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9.3℃
  • 맑음서울 30.0℃
  • 맑음대전 31.6℃
  • 맑음대구 32.9℃
  • 구름조금울산 25.1℃
  • 흐림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5.4℃
  • 구름많음고창 27.3℃
  • 흐림제주 25.8℃
  • 맑음강화 26.2℃
  • 맑음보은 30.5℃
  • 구름조금금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6.3℃
  • 구름많음경주시 27.9℃
  • 구름조금거제 24.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학교교육에서의 집단지성 활성화

‘위키노믹스(Wikinomics)’의 저자인 돈 탭스콧(Don Tapscott)은 똑똑한 소수가 경제를 이끌던 이코노믹스(Economics)의 시대가 끝나고 다수의 집단 지성이 경제를 주도하는 위키노믹스(Wikinomics)의 시대가 열렸다고 선언했다. 실제로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등의 분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교육에서도 집단 지성이 화두가 되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이젠 여러 명이 모여 만드는 집단지성이 ‘한 명의 천재보다 백 명의 다수가 더 똑똑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모든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이트가 되었으며, 수많은 기업들이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있다. 어느덧 소셜 네트워킹과 집단지성은 비즈니스의 핵심 전략으로 부상했고, 커뮤니티, 오픈 소스, 위키노믹스, 크라우드소싱과 같은 용어들이 비즈니스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SNS 사이트를 이용하면서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었으며, 그들이 모여 ‘집단지성’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가고 있다. 따라서 아무리 뛰어난 천재성을 가진 리더라 하더라도 혼자서 경쟁력 있는 아이디어를 찾거나 복잡한 의사결정을 하기에는 어렵다. 이렇게 집단 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을 통해 얻게 된 집단의 지적 능력을 의미한다.

본래 집단 지성은 미국의 곤충학자 윌리엄 모턴 휠러(William Morton Wheeler)가 한 개체로는 매우 미미한 흰개미들이 협업을 통해 과학적으로 뛰어나고 규모도 거대한 개미집을 만드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처음 제시한 개념이다. 즉 개개인의 지식과 창의력이 모이면 훨씬 더 큰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집단 지성을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창의성과 통찰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천재적 인물이 현실적으로 희소하다는 점이다. 리더십 분야의 전문가인 제프리 코헨(Jeffrey Cohen)은 혁신가들은 뛰어난 관리자 중에서도 5~10%에 불과하다고 했다.

둘째, 요즘처럼 예측 불가능하고 경쟁적인 구도 하에서는 유능한 리더라 하더라도 경쟁력 있는 아이디어나 적시의 의사결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미 많은 경영학자들이 ‘천재가 먹여 살린다는 것은 20세기 말에나 가능했다’고 말하고 있다.

셋째, 세상 변화에 따라 학교경영 방식이 변해야 한다는 점이다. 교육이 변화하고 혁신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르게 학교구성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더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내기 위해 협업하는 방식으로 진화해야 오늘날의 경쟁적인 교육환경 속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넷째, 집단 지성은 조직 내 형성되어 있는 조직 논리나 리더들이 빠지기 쉬운 자기 합리화 편향 등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효과가 매우 크다.

돈 탭스콧이 ‘이제는 참여와 협업의 시대’라고 말한 이래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등에서 집단 지성이 활용되고 있지만  학교교육에서는 여전히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중요한 원인 3가지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쟁중심의 잘못된 우리 교육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리 교육이 성적 제일주의로 인한 학생간, 학교간의 경쟁적인 시스템이 가동되면서부터 학생들은 친구들과의 협동보다는 개인주의 환경으로 바뀌었다. 대학입시라는 대명제하에 학생들은 친구들 간의 치열한 경쟁에서 이겨야 보다 좋은 대학에 입학하고 더 좋은 직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다보니 토론과 협동보다는 비판으로 개인주의, 이기주의를 몰고 왔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의 집단 지성은 단지 이상적이고 교과서적인 단어로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교사의 수업모습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지식을 가르친다. 학생들이 요구하는 지식은 공동사고를 통한 집단지식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보다 가공된 많은 지식을 원하고 있다. 어차피 경쟁교육에서 남보다 앞서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지식을 외우고 익혀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의 수업은 집단지식을 위한 토론이나 토의수업이 아니라 일제 암기수업으로 흐르는 것이다. 또한 토론이나 토의를 할 정도의 여유 있게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지 않은 점도 그 원인 중 하나이다.

끝으로 여전히 ‘시키는 대로 해’라는 우리의 정서가 남아있는 것도 집단 지성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우리는 아직까지도 관료적이고 유교적인 정서나 문화가 마음 깊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정서와 문화는 능동적이기 보다 피동적인 행동에 높이 인정받고 ‘젊잖다’란 호의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래서 나서기보다는 참고 묵묵히 따라하는 것이 오히려 조직관계에서 좋은 인식이 되어 온 것이다.

그렇다면 학교교육에서 어떻게 집단 지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까?

첫째는 학교교육의 자료나 지도방법에서 서로 공유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집단 지성은 공유에서 시작된다. 리누즈 토발즈(Linus B. Torvalds)가 연구한 내용을 인터넷에 공유함으로써 리눅스가 시작된 것처럼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지식이나 문제를 구성원들과 공유해야 한다. 학교구성원 각자가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자료나 방법을 서로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는 집단지성은 기존의 전통적 리더십이나 위계적인 리더십을 탈피해야 한다.
전통적이거나 위계적 리더십으로는 학교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업, 자율성이라는 특징을 지닌 집단 지성이 발휘되기 어렵다. 집단 지성의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생각의 결합, 구성원들의 호기심과 열정 발휘, 인정과 성취감 등인데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 교육리더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육리더와의 수직적 조직이 아니라 수평적인 조직이 될때 쉽게 소통할 수 있다.   

셋째는 교육성과는 반드시 집단 지성과 개인 지성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그래서 요즘에는 학교교육계획도 모든 교직원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렇게 집단 지성을 활용하러면 교직원들의 다양한 생각과 아이디어를 끄집어내고 결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를 의사결정하고 실행시켜 성과로 창출시키는 데는 교육리더 역할이 여전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교육리더가 학교문화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는 집단지성을 위한 학교조직 구조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교의 부서나 학년단위를 벗어나 전 교직원의 집단 지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조직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집단 지성에 적합한 미래형 조직의 모습에 대해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우리의 학교조직은 집단지성을 허심탄회 논의할 수 있는 구조나 분위기가 되어있지 못하다. 따라서 집단지성은 공식조직만큼이나 비공식조직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이처럼 학교교육에서 집단 지성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말처럼 그리 쉽지 않고, 기존 학교조직 운영 방식을 바뀌는 것도 그리 쉽지 않다. 문제는 학교의 리더다. 리더가 먼저 아이디어와 정보를 공유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먼저 실천해야 한다. 여기에 학교구성원들도 전문적인 지식을 쌓기 위해 끊임없이 협력하고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