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0.9℃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6.7℃
  • 흐림대구 13.3℃
  • 흐림울산 12.2℃
  • 흐림광주 18.3℃
  • 흐림부산 13.2℃
  • 흐림고창 14.5℃
  • 맑음제주 18.8℃
  • 맑음강화 11.4℃
  • 맑음보은 14.7℃
  • 흐림금산 16.4℃
  • 흐림강진군 14.5℃
  • 흐림경주시 12.6℃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한일 관계는 아시아의 평화와 발전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가야

올해는 우리에게 광복 70주년이다. 광복 70주년을 맞는 오늘 한·일이 여전히 화해하지 못하고 아베 총리의 담화 하나, 문구 하나에 한·일관계를 가늠해야 하는 상황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이번 담화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악화된 한·일관계를 방치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이다. 이 시점에서 그 의미를 되새겨보고 우리의 나아갈 바를 찾아야 한다. 겉으로 드러난 담화 내용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한·일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원칙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경제와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협력하는 이른바 ‘투트랙’ 전략을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서대문독립공원에서 무릎을 꿇고 독립운동 선열에게 사과한 것처럼 상당수 일본인은 화해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희망한다는 점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단지 이러한 일본의 양심세력이 일본사회의 주류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안타까울 뿐이다.

과거사 사죄란 과거 일본 제국주의의 잘못에 대해 현직 일본 총리가 일본을 대표해서 한국인에게 진정 참회한다는 의사를 명백히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아베 총리는 과거에 충분히 사과한 만큼 이제는 필요 없다는 식으로 말했다. 나아가 전쟁과 무관한 세대까지 사죄할 이유가 없다고 한 것은 앞으로 전쟁의 책임에서 자유롭게 됐다고 선언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처럼 더 이상 과거사에 발목 잡히지 않겠다는 자세가 위험스럽다. 그러기에 후세들에게 올바른 역사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내용을 배운 일본의 젊은이들이 한국 등 아시아와의 관계에 입각하여 아시아와 함께 살아감으로써 세계속의 일본으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강제동원한 사실을 언급하지 않은 채 ‘명예와 존엄을 상처받은 여성’이라는 막연한 표현으로 에둘러 갔다. 특히 “러일전쟁은 식민지 지배하에 있었던 많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인들에게 용기를 줬다”며 대한제국 합병의 발판이 된 러일전쟁을 미화하기도 했다. 국내외 전쟁 피해자에 대해 머리 숙여 통석의 염을 표하고 애도한 것은 평가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진심보다 외교적인 수사가 넘쳐나는 이번 담화가 주변국들과의 관계개선을 촉진하는 계기를 제공할지는 회의적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가 한일관계를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올바른 역사관을 가지고 한일관계를 우호적으로 이끌어 가고자 하는 양심적인 선량하 일본국민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한일 관계는 영원한 대립과 경쟁의 관계가 아닌 우호협력의 관계만이 동아시아의 평화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한일관계는 중국, 몽골, 동남아를 포함하는 아시아의 평화와 발전을 촉진하는 가운데 한일협력을 진척시켜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다.

일본이 다음 세대를 과거사의 족쇄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싶다면 '진실된 마음으로부터 사죄'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독일처럼 과거 침략행위에 진심으로 반성하고 이를 실천하지 않는 한 국제사회 특히 동북아에서 일본의 리더십은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다. 최근 한국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에서는 일본인을 좋아한다는 응답이 15.2%인 반면 싫어한다는 응답은 48.5%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어제 발표한 아베 담화가 한·일, 한·중 간 갈등을 잠재울 수 있을지 우려되는 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