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9.3℃
  • 맑음서울 30.0℃
  • 맑음대전 31.6℃
  • 맑음대구 32.9℃
  • 구름조금울산 25.1℃
  • 흐림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5.4℃
  • 구름많음고창 27.3℃
  • 흐림제주 25.8℃
  • 맑음강화 26.2℃
  • 맑음보은 30.5℃
  • 구름조금금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6.3℃
  • 구름많음경주시 27.9℃
  • 구름조금거제 24.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학교컨설팅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요즘 학교장학 형태는 모두가 학교컨설팅 장학이다. MB정부에 들어와서 학교장학 활동이 모두 학교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바뀐 것이다. 그것도 몇년새 모든 학교장학 활동이 학교컨설팅으로 통일됐다. 그래서 그 많은 장학들이 우리 교육에서 사라지지나 않을까 염려스럽다.  물론 ‘시대의 변화에 맞게 교육도 변화되어야 한다’ 는 주장에 대해서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지만 지금까지 어느 정도 정착되었던 학교장학들이라 아쉬움도 없지 않다.

물론 학교컨설팅이 학교장학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잘 되고 있다는 생각엔 다소 의문이 든다. 현장 교사들의 이야기는 학교컨설팅의 절차가 복잡하고, 컨설던트가 외부인에 의존하기 때문에 요청이 어렵고, 그리고 확실한 결과가 손에 잡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학교컨설팅이 우리 학교환경에 잘 착근되지 않는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우리는 10여전에 열린교육의 실패 경험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 열린교육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활동으로 잘 확산되어가고 있는 것을 교육부가 모든 학교에 밀어붙이기식 교육정책으로 끌어들이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고 끝내는 열기도 식고 지금은 그 이름조차 기억에서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사실 학교컨설팅이란 장학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학교장학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만든 토종 장학활동인 것이다. 2002년부터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기초연구는 되어왔지만 그리 좋은 지지나 관심은 받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 정부의 학교혁신을 위한 교육정책으로 추진되면서 일선학교에 모두 확산시킨 것이다.

문제는 모든 학교의 장학활동이 학교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바뀐 점이다. 지금까지 내려오던 다양한 장학활동을 한꺼번에 바꾼 것은 매우 획기적인 정책은 될지언정 교육정책으로서는 너무 성급했다는 생각이다. 우리가 신규교사들에게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임상장학의 경우는 미국 하버드 의대에서 학교교육에 들어오기까지 무려 50년이라는 세월이 필요한 것을 보면, 우리는 과히 혁신적이다 할 정도로 여기에도 ‘빨리 빨리’ 문화가 적용된 것이다.

컨설팅이라는 용어는 경영학에서 출현되어 현대 기업경영에 잘 활용되고 있는 제도다. 컨설팅을 하는 컨설던트는 기업경영의 최고 전문가들로 문제가 제기된 기업이 요청할 경우에 분야별 전문 컨설던트가 함께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자문과 상담을 해 줄뿐 아니라 문제가 깊은 분야는 이들이 대신 위탁관리해 주는 활동이다. 그리고 컨설팅 결과는 기업성과로 도출되므로 컨설팅 과정에서도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 컨설팅을 우리 교육에 벤치마킹하여 학교컨설팅 장학활동으로 명명한 것이다. 이를테면 '수업컨설팅’, ‘학교컨설팅’, ‘교육컨설팅’, ‘컨설팅 장학’, ‘교수학습 컨설팅’ 등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컨설팅은 학교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함께 해결하는 활동이다. 그러나 학교 문제는 기업처럼 그 원인 진단이나 방향 설정이 그리 간단하지 않다는 점이다. 기업은 기획에서 생산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그 원인을 찾기 위해 기업환경이나 인사조직, 설비, 유통, 마케팅 등 대부분이 계량화되어 그 효과를 보다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학교는 문제가 다르다. 학교는 사람을 교육하는 곳이므로 대부분의 문제가 인간관계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로 그 원이 매우 복합적인 심리적 관계로 계량화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비슷한 학교환경이라 하더라도 문제의 내용면에서는 매우 다르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다양하고 복잡한 학교문제를 학교 내의 인사도 아닌 외부 인사나 다른 학교 컨설턴트가 컨설팅하기란 정말 어려운 일이다. 학교컨설팅 활동은 무엇보다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진단은 의뢰인이 갖고 있는 문제나 앞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는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분석하고, 그 문제의 원인을 밝혀내며, 대안 수립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이다. 그러나 학교구성원들 간에도 서로 밝히기 싫어하는 사실을 제 3자인 컨설턴트에게는 쉽게 털어놓는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또 아무리 전문성을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타인의 마음속을 들어다보는 일은 그야말로 ‘장님 코끼리 만지기’와 별다를 바 없다는 생각이다. 사실 필자도 여러 학교를 다니면서 학교컨설팅을 해봤지만 단지 설문이나 상담을 통한 진단은 진정한 속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일이며 이를 섣부르게 진단내리기도 정말 힘든 일이다.

학교컨설팅 장학의 도입 배경은 지금까지 해온 장학활동은 피장학자인 교사가 스스로 원해서 하는 장학활동이 아니라서 진정한 장학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학교컨설팅은 Top-down이 아니라 교사가 스스로 요청에 의한 자발적인 장학활동이라 새롭고 성공적인 장학이라는 주장이다.

학교컨설팅의 목표는 학교가 자생적 활력을 함양하여 교육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데 있다. 과연 그런 것인가. 장학을 받는 자가 필요에 의해서 요청하는 컨설팅인가. 한 번쯤은 반성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일선 학교에서는 컨설팅에 대한 올바른 개념 이해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없지 않다. 그리고 컨설팅 장학과정에 대해선 더더욱 모른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학교컨설팅을 제대로 활용하란 어려운 것이다.

우리 교육은 너무 한꺼번에 모든 정책을 몰아간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성급한 교육정책인 것이다. 교육 정책자들이 교육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입이 마르도록 그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진작 자신들의 교육정책은 다양성이 아닌 획일성으로 밀어붙인다. 무엇이 획일성이고 다양성인지 혼동하고 있는 느낌이다. 분명히 학교컨설팅은 학교장학의 한 종류인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자율적․선택적으로 다양한 장학활동이 이루어져야 진정한 장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학교문제에 대해서는 그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 이상 잘 이해하는 사람은 없다. 그 해결방법도 그들이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선학교의 모든 장학활동이 학교컨설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심히 걱정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장학활동이 탄생되고, 학교는 또 다시 새로운 실험을 해야 하는 누를 되풀이 되는 한 우리 교육에 희망이 없다. 정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새로운 정책이 다시 한 줄로 세우는 잘못된 교육정책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교육의 전문가인 교원에 자격증을 주었다면 이젠 교원에게 교육을 믿고 맡겨야 한다. 교원의 전문성은 뒷전에 버려두고 정부의 교육정책에만 몰두해야 하는 학교교육은 이젠 피로감만 느낄 뿐이다. 물론 우리 교원들도 깨달아야 한다. 이젠 전문가의 자질을 발휘하는 교육을 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그래서 스스로 찾아다니면서 연수와 연구하는 교사, 학생들에게 감동을 주는 교사로 거듭나야 우리 교육에 희망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