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맑음동두천 20.3℃
  • 흐림강릉 21.9℃
  • 구름조금서울 21.0℃
  • 맑음대전 23.2℃
  • 맑음대구 25.0℃
  • 맑음울산 23.0℃
  • 맑음광주 21.1℃
  • 맑음부산 18.2℃
  • 맑음고창 21.0℃
  • 맑음제주 21.2℃
  • 맑음강화 14.4℃
  • 맑음보은 23.0℃
  • 맑음금산 22.6℃
  • 맑음강진군 17.0℃
  • 맑음경주시 23.4℃
  • 맑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제주의 자연문화 가치 교육 필요

천혜의 보물섬인 제주도가 세계 7대 자연경관에 선정되었다.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 등재, 세계지질공원 인증,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등 유네스코 자연환경 분야 3관왕에 이은 또 다른 쾌거다.

이번에 스위스의 ‘뉴세븐 원더스(The New7 wonders)’ 재단이 발표한 ‘세계 7대 자연경관’은 브라질의 아마존과 베트남 하롱베이, 아르헨티나의 이구아수 폭포, 제주도, 인도네시아의 코모도국립공원, 필리핀의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강,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테이블마운틴이다.

세계 어디를 가나 우리나라의 자연환경만큼 아름다운 곳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의 눈에 익숙해져서 그런지 모르지만 우리의 산야만큼 아기자기한 정감이 있고 아름다움을 지닌 곳은 없다. 특히 사계절이 뚜렷하고 수많은 섬들이 오순도순 자리 잡은 바다의 정경 또한 한 폭의 동양화다. 정말 아름답고 복된 나라에 살고 있다는 것이 새삼 자랑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아름답고 소중한 천혜의 자원이 존재하는 곳에 살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이 아름다운 자연의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또한 그 고마움과 소중함도 모르고 살았다. 그래서 우리는 늘 부존자원이 하나도 없는 나라라고 배워왔고 또한 학생들에게 그렇게 가르쳐 왔다. 그러나 이번 제주도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3관왕에 이어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은 세계적인 보물섬임을 이젠 우리 스스로도 깨닫고 자부심을 가지고 잘 보존해야 할 것이다.

이번 제주의 후속 조치를 보면, 제주의 국가브랜드를 국내외에 홍보하여 관광산업을 세계로 다변화하기 위하여 5대 추진전략과 7대 중점전략과제를 제시했다. 5대 추진전략 로드맵으로는 제주의 글로벌 브랜드 구축, 관광 및 여타 산업간 시너지 효과 창출, 홍보·교육 실천 강화, 지속적 보존 지원체제 구축, 글로벌 네트워크 연계 강화 등이다. 그리고 7대 중점전략과제는 7대 자연경관 홍보 극대화, 브랜드 통합관리 체제 구축, 세계 7대 자연경관 브랜드 활용 지역경제 성장 견인, 제주 관광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창출, 국가 자연환경자산의 가치 재창출, 세계 7대 자연경관 보전·활용 종합계획 추진,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실현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주도의 개발정책이 잘못하면 전시행정과 졸속 투자유치로 아까운 자연환경을 훼손하지나 않을까하는 격정도 없지 않다. 무엇보다 제주의 자연경관은 이젠 우리만의 것이 아니고 세계인이 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금의 제주는 우리 조상들이 잘 보존하여 우리에게 주었고, 우리 역시도 잘 보존하여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무리한 개발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보존이 더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주도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적 가치교육이 필요하다.

첫째, 제주도에 대한 아름다움과 가치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아름다운 소중한 자원은 많은 체험을 통하여 그 가치를 느끼고 보존하게 하는 마음을 우리 학생들을 통하여 교육해야 한다. 특히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직접 가서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적인 지도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해야 그 가치의 소중함과 진정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체험을 통해 아름다움 알고 소중한 가치를 느끼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제주도의 자연환경 개발과 보존을 위한 교육 자료가 필요하다. 개발과 보존은 양면성을 갖고 있으므로 잘못된 개발은 보존의 가치마저 저버릴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개발 계획을 추진하여 모든 국민이 공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일반인들은 물론 학생들의 의식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제주도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제주도를 하나의 관광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되며 제주에 대한 다양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문화적 콘텐츠 개발하여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새로운 가치는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넷째, 세계적인 자연 문화유산뿐 아니라 인류문화 유산을 발굴하고 홍보해야 한다. 제주도는 자연유산뿐 아니라 인문학적인 면에서도 뛰어난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제주 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찾아내고 세계에 알리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젠 제주는 우리만이 아닌 세계의 자연유산이다. 이러한 자연유산은 교육을 통해 그 가치를 찾고 개발하여 세계인에게 알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가지고 있는 것만큼 이들의 가치와 소중함을 널리 알리고 우리 후대에게 물려주는 문화적 가치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