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는 지난 11월 4일 프랑스 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후 세계 언론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많은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상당한 원조를 주는 나라로 변신한 유일한 나라”라고 소개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어려운 세계 경제위기를 몇 차례 넘기면서도 모든 나라가 부러워할 만큼 모범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룬 나라다.
이러한 국가 성장의 배경에는 우리의 교육의 힘이 있으며 우리의 교육 중에서도 무엇보다 과학기술교육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미래의 국가 성장을 생각할 땐 '과학기술이 중요하다, 과학기술만이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끌어줄 수 있다’는 생각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지만 막상 우리의 과학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면 희망보다는 걱정스러움이 앞선다.
먼저 각종 교육정책의 우선순위에서 과학기술정책이 밀리기 일쑤고, 해외 우수 과학자가 국내 근무여건의 부족과 미비로 기피하고 있는 현실을 보면 우리의 과학기술교육정책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과거에는 어린 학생들의 희망이나 꿈의 1순위가 ‘과학자’였다. 그러나 요즘은 이와는 거리가 먼 ‘가수나 연예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론 가수나 연예인도 국가산업에 기여하는 공도 없지 않지만, 국가산업의 기초교육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그 심각성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과학기술교육의 정책은 국가차원에서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금 세계는 과학기술 전쟁이라 할 만큼 과학기술개발 경쟁에 명운을 걸고 있다. 그것은 21세기를 걸쳐 22세기의 이러는 미래사회는 과학기술력 확보가 곧 국력이요, 국격을 한 단계 높여 선직국으로 나아가는 견인차이기 때문이다.
스티브 잡스가 우리 인류에게 남기고 떠난 컴퓨터는 인간의 삶 자체를 새롭게 바꾸어 가고 있다. 또한 몇몇 과학자가 만든 신기술은 지구촌의 모든 인류가 이를 누리고 행복해 하고 있다. 이 같은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인재를 확보하고 길러내는 일은 바로 학교 기초과학교육에 달려있다.
새로운 과학기술은 거대한 연구소에서만 개발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과학기술의 기초교육은 학교현장의 작은 실험실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어린 학생들이 새로운 과학 분야에 관심과 호기심을 자극하고 탐구심을 기르는 교육정책이 이루어질 때, 우리는 제2의 스티브 잡스나 빌게이츠를 우리나라에서 탄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학생들의 원대한 과학의 꿈이 작은 실험실에서 이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가 시급하다. 앞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많은 학생들이 과학에 꿈을 심을 수 있도록 과학인에 대한 국가차원의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과학자의 사명감을 갖고 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긍지감과 사명감, 성취감, 우월감, 명예감을 갖고 일하도록 연공가봉, 인센티브, 성공보수, 사회적 신분상승 등의 대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교교육에서 어렵고 재미없는 과목에서 쉽고 재미있는 과목으로 바꾸기 위해 보다 혁신적인 과학교육의 혁신적인 투자와 여건개선을 통해 실험과 탐구활동, 그리고 체험학습 중심의 교육방법 개선이 필요한 것이다.
교육의 힘의 실체는 보이지 않지만 어린 학생들의 마음속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무한하고 가능성인 꿈은 자라게 할 수 있다. 작은 호기심에서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꿀 수 있는 과학기술교육이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