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덕홍 교육부총리는 즉각 퇴진해야 한다. 그 동안 잦은 말 바꾸기로 자질이 의심되었지만 교육수장의 잦은 교체에 따른 부작용을 익히 알고있기 때문에 인내하면서 지켜보아 왔다.
그러나 장관의 무소신, 무원칙한 행정으로 학교가 일대혼란에 직면하고 교단이 파국으로 치닫는다면 한가로이 장관의 임기 보장을 운운하는 명분론에만 집착하고 있을 수 없다.
첫째, 장관은 정책 혼란을 부추긴 1차적 책임자이다. NEIS 중단, 시행, 인권위 존중, 다시 시행이라는 갈지자 행보를 거듭함으로써 업무 파악은커녕 혼란을 더욱 부추겨 왔다.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 답변에서 NEIS 시행을 천명하고도 이를 뒤집는 행위는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다.
인권위 결정에 따르겠다고 섣불리 밝힘으로써 정책 책임자로서 주무장관의 역할을 스스로 부정하기도 했다. 따지자면 현대사회에서 인권침해의 요소가 없는 정책은 거의 없다. 신호등은 보행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지만 생명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 매연이 좋은 공기를 마실 기본권을 침해하지만 자동차 운행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래서 정책적인 판단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앞으로 인권침해의 요소가 있는 모든 문제를 인권위의 결정에 의존할 것인지 되묻고 싶다. 뿐만 아니라 교육개방은 타 부처와의 상의 없이 양허안을 제출하지 않겠다고 했다가 이를 뒤집었고, 전교조 반미수업도 문제가 있다고 했다가 하루아침에 없던 일로 하였다.
둘째, 정책 판단의 균형성 상실이다. 교육정책은 모든 국민이 이해당사자이다. 정부가 학계, 교원단체, 시민단체 등을 망라한 교육행정정보화위원회를 구성한 것도 다양한 견해를 모으자는데 그 취지가 있다. 위원회는 몇 차례의 회의 끝에 NEIS를 보완하여 시행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이러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과정을 일체 무시하고 전체 교육자의 30%밖에 되지 않는 전교조와만 밀실야밤에 합의하여 발표한 것은 정책 결정과정의 균형성을 상실한 것이다.
셋째, 교육을 정치적 논리로 재단하는 치명적인 오류를 남겼다. 교육정책도 엄격히 말하면 정치논리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정년단축 등과 같이 섣부른 정치 경제논리의 부작용의 폐해는 막대하다. 교육장관이 이번 NEIS 파동 시 정치논리를 정책 판단의 결정적 잣대로 삼았다면 교육수장으로서의 자격이 없다.
교육부총리는 이제 자신의 거취에 대해 '정치적 결단'을 내려야 할 때이다. 즉각 퇴진하라는 일선교육계의 여론에 귀를 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