은 그렇지 않다. 우리 속담에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은 안 쬔다’는 말이 있다. 양반은 아무리 궁하거나 다급해도 체면 깎는 짓은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겻불’을 쪼일 때는 손을 불 근처로 가지고 가서 비비고 뒤집고 해야 겨우 효과를 본다. 이 모습은 방정맞다. 양반은 체면을 중시한다. 그래서 양반은 얼어 죽을지언정 촐랑거리면서 몸을 녹이지 않는다는 말이다.
‘오뉴월 겻불도 쬐다 나면 서운하다[섭섭하다]’라는 속담도 많이 쓴다. 당장에 쓸데없거나 대단치 않게 생각되던 것도 막상 없어진 뒤에는 아쉽게 생각된다는 말이다. 이는 ‘짚불도 쬐다 나면 섭섭하다’라고도 하는데, ‘짚불’은 짚을 태우는 불로 ‘겻불’처럼 활활 타오를 뿐 화력은 없는 데서 비슷하다.
‘곁불’은 곁에서 얻어 쬐는 불이다. 상대방의 세력이나 힘에 곁들여서 손쉽게 얻어지는 효과를 의미한다.
○ 현대증권, 현대건설 인수전 곁불 효과 톡톡(아시아경제, 2010년 8월 18일).
○ 모두투어, 호텔신라 ‘곁불’..2%대 상승(뉴스토마토 경제, 2010년 12월 3일).
○ ‘경기회복’ 곁불 못 쬐는 고용시장(동아일보, 2011년 1월 18일).
일상생활을 하다보면 자기 자신의 노력은 들이지 않고 남의 덕으로 이익을 보는 경우가 있다. ‘곁불’은 이때 쓰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