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23.7℃
  • 흐림강릉 15.6℃
  • 맑음서울 23.4℃
  • 구름조금대전 22.3℃
  • 흐림대구 14.6℃
  • 흐림울산 14.0℃
  • 구름많음광주 25.6℃
  • 흐림부산 15.4℃
  • 구름많음고창 21.4℃
  • 구름조금제주 19.4℃
  • 구름조금강화 21.4℃
  • 구름조금보은 20.9℃
  • 구름많음금산 23.9℃
  • 흐림강진군 22.1℃
  • 흐림경주시 13.9℃
  • 흐림거제 14.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사회적 동의와 흡연문제

최근 들어 교내에서 흡연하는 학생들이 많아졌다고 학생부장 선생님이 투덜거리셨다. “성적이 좋은 아이들이 들어와서 학교를 가득 채웠는데, 혹시 과민반응 아닌가?” 물론, 청소년들을 만나볼 기회가 적은 경우에 그렇게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이제 12년차 교사가 볼 때에는 이미 위험수위를 넘지 않았을까 하고 예측해본다.

그 문제가 우리반으로 들어왔다. 최근에 여러명이 학교근처에서 흡연을 하다가 주민에게 사진을 찍힌 것이다. 학생부 선생님이 사진 속에 있는 학생들을 모두 호출하였고 이들은 징계를 받아야만 했다. 도저히 믿겨지지 않았던 나는 그 학생들을 데려다 놓고 한명 한명 상담하기 시작했다. 알아보니, 중학교 때에 무슨 이유인지 모르지만 가출, 폭력, 흡연 등으로 갈 데 까지 가봤던 학생, 중학교 졸업 전에 친구에게 이끌려서 흡연을 한 학생, 중학교 때부터 줄기차게 흡연을 해서 골초가 된 학생, 최근 호기심이 생긴 학생 등등 다양했다. “아, 내가 우리 아이들을 이렇게 몰랐다니!” 반성하고 또 반성했다. 신기하지만 당연한 것은, 아이들이 성적과는 관계없이 단순히 자신의 선택으로 흡연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예전에는 성적이 높은 학생들은 흡연과는 거리가 멀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부모님의 지도와 별개로 학생들은 어디서나 흡연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일례로, 내가 사는 지역은 택지개발지구로 이미 10년 이상이 된 곳이다. 유동인구도 많고 아이들도 많다. 그래서 상가나 빌딩에 빈 곳이 없을 정도다. 이곳에 사는 청소년들을 유심히 살펴보니, 곳곳에서 이제는 담배를 한 손에 갖고 활보하는 중이다. 몇 년 전에만 하더라도, 외진 구석 한 밤중에 겨우 흡연을 일삼던 아이들이 이제는 떼로 몰려다니며 대낮에 흡연을 하고 있으며 전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 ‘이유가 뭘까?’

진짜 문제는, 무엇이 잘못 된 것이며 무엇이 원인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기준이 없다. 흡연은 자신과의 문제이기에 다른 사람이 관여할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언젠가는 자신도 어른이 될 것이기에 지금 미리 한다고 해서 문제될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청소년은 미래를 준비하는 시기이며 미래를 위해 자신의 신체를 깨끗이 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것은 어른이 된 사람들은 다 동의한다. 그래서 청소년들에게 금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청소년들에게 어른들은 이미 권리를 많이 주었다. 청소년들의 생각이 어른을 앞서가게 된 것이다. 생각하지 말아야 할 것을 생각하게 되었고 서로가 서로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생각보다 내 권리를 누리는데 바쁜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사회를 멍들게 하고 죽게 하고 있다. “하고 싶다는 것”은 개인적인 것이며 “할 수 있다”는 것은 사회적 동의를 얻어야 한다. 학생들은 어디에서 사회적 동의를 얻었나?

더 나아가, 학교에서만 흡연을 하지 않으면 된다는 논리를 피는 사람도 있다. 지극히 개인주의적이며 독단적이며 피해망상적이다. 담배 가격이 올랐다고 해서 하지 않는 것이 아니듯, 학생들은 학교에서 하지 말라고 한다고 해서 그만두지 않는다. 이는 사회적인 약속으로 해결해야 한다. 어른들이 학생들에게 할 얘기를 안 하기로 약속한 상황으로 인해 학생들은 방탕으로 치닫고 자기만족주의로 향하고 있다. ‘내 아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우리 아이들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