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연수 중 최고라고 자타가 공인하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행정 지도자 과정. 작년 100기 지도자를 배출, 현재 4200 여명의 수료자에 이르고 있다. 1960년에 시작하였으니 역사도 깊다. 이 과정을 마친 교장은 교육과학기술부, 16개 시·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일선 초·중등학교에서 우리나라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이들의 모임인 한국교육행정연수회. 얼마 전 마산의 경남대학교에서 있었던 제49회 연수 모임. 연수 참가자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있을까? 연수 주제가 ‘교육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학교 혁신 방안’이다. 지금 학교는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수권 붕괴, 학교폭력과 집단괴롭힘으로 인한 학생 자살 사건 등으로 교육의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다. 학교가 행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주제 강연을 한 서울대 진동섭 교수의 말씀. 그는 ‘행운 찾기’보다는 ‘행복 만들기’를 하자고 주장한다. 네 잎 클로버는 찾는다는 보장이 없다. 그러나 세 잎 클로버는 지천에 깔려 있다. 네 잎 클로버의 꽃말은 ‘행운’, 세 잎 클로버는 ‘행복’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행운을 찾으려 한다. 주위에 널려 있는 행복에는 눈길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행복은 거저로 주어지지 않는다. 행복은 만들려고 노력하는 사람만 느낄 수 있는 특권을 부여한다.
그렇다면 학교교육 공동체가 모두 행복할 수는 없을까? 학교교육 공동체란 학생, 교원, 행정직원,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가 합쳐져서 이루어진다. 학교교육 공동체가 행복하려면 구성원 모두가 힘을 합치고 합심하여 행복한 학교를 만들려고 노력해야 한다. 행복은 어느 한 집단의 노력만으로 성취하기 어렵다.
학교는 공부하는 곳, 교사들이 학생을 가르치는 곳, 학생들이 교사로부터 배우는 곳이다. 그러나 더 넓게 생각하면 학생이 공부만 하는 곳이 아니라 하루의 일정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다. 교사에게도 마찬가지다. 학교는 학교 구성원 모두에게 소중한 삶의 터전인 것이다. 학교를 행복의 시간과 공간으로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학창 시절, 감명 깊게 들은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 어록 하나. “국가가 여러분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묻지 말고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으십시오!” 학교 구성원에게도 마찬가지다. 학교에서 가져갈 것만 챙기면 구성원 사이에 갈등과 불만이 커지게 된다. 학교를 위해 구성원 각자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좋은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면, 열정을 발휘해 능력껏 기여한다면 가져갈 내 몫도 커지게 된다.
행복과 불행은 전염된다고 한다. 우리는 나의 행복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의 불행을 보살펴야 한다. 구성원 모두가 행복하려면 특정 구성원만 행복해서는 안 된다. 불행한 구성원이 없어야 한다.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이 행복하다. 학생이 행복해야 교사도 행복하다. 진 교수는 학교교육에 직접 몸 담고 있는 교사. 교감과 교장은 행복 전도사, 불행 차단사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필자는 지금 혁신학교 직무연수 중이다. 다시금 ‘학교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한다. 학교란 ‘관계’다. 구성원 간 ‘바람직한 관계’를 맺기 위해선 그들 사이에 ‘경계 세우기’와 ‘상호 존중’이 필수다. ‘경계 세우기’는 구성원들 간에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에 대하여 명확한 구분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구성원 각자가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성찰’이 필요하다. 교사들의 ‘함께하는 학교문화 만들기’로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
우리가 바라는 교육 이상향, 멀리 있지 않다. 학교 구성원 간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고 행복 만들기에 합심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 함께 디자인한 소중한 것을 실천을 통해 성취감, 안정감, 행복감을 느낄 때 학교는 살아난다. 학교마다 일어나는 이 변화의 흐름이 합쳐지면 교육개혁으로까지 이어진다. 대한민국의 학교의 중심에 ‘선생님’이 바로 서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