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한 사립 전문대학에서 신입생 예절 지침 문건을 돌렸다. ‘디지털영상디자인과 신입생 예절’이란 제목의 이 문건에는 신입생이 선배에게 지켜야 할 행동 지침 5가지가 담겨있다. 이 중에 신입생이 선배와 있을 때 담배를 피려면 먼저 선배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는 항목은 애교로 봐 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내용은 지성인의 모임인 대학생 문화라고 보기 어려운 것이 있다. 일부는 인권 침해 요소도 있다.
선배는 후배에게 대화법까지 지시하고 있는데, 군대 문화와 비슷하다. 신입생은 선배들에게 늘 먼저 “안녕하십니까, 선배님”, “안녕히 가십시오. 선배님!”하며 인사를 해야 한다. 선배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을 때도 “안녕하십니까? 선배님, OO학번 OOO입니다.”라고 대답하라고 권한다. 그리고 선배에게 전화를 할 때는 “안녕하십니까? 선배님, 통화 가능하십니까?”라고 말을 건네야 한다. 어말어미를 ‘다’와 ‘까’로 끝내는 말투는 군대에서 사병끼리 사용하는 말투다.
이 말투는 군에서 선임자와 후임자 사이의 엄격한 관계를 맺기 위해서 사용하는 말투다. 그런데 이런 말을 대학생 신입생에게 강요하는 것은 선후배 관계를 군대처럼 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물론 이것이 군대 화법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사회에서도 정중한 표현을 위해 이런 화법을 많아 구사한다. 문제는 잘못된 사용에 있다. 무조건 ‘다’나 ‘까’로 문장을 맺으려다 보니 자연스럽지 않다. 그리고 군대는 엄격한 계급 사회이니 정중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도 있다. 하지만 대학에서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거부감이 인다.
배포된 문건에는 앞존법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는 압존법을 잘못 썼다. 압존법이란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아, 그 주체를 높이지 못하는 어법을 뜻한다. 예를 들어 압존법에 따라 “교수님, 선배가 아직 안 왔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학과는 이런 표현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무조건 선배님이라고 해야 하나 보다. 다섯 번째의 3S(speed, sound, sense)도 충분히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추측해 볼 때 선배들을 대할 때 ‘빠르게(speed), 큰소리(sound), 감각(sense)을 갖춰라’는 뜻으로 보인다. 이 상황도 군대와 비슷하다. 선임자가 부르면 신속하게 대답하고 큰소리로 대답해야 한다. 마지막 신입생들에게 학과 행사에 불참은 없다며 무조건적인 참여를 강요하고 있다. 단체 생활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개인의 사정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 강압적인 문화다.
대학에서 일부 학과는 강권의 문화를 전통으로 계승하는 경우가 있다. 대학에서 단체 생활을 강요하며 일렬로 줄을 세워놓고 기합을 주기도 한다. 심한 경우 구타를 한다. 2008년에 모 대학에서는 체력단련을 마친 신입생이 뇌사상태에 빠진 사건이 있었다. 당시 피해자의 몸에 생긴 심각한 구타 흔적으로 보아 체력단련이라는 명목 하에 폭행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선배라는 이름의 폭력은 강제적인 술자리와도 연관된다. 대학가에서 새내기를 맞이할 때 사발 같은 큰 그릇에 술을 가득 담아 한 번에 마시는 사발식을 한다. 이때 후배들은 강압적인 분위기 때문에 선배들이 주는 술을 받아 마실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신입생이 만취한 상태로 건물에서 추락사하거나, 급성 알콜 중독으로 사망하는 사건도 있었다. 이러한 강요는 성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2011년 대학 모임에서 성관계를 묘사하는 행위를 신입생에게 강제로 요구했던 사진이 인터넷 유포되어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이런 사건이 있을 때마다 법의 심판을 받고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았는데, 아직도 폭력이 반복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신입생은 학과 내 분위기에 저항하기 힘들다. 소위 전통의 계승이라며 따르게 한다. 그리고 학교생활을 하다보면 선후배 관계가 원만해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 참는다. 아울러 본인도 선배가 되면 대물림해야 하는 통과의례 정도로 생각한다. 그리고 대학 내 폭력 방지 교육이 없고, 가해자 처벌 규정도 미미하도 없다. 이러다보니 피해자들은 강압적인 문화를 수용하거나 학교를 떠나는 방법 밖에 없다.
대학은 지성인의 집단이다. 자율성과 타인을 존중하는 문화가 성행해야 한다. 대학 고유의 전통을 잇는다는 명분하에 자율성을 억압하고, 폭력을 휘두르는 현실은 부끄러운 일이다. 이는 더 이상 대학 문화가 아니다. 서로 보살피고 돕는 아름다운 문화가 필요하다. 대학 당국과 교수들은 대학생이 성인이라는 핑계로 생활 지도를 안 하는 경우가 많다. 성인이라도 제대로 가지 않으면 교육을 해야 한다. 적극적인 신입생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비민주적 전통을 타파하는 지도를 해야 한다. 대학에서 자신의 의도와 반하는 강압적인 지시를 받고, 인권을 침해받는다면 어른들이 보호해 주어야 한다. 교수들도 개인 연구와 함께 어린 학생 지도에 힘을 쏟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