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1.5℃
  • 맑음서울 17.7℃
  • 맑음대전 16.8℃
  • 흐림대구 13.6℃
  • 흐림울산 12.3℃
  • 흐림광주 18.8℃
  • 흐림부산 13.2℃
  • 흐림고창 14.1℃
  • 맑음제주 19.1℃
  • 맑음강화 11.7℃
  • 맑음보은 13.9℃
  • 흐림금산 16.5℃
  • 흐림강진군 14.3℃
  • 흐림경주시 12.7℃
  • 흐림거제 13.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유경야, 목표에 이르는 길이 있다

유경아, 세상을 잘 산다는 것은 원래 쉬운 일이 아니다. 쉽다면 다 성공하고 행복할 것이다. 성공은 마지막에 보는 것이라면 행복은 일상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너의 꿈은 무엇인지? 미래에 대한 꿈이나 비전 혹은 목표가 없다면 늘 근심 속에서 살게 된다. 목표는 근심을 없애는 특효약 같은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근심없이 살고 싶다면 꿈과 목표를 가지라는 것이다. 그것도 멀리 장기적으로 헤아리는 것이다.

걱정과 근심을 잠재우는 것이 바로 목표이다. 목표를 세우면 가까이에 있는 크고 작은 근심 걱정을 뛰어 넘을 수 있다. 세상 산다는 것은 원래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목표가 더욱 필요하다. 장기목표가 있는 사람은 그것을 이루기 위한 고난도 참아낸다. 그러나 목표를 세우는 것이 그리 만만하지 않다. 열에 아홉은 알면서도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것은 2500년 전에도 그랬을 것이고 요즘도 마찬가지이다. 그런 목표를 세우지 못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 목표의 효과를 알지 못해서 그런 것은 분명 아닐 것이다. 간절한 목표를 세우면 어느 정도의 장애물은 쉽게 넘게 된다는 것을 모를 사람은 없다.

가치있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정도의 어려움과 고난은 오히려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도 목표를 세우는 사람이 그토록 적은 것은 아마 목표수립 이후의 진행 프로세스가 마음대로 되지 않아서 일 것 같다. 사람들은 달성되지 않는 목표를 수도 없이 세웠다. 아니 세워봐야 이룰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보이기 때문에 또 다시 속기 싫어서 목표세우기를 포기할 지도 모를 일이다.

목표를 이루고 싶다면 그 첫 번째는 선택이다. 어떤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맨 먼저 필요한 것이 목표를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다. 바른 목표를 바르게 선택해야 한다. 크고 높은 목표가 늘 좋은 것만은 아니다. 무조건 큰 것만을 쫓았다가는 중도에 포기 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큰 목표보다는 간절한 목표가 바른 목표라고 볼 수 있다. 장기목표 일수록 이유가 분명해야 한다. 목표를 달성 했을 때의 모습이 분명해야 한다. 되면 좋고 노력했는데 아니면 말고 하는 식의 목표는 바른 목표가 아니다.

두 번째 단계는 변화의 단계이다. 변화가 좋은 것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변화한다는 사실만 변하지 않고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한다는 것도 이미 알고 있다. 그래서 시도 때도 없이 우리는 변화를 시도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작심삼일로 끝이 난다. 마음이 없어서가 아니라 몸이 따라주질 않아서 더욱 그렇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변화하지 않는 이유는 다른데 있다. 그것은 바로 선택에서 비롯된다. 목표를 세울 때 바른 선택을 못한데서 기인되는 경우가 많다. 가끔은 목표선택도 없이 변화를 시도하는 경우도 왕왕 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은 아주 좋은 습관이다.

그래서 기상 시간을 30분이나 변경했지만 과연 몇 일이나 지킬 수 있었는가를... 왜 일찍 일어나야 하는지? 일어나서 무엇을 할 것인지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우선 일찍 일어나겠다는 변화의 시도는 당연 유지되기가 어렵다. 목표가 분명해야 그 의도에 맞는 자연스러운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어제와 다른 오늘을 만들어 내는 변화가 따라오지 못한다면 그것은 간절한 목표가 아니다. 변화는 강제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간절한 목표의 결과로서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니 선택과 변화는 사실 거의 같은 것이다.

넌 정말 남이 따라가지 못하는 영어실력을 가지고 있다. 마치 외국에서 영어공부를 하고 온 수준의 실력인데 다른 교과 성적이 낮은 이유가 무엇인가를 넌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일반 교과 성적향상을 위한 너의 목표를 세워보면 어떨까? 어렸을 때에는 몸이 건강하기 위하여 음식을 골고루 먹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부도 골고를 하여야 나중에 이것을 결합시키고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제 이 방학동안에 네 성적을 잘 점검하여 보고 부족한 과목을 어떻게 보충할 것인가를 곰곰히 생각하면서 이 겨울 방학을 보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이 글을 써 보낸다. 이제 곧 개학을 하면 2학년이 되고, 또 일년이 금방지나면서 3학년이 되어 원서를 써야 할 시간이 서서히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을 꼭 잊지말기 바란다. 그때에 덜 후회하기 위하여, 그래야 그때 행복을 맛 볼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