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0.7℃
  • 흐림서울 17.5℃
  • 흐림대전 18.1℃
  • 대구 17.3℃
  • 울산 15.5℃
  • 광주 18.4℃
  • 부산 16.0℃
  • 구름많음고창 17.9℃
  • 흐림제주 17.8℃
  • 맑음강화 17.6℃
  • 흐림보은 16.8℃
  • 흐림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7.4℃
  • 흐림경주시 17.2℃
  • 흐림거제 17.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사회의 속도를 앞서가는 교육이 필요하다

세계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미국의 시카고대는 처음부터 일류 대학이 아니었다. 시카고대가 약진한 것은 1920년대 로버트 허친스 총장 때부터다. 허친스 총장은 위대한 고전 100권을 달달 외울 정도가 아닌 학생은 졸업시키지 않는다는 소위 ‘시카고 플랜’을 도입했다. 그 결과 시카고대는 1929년부터 2000년까지 노벨상 수상자 68명을 탄생시킨 세계 굴지의 교육기관이 됐다.

미국 명문 교양중심대학(liberal arts college)인 세인트존스칼리지는 고전 100권을 읽고 토론하는 수업이 4년 커리큘럼의 전부다. (동아일보 인용)

인문 고전이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보여주는 신문 기사다. 이미 인문학이 사람을 그리고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실제로 증명되고 있음을 이미 많은 신문기사를 통해 보아왔다.

서울대 인문대가 내년부터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문학의 본질’을 익히는 고전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한다. 해마다 고전 3권을 선정해 읽고 소모임을 통해 토론을 벌이는 수업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미 많은 기업체에서 경영의 기본을 인문학에서 찾으려는 노력은 더 오래전부터 진행되고 있다.

사람을 변화하게 하는 인문교육이 왜 서울대에서만 이루어져야 하는가? 아니 서울대의 인문고전 교육이 신문에 실린다는 것 자체가 인문고전 교육이 그리 흔치 않음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인가? 교육의 효과가 명확하다면 이미 누군가에의 의해서 증명된 교육내용이라면 헤아리고 따질것없이 학교 속으로 그 교육을 끌어들여야 할 것이다. 고전을 가르칠만한 교사가 없다면 교사의 고전 학습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거나 이미 만들어진 인문고전 강의 프로그램을 적극 학교속으로 끌어들여야만 한다.

사회의 흐름에 가장 민감해야 할 자들이 바로 교육기관이다. 우리 아이들이 사회속에서 잘 기능하고 적응하고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바로 교육목표의 하나가 되어야한다. 바로 아이들이 살아갈 곳이 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변화를 늘 예의주시하고 그 변화를 학교현장에 발빠르게 도입하고 적용하는 것이 바로 학교를 살리는 길이다. 아니 사회의 변화를 리드하는 교육철학이 그리고 교육실천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학교의 신뢰를 얻는 길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