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르네상스 전성기가 지난 16세기 말부터 17세기까지 유럽 건축미술의 한 특징을 가리키는 말인 바로크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정답 : 바로크는 ‘찌그러진 진주’라는 뜻의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다.
문> 전성기 르네상스를 논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인물로, 예술과 과학을 아우르는 뛰어난 재능의 소유자인 이 사람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입니다. 그의 이름에서 빈치의 의미는? 정답: 그의 이름에서 언급되는 '빈치'라는 단어는 그가 태어난 곳과 인접해 있는 토스카나의 작은 마을에서 유래한 것이다
문> 1814년(순조 14)에 정약전(丁若銓)이 저술한 어보(魚譜). 3권 1책. 필사본. 정약전이 귀양가 있던 흑산도 연해의 수족(水族)을 취급한 어보이다. 이 책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정답: 책명을 ‘자산어보’라고 명명한 데 대하여 정약전은 자서의 서두에서 말하기를, ‘자(玆)’는 흑이라는 뜻도 지니고 있으므로 자산은 곧 흑산과 같은 말이나, 흑산이라는 이름은 음침하고 어두워 두려운 데다가 가족에게 편지를 보낼 때마다 흑산 대신에 자산이라고 일컬었기 때문에 자산이라는 말을 제명에 사용하게 되었다고 해명하고 있다.
위의 문제들은 학창시절 시험에 단골로 등장했던 문제들이다. 열심히 암기한 탓에 나도 별 망설임없이 척척 답을 써 내려갔을 문제들이다. 하지만 그 답들에 이렇게 또 다른 의미가 숨어있다는 것은 나이 40이 넘어 알게 되었다.
‘단어 하나하나에도 모두 의미가 담긴 것이구나 그리고 역사가 담긴 것이구나’ 알게 된 후로 모든 것을 눈 여겨 보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다. 그런데 그렇게 단어 하나하나 깊이있게 생각하는 버릇은 내가 세상을 보는 틀을 더 넓게 해주었다. 협주곡은 독주악기와 관현악단을 위한 곡임을 알게된 후 어딘가에서 들려오는 음악에서 조차도 악기의 구성을 생각하게 되었다. 알아간다는 이런 것이구나. 짧은 배움에도 내 맘이 기쁘고 더 많은 알아감에 대한 욕심과 호기심이 생기고 그래서 더 무엇이든 진지하게 배우고 시험에 나올만한 문제만이 아닌 지식에 담긴 또 다른 의미를 아이들에게 전해주며 아이들에게도 알아감이 얼마나 신나는 일인지 알아가게 하는 일이 진정한 배움의 기쁨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