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7.2℃
  • 흐림강릉 14.5℃
  • 서울 18.6℃
  • 대전 17.1℃
  • 대구 13.3℃
  • 울산 15.0℃
  • 광주 18.6℃
  • 부산 15.8℃
  • 흐림고창 17.9℃
  • 흐림제주 19.8℃
  • 흐림강화 15.7℃
  • 흐림보은 14.9℃
  • 흐림금산 16.7℃
  • 흐림강진군 18.3℃
  • 흐림경주시 15.1℃
  • 흐림거제 17.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새 학기가 시작됐다

새 학기가 시작됐다. 겨우내 움츠러들었거나 다소 풀어졌던 마음과 몸을 추스리고 새롭게 매진해야 할 새봄이기도 하다. 보도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올해 특성화고 취업률이 42.1%를 기록했다. 지난 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급증한 취업률이라는 내용도 있다. 특성화고 취업률 증가는 비단 서울만은 아니다. 지방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일례로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경우 지난 2월 졸업한 295명중 133명은 진학했고, 152명이 취업을 했다. 51.5%의 취업률이다. 이는 지난 해 말 전북도교육청이 밝힌 취업기능강화사업 대상 학교의 평균 취업률 47%를 웃도는 수치이다.  특성화고 취업률은 2009년 29%, 2010년 34%, 2011년 47% 등 몇 년 사이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말할 나위 없이 정부의 취업기능강화사업 추진 덕분이다. 그 결과 은행, 보험회사 등 금융권 입사도 있었지만 대부분 반도체나 LCD 회사의 오퍼레이터로의 취업이었다.

집안 형편이나 학교 성적 등 여러 여건에 의해 생산직으로 가는 것에 대해 나무랄 이유는 없다. 또 옛날처럼 ‘공순이’라며 깔보거나 무시하는 사회 분위기도 아니다. 그러나 깊이 생각해볼 점이 있다. 새 학기와 함께 시작된 3학년 취업 과정에서 학생으로서의 본분을 다하고 있는지가 그것이다.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지만 학교마다 학생으로서의 본분을 다하지 않는 취업 희망자들이 전혀 없다고 부인하지는 못하는 현실이다.

취업이 다는 아니다. 취업할 회사가 정해졌다고 모든 게 끝난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정확히 말해 취업이 아니라 현장실습 나갈 회사를 정한 것에 불과할 뿐이다. 설사 취업해서 내일 떠난다 하더라도 오늘까지는 학생의 본분을 다해야 맞다. 회사가 필요로 하는 인력도 그런 학생임은 말할 나위 없다. 일부 취업 희망자들은 벌써부터 학생이기를 포기하려 애쓴다. 학교를 떠나는 그 순간까지 수수한 차림으로 수업을 열심히 받고 수행평가 등 진학할 급우들과 다름 없이 학교생활을 해야 하는데도 그렇지 못한 것이다.

여름방학 무렵부터 현장실습에 들어가니까 사실상 1학기가 고교시절 마지막 수업이요 학교생활이라 할 수 있다. 그 소중한 시간들을, 취업 나간다고 ‘개념없이’ 보내는 것은 인생에 대한 허비이다. 발등을 찍고 후회하게 될 어리석음 쌓기이다. 그만큼 교사의 지도와 학부모들의 관심이 더 필요해졌지만, 어디까지나 그 주체는 학생들이어야 한다. 이제 곧 그들은 어리광이나 부리는 학생 신분을 벗어나 저 험란한 직업전선에 뛰어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취업을 앞둔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간곡히 당부한다. ‘교실 분위기가 망가지면 어때, 나는 떠나는데’ 따위의 이기적 생각은 지금 즉시 접어두라고.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