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맑음동두천 15.4℃
  • 흐림강릉 10.9℃
  • 맑음서울 17.0℃
  • 흐림대전 17.4℃
  • 구름많음대구 17.0℃
  • 울산 15.5℃
  • 구름많음광주 18.7℃
  • 부산 16.2℃
  • 흐림고창 15.3℃
  • 흐림제주 15.7℃
  • 맑음강화 14.5℃
  • 흐림보은 16.4℃
  • 구름많음금산 16.5℃
  • 구름많음강진군 16.7℃
  • 흐림경주시 16.4℃
  • 흐림거제 16.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스스로 공부하도록 만들어야

옛날 어른들께서는 ‘자식은 농사와 같다’ ‘자식 농사가 최고다’라는 말을 자주하며 나는 비록 시골에서 농사를 짓고 살지만 내 아들은 훌륭하게 키워 보려고 애를 썼다. 있는 것 없는 것 다 팔아 학비를 마련해 주며 공부를 시켰지만 아이를 믿었다. 아이를 다그치고 내 몰지는 않았다. 아이에게 모두를 맡겼다. 통지표를 받아 오는 날 예상하던 성적이 아니라도 "다음에는 잘 해라" 정도가 끝이고 그저 공부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최고의 뒷받침을 하기 위해 나는 안 먹고 최선을 다 하지만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여 아이가 안 하려고 하면 시키지 않았다.

그런데 요즈음 학부모들은 어떤가? 남들은 다 하는데 우리 아이만 안 하면 우리 아이가 금방 뒤쳐져 바보라도 되는 듯 학교 공부를 마치기가 바쁘게 시간표를 만들어 여기 마치고 저기 또 저기로 잠시의 틈도 주지 않고 학원으로 막 돌린다. 학원에만 가면 다 되는 듯 집에 올 때는 초등학생도 캄캄한 밤이다. 한 교실에서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이 학교 공부를 마치면, 우루루 몰려 나가 학원 차에 탄다. 학원에서 공부하고 또 다른 학원에서 만나고 가족들 보다 함께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이 친구지만 친구와 이야기 할 시간은 없다 학원 차 속에서도 학원 숙제를 하느라 옆 한 번 볼 틈도 없다.

“공부만 하는 한국 청소년, 더불어 살기 의식 세계 꼴찌”
“어린이 78% 학교서 스트레스”

신문 기사 제목들이다. 여기에 맞장구라도 치듯 지난 5월 5일 어린이날을 맞아 한국방정환재단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청소년 행복지수 조사가 그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이 조사에서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66점이다. OECD 23개국 중 최하위다. 가장 높은 스위스는 114점이니 48점이나 차이가 난다 더 중요한 것은 3년 연속 꼴찌를 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선생님들은 교직에 만족하고 있는가? 한국교총이 스승의 날 교직만족도 조사결과를 보면 1, 2년 사이에 교직에 대한 만족도나 사기에 변화가 있느냐고 물었는데 "떨어졌다"는 응답이 79.5%나 됐다. 5명 중 4명꼴이다. 어린이는 학교생활이 행복하지 않고 선생님은 교직에 만족하지 않는다니 큰 문제다.

동물들은 배우면서 살아간다. 포유류는 말할 것도 없고 새와 곤충, 심지어 물 속에 사는 편형동물인 플라나리아도 배울 줄 안다고 한다. 좁쌀 보다 작은 두뇌로도 정보를 입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는 그걸 활용한다고 하는데 인간이 안 배우고 살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배우려는 방법과 가르치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 사람과 가장 가까운 동물 침팬지가 그 정답을 알려 주고 있다. 아기 침팬지가 호두의 단단한 껍데기를 돌로 깨어서 먹을 줄 알고 흰개미 굴에 나뭇가지를 넣었다가 빼내어 훑어 먹을 줄 아는데 이것을 어른 침팬지나 어미 침팬지가 가르쳐서 알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 침팬지가 어른들이 하는 걸 보고 배운다는 것이다. 어른들이 아이에게 가르치려고 난리를 피우지도 열을 올리지도 않는다. 아기 침팬지 스스로 어른들의 반복 행동을 보고 배우게 한다는 것이다.

사람에게 가르침과 배움은 침팬지와는 다르다. 짧을 시간에 많은 것을 학습해야 하기 때문이다. 선생님과 어머니들은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알게 해야 하기에 지켜볼 시간도 없이 그냥 답을 알려주고 또 다음 시간으로 끌고 가야하며 어린이들은 스스로 학습해야지 하는 필요를 느끼지도 않는데 억지로 막 쑤셔 넣어야 하니 여기서 스트레스가 쌓이는 것 같다.

'자기 주도적 학습, 스스로 학습' 참 좋은 생각인데 학생이 배우려고 해야 가능하다. 즉, 아기 침팬지가 배가 고파서 어미의 행동을 보고 호두는 어떻게 먹지? 호기심을 가질 때 새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말을 물가로 끌고는 갈수 있지만 억지로 물을 먹게 하려고 하다 보니 서로가 서로의 일에 스트레스를 만들어 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