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4~15일 화성 라비돌 리조트에서 2013 수석교사 역량 강화 직무 연수가 있었다. 경기 지역 초등 153명, 중등 197명의 수석교사를 비롯해 경기도교육청 부교육감 허봉규, 정수근 장학관, 강영남 장학관, 김수진 장학사 등이 참가했다. 이날 연수는 2013 NTTP 교육연구회 연구 활동의 일환으로 수석교사가 중심이 된 경기도 창의지성컨설팅 교육연구회(회장 조경희․경기도 중등 수석교사회장) 연수 활동이다.
연수 시작은 소설 연탄길의 저자 이철환의 ‘무엇을 어떻게 꿈꿀 것인가’라는 강의로 문을 열었다. 소설가 이철환은 자신의 창작 경험을 바탕으로 삶의 길을 묻는 질문을 던졌다. 큰 나무가 되려면 몸집을 불리는 것이 아니라 뿌리가 튼튼해야 하는 것처럼 우리의 확장을 원한다면 내면의 깊이를 고민하라는 화두를 던졌다. 그리고 행복한 선생님이 행복한 학교를 만든다고 전제하고, 선생님이 행복한 삶을 당부했다.
이어 허봉규 부교육감의 특강은 경기도 혁신학교에서 수석교사의 역할을 강조했다. 수석교사는 현장에서 좋은 수업을 실천하는 선봉자로서 아이들에게는 꿈을 키우게 하고, 동료 선생님들에게는 희망을 주는 역할을 당부했다. 수석교사는 단위학교 내에서는 교수학습, 교육과정, 생활지도, 학급경영 등에 대한 컨설팅을 하고, 지역 교육청 단위에서도 수업과 평가 혁신의 전문가이며 그 역할의 실천가이면서 책임가임을 강조했다.
이 밖에 이종원 교육부 교원정책과 연구사, 박승배 전주교대 교수, 김명재 교문중 교장, 강경수 한국리더십센터 교수 등의 강의가 있었다. 강의는 새로운 시대에 길을 나선 수석교사는 수업 실천가이면서 지원가라는 임무 수행을 위해 갖추어야할 역량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문성 신장을 높이는데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날 연수의 핵심은 저녁 식사 후 토론회였다. 그동안 수석교사가 법제화되고 2012년, 2013년 2년에 걸쳐 수석교사제가 운영되고 있지만, 수석교사끼리의 토론회는 없었다. 그래서 이날 초등은 수석교사 전문성 역량과 발전 방향에 대해서 패널 토의가 있었고, 중등은 ‘대한민국 수석의 길을 묻다’라는 토론회를 열었다.
특히 중등 토론회는 수석교사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자성과 미래 지향점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가장 먼저 수석교사제의 역할에 대한 검토를 해 보았다. 수석교사가 출발하는 시기의 교육부 보도 자료에 의하면, 수석교사제는 교사 본연의 가르치는 업무가 존중되고, 그 전문성에 상응하는 지위와 권한,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수업전문성을 지닌 우수한 교사가 존중받는 교직 풍토 조성을 기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를 다시 해석하면 수석교사제는 교내 수업 활동 지원과 연수 주도 등을 지원하며, 신규 또는 저경력 교사의 수업 기술 및 교직 생활 전반에 멘토가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실 수업을 개선하고 가르치는 교단 중심의 학교 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수석교사는 법 취지에 맞게 학교 현장에서 전문성을 함께 나누는 학습 조직화에 기여하고, 동료 수업 지원 문화 형성에 앞장서 교육의 국가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수석교사의 미래 지향점에 대한 이야기도 심도 있게 검토해 보았다. 전통적으로 우리 학교의 모습은 행정 업무 중심이었다. 이는 학교의 문화를 경직시키고, 학교의 학습 문화를 퇴보하게 한다. 하지만 수석교사 중심의 새로운 문화는 학교 현장에서 주로 다루어지던 행정 업무에서 벗어나 수업에 관련된 제반 연구 문화를 활성화하여 학교 문화를 창조할 수 있다. 이렇게 교사 본연의 가르치는 업무를 존중하는 것은 우리 공교육을 살리고, 학교 교육 발전은 물론 나아가 대한민국이 교육 강국으로 나가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수석교사제는 현실적인 학교의 모습에서도 바람직한 기여를 한다. 학교는 단선적 승진 시스템으로 승진 욕구가 과열되고 있다. 교직 특성상 폐쇄적 승진 구조는 미래 교직 사회를 학습 조직화로 가는데도 걸림돌이 된다. 이런 취지로 수석교사제는 수업전문성을 가진 교사를 우대하는 시스템으로 나가야 한다. 우대는 단순한 추상적인 표현으로 실현되지 않는다. 수석교사제가 처음 의도한 승진 시스템이 등이 뒷받침 돼야 우수한 교사를 확보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최근 급변화고 있다. 학교도 마찬가지다. 획기적인 발상과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수석교사제는 우리 교육계가 30년이 넘게 주장해 오던 것이다. 교사들이 꿈과 희망을 가지고 열정을 다해 학생 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제도이다. 미래 우리 학교의 모습을 가르치는 문화로 전환하는 중심이 될 수 있다. 지금 눈앞의 모습만 집착하고, 기득권에 안주하려면 조직과 사회는 발전할 수 없다. 미래의 모습에 기대를 걸어야 한다. 그렇다면 수석교사제는 미래 교육을 위해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제도이다. 미래 교육을 위해서 지금 우리가 가야 할 길이 무엇인지 물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