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5.3℃
  • 구름많음강릉 13.2℃
  • 서울 16.0℃
  • 구름조금대전 17.9℃
  • 맑음대구 17.3℃
  • 맑음울산 18.9℃
  • 구름조금광주 17.7℃
  • 구름조금부산 14.7℃
  • 구름조금고창 18.1℃
  • 흐림제주 16.3℃
  • 구름많음강화 14.0℃
  • 구름조금보은 16.1℃
  • 구름조금금산 15.8℃
  • 맑음강진군 17.5℃
  • 맑음경주시 16.6℃
  • 맑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초등 돌봄 교실의 현주소와 현장정착 방안

경기 A초등학교 돌봄 교실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수업이 끝난 후 아이들이 돌봄 교실에 모여앉아 블록 쌓기, 보드게임, 책읽기, 받아쓰기 대비를 위한 연습은 물론 난타와 체육 그리고 만화 애니메이션까지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샐 틈 없이 바쁘다. 게다가 한글
미해득 아동들을 위해 한글을 기초부터 가르쳐주고 학교 받아쓰기 시험을 대비해서 급수별로 연습도 시켜준다. 맞벌이 부부의 안정적인 돌봄을 위해 시작한 초등 돌봄 교실이 서서히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학기 중에는 간식, 방학 중에는 급식을 제공하여 가정처 럼 행복하고 아늑한 보육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올해부터 초등학교 돌봄 교실 이용 대상이 5-6학년까지 확대되고 방학 중에도 수요에 따라 오전과 오후 돌봄 교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돌봄 교실은 맞벌이 부부의 자녀에게 안심하고 양육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고 학교 및 지역 돌봄 기관과의 연계체제를 통
해 학부모에게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는데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현행 초등 돌봄 교실이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 해소와 공교육의 위상 강화에 기여했다고는 하지만 단위학교 초등 돌봄 교실 운영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예산 부족에 따른 돌봄 서비스의 질 저하와 돌봄 공간 부족이다. 유휴교실이 없어 겸용교실을 사용하고 있는 학교가 많은데 수업이 끝난 후 아이들이 곧장 교실로 오기 때문에 담
당 교사는 정신없이 바쁘고 담임을 맡은 학급 관리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교사들에게 돌봄 교실 업무는 또 하나의 커다란 업무 부담이다.

또한 돌봄 교실의 확대 운영으로 운영비 부담이 늘어나 15시간미만의 초단시간 근무방식으로 돌봄 강사를 채용하기 때문에 시간제 보육전담사들의 처우가 열악하다. 결과적으로 초단시간 초등 보육 전담사들의 지속가능한 근무와 책무성 제고에도 어려움이 있다.

현행 초등 돌봄 교실은 대부분 오후 돌봄이지만 소수이기는 하지만 저녁 돌봄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는 학생들의 귀가 안전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보건교사가 퇴근한 이후의 학생들의 위급상황에 대한 신속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며 저녁 돌봄 교실의 경우 학생 안전 책임이 학교장이나 담당교사에게 부과돼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돌봄 교실이 단위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무엇보다도 재정확보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 돌봄 교실 확대로 전담사의 급여를 지급하고 나면 예산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당연히 초등 돌봄 교실 서비스의 질 제고에 문제가 따르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재정확보를 통해 초단시간 초등 보육전담사의 무기계약직 전환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돌봄 교실의 효율적인 정착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둘째, 돌봄 교실을 운영하는 단위학교 상호간에 자료 및 프로그램 공유 등의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아동센터와도 유대관계를 강화하여 상호 모니터링을 통한 시사점을 얻을 필요가 있다. 지역 돌봄 서비스 기관과의 실질적인 협력과 연계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내실있는 돌봄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다.

셋째, 학생, 학부모가 만족해하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자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돌봄 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마다 지역적 특성과 학교의 여건이 다르고 학부모의 요구도 다양한 만큼 제한된 예산범위 내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의 재량권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열악한 재정 형편을 고려할 때 돌봄 교실 특별 프로그램의 경우 무상 프로그램에 의존하기보다는 수익자 부담의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 봐도 좋을 것이다. 학부모에게 돌봄 교실 운영의 취지와 방안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정기적인 학무모 간담회를 통해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요를 파악하여 수익자 부담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학교는 돌봄 교실 운영을 위한 장소와 시설만 제공하고, 운영과 관리는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아마 이 제안은 대부분 현장 교사들은 충분히 공감하리라고 생각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이 시급히 해결된다면 단위학교에서 돌봄 교실 운영의 안정적인 정착으로 사교육비가 절감되고 진정한 교육복지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