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리드하는 리더들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아인쉬타인 케네디 힐러리등 이름만 들어도 그 이름들의 name value를 알 수 있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고전 독서를 통해 그들의 지적, 심적 소양을 높인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고전을 읽고 천재가 되었다는 수많은 위인들이 있습니다. 고전이 천재를 만들어주는 기계가 아니라 생각하지 않고서는 고전을 읽어나갈 수 없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생각하는 과정이 보통 사람을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반드시 요즘같이 입시위주의 암기식 지식 교육이 판치는 우리 교육 현실에서 고전 읽기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전 읽기를 통해 아이들은 사고의 확산과 인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선대의 사고의 결과물인 고전의 내용이 바로 우리가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그 바른 길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본, 미국 등 세계를 리드하는 지도국의 역할을 한 나라들의 공통점 또한. 바로 공자님 말씀인 논어를 연구하고 그 말씀을 그들의 국가 속에서 실천한 나라들이 세계의 리더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입니다. 바로 여기에 본 학습 목적이 있습니다. 미래 인재로서 성장할 우리 아이들에게 동양고전의 정수인 논어를 읽고 생각하고 실천하게 함으로써 그들 인생의 빛나는 기초를 닦아주자는 목적입니다. 어차피 입시라는 제도권 밖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교육의 현실이라면 입시에서 자유로운 초등학교 교실에서 깊이 있게 논어를 읽고 생각하게 하는 교육을 통해 아이들의 인생에서 귀한 경험을 만들어주는 것 어떨까요?
▣ 논어 ! 초등학교 교실에서 언제,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 지도시간: 정규교과 시간을 침범하지 않기 위래서 매일 아침 자습 시간을 활용하여 지도한다. 무엇보다 하루를 시작하는 소중한 아침시간에 일 년간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학습활동을 계획하여 꾸준히 아이들에게 너무나 소중한 학습의 열매를 맺을 수 있는 시간이기에 난 아침자습시간을 절대 놓치지 않는다. 수석이면서 이년간 담임을 고집했던 이유도 아침시간에 아이들과 나눌 수 있는 활동을 계속하고 싶어서 였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만드시 가르쳐 주어야 하고 전해주어야할것이 있다면 시간을 만들어서라도 가르치고 전해주어야 한다. 시간이 없어서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시간을 만들어서라도 해야한다. 그것이 바로 우리 교사들의 의무이다.
◆ 이렇게 지도했습니다. 1. 논어를 소리 내어 읽게 합니다. 2. 읽은 내용 에서 모르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 정리하게 합니다. 3. 글속에 담긴 주요 내용의 의미를 현대적의미로 다시 생각하게 하는 질문을 던집니 다. 이 활동에서 교사의 창의적 역량이 제일 중요한데 이 활동 단계에서 교사는 - 아이들에게 생각의 물꼬를 트게 해 줄 사고력 있는 질문을 연구해야합니다. - 아이들에게 지적 성장과 함께 인성을 길러줄 다양한 실천방법을 연구해야 합니다. 4. 내용을 깊게 이해한 글을 암기하며 내 마음에 깊이 새기게 합니다. 그리고 생활 속 에서 그 교훈을 실천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