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1.6℃
  • 맑음강릉 9.1℃
  • 구름많음서울 14.4℃
  • 구름많음대전 15.2℃
  • 흐림대구 12.4℃
  • 흐림울산 10.7℃
  • 흐림광주 17.3℃
  • 흐림부산 13.0℃
  • 흐림고창 14.8℃
  • 구름조금제주 17.1℃
  • 구름많음강화 12.8℃
  • 흐림보은 11.5℃
  • 흐림금산 14.0℃
  • 흐림강진군 14.4℃
  • 흐림경주시 10.1℃
  • 흐림거제 13.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세계 최대 지식 콘서트 TED에 참석하는 이유

지난 달 2월 25일부터 이달 3월 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롱비치 센터 시어터에 세계 최대 지식 콘서트 TED컨퍼런스가 열렸다. TED는 기술(Technology)·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디자인(Design)이 하나로 어우러진 세계 최대의 지식 콘서트다. 원래 TED는 폐쇄된 행사였다. 건축가이자 정보 설계 디자이너인 리처드 솔 워먼이 기술과 오락·디자인의 융합을 꿈꾸며 1984년 만들었다. 이때 애플의 맥컴퓨터가 처음으로 선보였고, 관람객 중엔 젊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스티브 잡스 전 애플 최고 경영자(CEO)가 있었다.

그런데 2001년 미디어 사업가인 크리스 앤더슨이 TED를 인수하면서 성격이 달라졌다고 한다. 앤더슨은 ‘퍼뜨릴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를 모토로 내세우며 개방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하여 2006년부터 인터넷에 무료로 강연을 공개했다. 늦어도 한 달만 기다리면 대부분의 강연은 인터넷에 올라왔다. 그런데 이 행사에 직접 참가하려면 7500달러(약 820만원)가 필요하다. 역시 값이 비싼 단점이 있지만 다른 세상이 알지 못하는 것을 먼저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모인 이유는 단순히 강연만 듣겠다는 목적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번 행사에 참가한 가까운 지인이 그곳 소식을 전해주어 알게 되었다.

사람들은 자기 계발을 위하여 열심히 독서를 하고 자기 보다 뛰어나 사람의 강의를 듣거나 직접 만나기를 원한다. 그만큼 배움을 우선 순위에 두고 있으며 누구를 만나 마음속에 담느냐에 따라 사람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현장에서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누구를 만났는가? 조사를 해 보면 역시 거의 대부분이 우물안의 개구리로 살고 있음을 느낀다. 앞으로 누구를 만나고 싶은가? 물으면 이름은 대지만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은 시원하게 이야기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만큼 가능성이 낮은 것이다. 이제 그런 아이들에게 위대한 인물을 만나는 길을 알게되었다. 7500달러를 들여 TED컨퍼런스에 가 보라고 하는 방법이다.

우리에게 부담스러운 7500달러는 단순한 강연을 듣기 위한 비용이 아니라 참가자 간의 네트워크에 지불하는 가치라는 사실이다. 유명한 CEO는 널렸고, MIT 출신은 부지기수이다. 옆자리에 세르게이 브린 구글 창업자가 앉을 수 있고, 점심식사 자리에선 앨 고어 전 미 부통령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그저 이름만 알고 지내는 ‘느슨한 관계’가 친하게 알고 지내는 ‘밀접한 관계’로 이루어지며 보다 최신 정보를 얻는 데 더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다. TED에서 만들 수 있는 네트워크의 가치는 7500달러 이상이라는 것 이었다.

그런데 그곳에 한국인의 모습보다는 일본 기업인들만 10명이 넘었다는 것이다. 한국은 지금 창조 경제를 이야기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와 이제 국경없는 시대를 맞이하여 국내 시장만을 타깃으로 해선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최고급 인재가 모이는 TED 같은 곳에서 네트워크를 쌓아야 할 시대가 온 것이다. 언제까지 이 프로그램이 진행될지는 두고 봐야 알 일이지만, 내가 몸 담고 있는 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이 지금 단지 종이에 만나고 싶을 사람 이름만 적어 내는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직접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만나고 싶다고 쓴 사람을 만나 행복감에 젖는 모습을 보고 싶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