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잘못된 사실들이 믿음으로 자리잡아 우리 생활을 지배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어떤 한 학생은 어디에서 들은 정보인지는 몰라도 3시간만 자고 공부해도 견딜 수 있다는 이론을 믿음으로 신봉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을 중 3시절에 실천에 옮겼다. 성적은 단연 최우수한 결과를 만들어 냈다. 그런가 하면 '중1 첫 시험 성적이 3년 내내 간다.’ ‘고1 모의고사 점수가 수능 점수다.’ 라는 말이 학부모들 사이에서 널러 퍼져있는 자녀 성적에 관한 속설이다.
이는 과연 사실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이다. 유명한 우리나라 한 사기업 교육 업체가 최근 고교생 3228명의 고교 3년 간의 성적을 추적 조사한 결과, 고1 때 내신시험에서 중위권이었지만 수능시험에서 1등급을 받는 사람이 의외로 많았다는 것이다.
고1에 비해 최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기 가장 어려운 과목은 국어였다. 고1 내신 시험과 수능에서 동시에 1등급을 받은 사람이 수학(18.4%), 영어(19.6%)에 비해 국어(2.7%)가 가장 낮았다. 중위권 학생들이 성적을 가장 많이 올린 과목은 수학이었다. 고1 때 수학에서 3등급을 받았지만 수능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은 10.6% 였고, 2등급을 받은 학생도 20.5% 였다는 보고를 하였다.
그렇다면 중하위권 학생들이 성적을 올리기 가장 수월한 과목은 뭘까. 고등학교 때 4~5등급 받은 학생들의 성적 상승 비율이 가장 높은 과목은 영어였다. 그렇다면 영어의 성격을 알아야 한다. 영어는 수학처럼 기초가 중요한 과목이 아니라 단기간에 성적을 올릴 수 있는 성격의 과목이다. 그러므로 중하위권은 영어에 집중하고, 중위권은 수학에, 상위권은 국어과목에서 성적 향상 비율이 가장 높았으므로 이를 참고해 학습 전략을 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