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컨설팅 장학이 전면 시행되고 있습니다. 컨설턴트로서 의뢰 선생님들의 마음에 감동을 전할 수 있는 컨설팅을 위한 세 가지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이야기 하나. 수업 연구대회 입상을 위한 컨설팅 혹은 유기한적으로 특정교과의 교수법 향상 및 학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설팅이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컨설팅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본인이 추구하는 컨설팅은 한 번의 인연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새로운 생각을 나누는 교육 동지로서의 인연을 추구하는 컨설팅을 추구합니다.
컨설팅의 관계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컨설턴트라고 생각합니다. 의뢰인 선생님들은 컨설턴트에게 무언가 물어보는 것을 매우 어렵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의뢰인 선생님들은 무언가 질문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일을 상대의 시간을 빼앗는 일이라고 생각하십니다. 의뢰 선생님의 경우 교육 경험이 적어서 이 것 저 것 궁금하고 물어볼 것들이 많은데 그 모든 걸 다 물어본다는 것에 대해 염치없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바로 이런 이유로 인해 컨설팅의 유한적인 모습이 많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먼저 멘토 선생님이 적극적으로 의뢰인에게 다가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언제든지 밤이든, 낮이든, 일요일이든, 휴일이든 선생님을 위한 제 마음의 문이 열려있어요 언제든 궁금하신 것이 있으면 연락하세요.” 그렇게 먼저 컨설턴트인 내가 다가갈 때 의뢰 선생님들이야 당연히 기뻐하지 않으실까?
이야기 둘, 컨설턴트로서 평소에 다양한 교육활동 및 교육정보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만의 교육 스토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스토리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아내어 의뢰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풍성하게 준비해야합니다.
“이렇게 해보세요.”가 아닌 이미 내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실천해본 교육 자료의 ABC를 전달해 드릴만큼의 다양한 시도를 해보고 언제든지 누군가 요청할 때 자료를 열어 보일 수 있는 준비를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합니다. 그렇다고 늘 컨설턴트에게 성공적인 경험만 있을 수 는 없을 것입니다. 실패도 훌륭한 스토리고 경험이라고 생각하며 실패 속에서 찾은 경험을 교훈을 전해드리는 것도 훌륭한 컨설팅의 자료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멘토는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드리는 것도 좋은 컨설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 셋, 교단의 학습 문화 만들기를 위한 교육지원청의 노력 및 지원도 중요합니다. 누군가에게 다가가려는 멘토 교사의 노력만으로는 교단의 학습문화를 만들어 가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물리적 거리가 문제가 아니라 배우고자 하는 인식을 가진 자와 주려고 하는 마음만 있다면 얼마든지 컨설팅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늘 같은 공간에서 숨 쉬는 같은 학교 동료 직원끼리의 컨설팅이 더 어려운 것을 보더라도 컨설팅의 시작은 그 무엇보다 ‘배우지 않으면 아니 된다’는 자발적인 학습에의 욕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내가 지금 가르치는 아이들의 일 년은 내 전 교직생애로 볼 때 40분의 1에 불과하지만 아이들의 입장에서 볼 때 대학 입학 전 고등학교까지 정규 교육과정 12년의 1이라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신규교사들이 적극적으로 경력자 선생님들의 노하우를 전수 받아야할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너무 소중한 아이들의 일 년을 담당하는 우리들이기에 컨설팅장학을 통해 경력선생님들의 교육에 대한 노하우를 내 것으로 만드는 노력을 기울이는 분위기 조성에 교육지원청 및 학교관리자들의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교육청 관 주도의 장학대신 컨설팅장학은 의뢰인과 멘토의 개인 동기적이고 비형식적이고 자유로운 만남입니다. 의뢰인과 컨설턴트의 격의 없는 만남으로 시작되어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이루는 만남이 가능하다는 것이 컨설팅장학이 기존의 장학과 갖는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평생학습이 개인의 역량을 좌우하는 미래사회 대비 가장 바람직한 장학의 모습이 컨설팅 장학이 아닐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