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국가의 안보는 정치권이나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군인들에게만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러나 현대의 전쟁은 총력전임을 그 특색으로 하고 있다. 이제 다시 이땅에 전쟁이 일어난다면 6.25와 같은 피난 행렬도 불가능하며 앉은 자리에서 자신의 위치를 사수하는 길 밖에는 없을 것이다. 우리 역사를 되돌아보면 국가가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여성들의 역할은 대단한 힘을 발휘하였다. 그것은 바로 가정의 중심을 이룬 어머니들의 가정교육을 빼 놓을 수 없다는 점에 있었다.
얼마 있으면 여순 감옥에서 교수형으로 사형이 집행 될 아들 안중근을 생각하며, 그 아들이 입고 갈 수의를 바느질 하던 그 어머니 마음이 어떠했을가? 그 어머니는 그 아들이 마지막으로 입고 갈 수의를 한 달 내내 정성을 들여 바느질 하였다고 한다. 그 수의를 바느질 하면서 얼마나 많은 눈물울 흘렸을가? 어머니의 찢어지는 마음을 읽으며 묵상을 해 드리자니 내 가슴이 메어 오른다. 그리고 눈물이 쏟아진다.
남편이 죽으면 산에다 묻고 자식이 죽으면 가슴에 묻는다고 하였다. 하물며 사형선고를 받고 죽음을 기다리는 아들을 생각하는 어머니의 마음. 가슴에 묻는 것이 아니라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아픔이었을 것이다. “옳은 일을 하고 받는 형(刑)이니 비겁하게 삶을 구걸하지 말고 떳떳하게 죽는 것이 이 어미에 대한 효도인 줄을 알아라. 살려고 몸부림 하는 인상을 남기지말고 의연하게 목숨을 버리거라. 너의 죽음은 너 한 사람의 것이 아니다. 네가 만일 이 늙은 어미보다 먼저 죽는 것을 불효라고 생각한다면, 이 어미는 조소 거리가 된다. 너의 죽음은 너 한 사람의 것이 아니라 한국인 전체의 공분(公憤)을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영국 정보국은 “3·1운동 때 젊은 여학생들 적극 가담” 했다는 정보를 공개했다. 영국 정보국(SIS)은 1912년 창설된 기관으로 미국 중앙정보국(CIA) 등과 함께 대표적인 세계 정보기관으로 꼽힌다. 1919~1923년 작성된 이 보고서는 '3·1운동에 수많은 젊은 여학생들이 적극 가담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해 임시정부가 본국과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자금을 받았는데 대부분의 한국인이 자발적으로 성금을 냈다는 것이다. 의열단은 한국인 비밀결사체로 국내외 지부를 두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에 있는 일본인 관리들을 암살하는 게 목적이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한 가치에 대하여 독립기념관 김도형 박사는 “세계 최고의 정보국 가운데 하나인 영국 정보국 극동지부에서 당시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첩보 내용을 본국에 지속적으로 보고했다는 점과 독립운동에 대한 영국의 관점을 살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요즈음 같이 국사교육도 입시에 도움이 되지 않으면 관심이 희박해진 현실 속에서 국가의 장래를 짊어질 후세들에게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 나라를 사랑하는 길인가를 묻는 소수의 학생들에게라도 제대로 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