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9.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스스로 교직에 행복감 가져야

요즘처럼 학교생활이 어려운 시기는 일찍이 없었다. 국내외 급변하는 교육 환경도 있지만 교육수요자들의 요구수준이 과거와는 달리 교원들이 감당하기엔 벅찬 정도로 크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원인은 교권의 추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젠 교육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사라졌다. 교원에 대한 존경심도 이젠 기대하지 않는다. 교원도 어쩔 수 없는 직업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교육수요자들의 높은 기대에는 언제나 불만이 가득하다. 교원에 대한 냉엄한 평가엔 갈등으로 비춰져 교직에 대한 보람보다는 원망으로 가득할 때가 많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교직생활에 대한 보람과 긍지를 갖게 할 수 있는 교육정책은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교원들을 감시하고 감독하며, 그리고 평가하는 냉엄한 현실이 때론 원망스러울 뿐이다. 교사의 교권은 오간데 없고 학생인권만이 살아있는 교육현장에서 교원들의 어깨는 점점 힘을 잃고 있다.

학교교육은 무엇보다 교원의 자발적인 교육적 의욕이 있어야 한다. 올바르게 학생을 가르쳐야 한다는 교육적 책임감과 의욕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여 교육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교원의 교육에 대한 사기 진작한 방안은 무엇일까. 그에 대한 해답은 교원들의 학교생활이 즐겁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교직에 대한 높은 사기라고 할 수 있다. 

국제노동기구(ILO)가 54개국을 대상으로 근로시간과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근로자 1인당 연간 노동시간이 2305시간으로 가장 긴 반면,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68% 수준에 불과했다. 직장에서 일하는 시간은 많지만, 일한 시간만큼 성과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많은 선진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의 해답을 행복한 일터 만들기에서 찾고 있다. 직원들이 자신의 일에 만족하며 직장에서 행복하게 일할 수 있을 때 기업의 성과도 향상될 수 있다는 확고한 믿음 때문이다.  

포춘이 선정하는 ‘일하기 좋은 기업(Great Place to Work)’ 순위에서 줄곧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웨그먼스 푸드 마켓(Wegmans Food Markets)도 ‘고객보다 직원의 행복을 먼저 생각하는 회사’로 유명하다. 동사의 CEO인 대니 웨그먼(Danny Wegman)은 “직원들이 행복하게 일할 때 우리 매장을 찾는 고객들이 즐겁게 쇼핑할 수 있다. 그래서 최고의 매장을 만들기에 앞서 직원들이 일하기 좋은 일터를 만드는데 더욱 노력한다”고 말한다. 행복한 직원이 고객의 만족을 낳고 이것이 기업 성과 창출의 원동력이 되는 일련의 연결고리를 기업 경영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직원들의 행복을 챙기려는 우리 기업들의 노력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각종 휴가 제도나 사내 이벤트 등을 통해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우는 기업도 있다. 사내 심리 상담실이나 육아시설, 탄력 근무제 등은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저마다 ‘신바람 경영’, ‘펀(Fun) 경영’, ‘휴(休) 경영’ 등은 직원들의 건강을 챙겨 좀 더 즐겁게 일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 교원들의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심리적인 만족감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아마도 그 수준은 대부분이 보통 이하일 것이다. 과거에는 학교가 학생들의 가정보다 좋은 환경이었다. 가정보다 좋은 시설과 편리성, 그리고 쾌적한 환경이었으나 지금은 그 반대가 되었다.

그래서 교육수요자들은 학교의 환경과 여건에 불만족하여 시설이 좋은 학교를 선호하고 이런 학교를 좋은 학교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이런 학교가 높은 교육성과를 낸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교육의 주요한 요소는 교원이다. 교원의 사기와 열의에 따라 학생의 학습력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은 교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정책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교원의 심리적 안정과 비록 좋은 근무여건이 아니더라도 교원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교직에 대한 보람으로 행복감을 느끼는 직장으로 인식한다.

요즘 학교의 근무여건은 과거보다는 많이 개선되었지만 일반인들의 직장과는 비교할 수 없이 열악하다. 그러나 교원이라는 사명감과 긍지 하나로 모든 것을 참고 인내하며 살아가는 것이 우리 교원들의 현실임에도 간혹 외부에 비춰진 볼멘소리를 들을 땐 안타까울 뿐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는 교사를 국가 건설자나 애국자 수준으로 대우한다"고 발언한 것처럼 우리나라 교사의 전문성과 우수성은 이미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젠 교육 밖에서 교원에 대한 존경과 기대는 할 수 없다. 다만 우리 교원 스스로 자존감을 세워야 행복한 교원이 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행복감을 만들고 느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남다른 노력이 필요하다. 교원 스스로 학교에 무엇을 기대하기 전에 자신이 교직에 대한 행복감을 찾아 나서야 할 것이다. 자신의 교직특성이 무엇이고,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어떤 업무를 할 때 교육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을지 분명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 이후에는 5년, 10년 뒤의 자기 모습을 그려보고, 단계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해야 교직에 대한 보람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좀 더 많은 교원들이 교직에 대한 행복감을 느끼면서 일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