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0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3.4℃
  • 흐림강릉 16.0℃
  • 구름많음서울 14.3℃
  • 대전 14.2℃
  • 대구 14.1℃
  • 울산 15.2℃
  • 광주 14.7℃
  • 부산 16.9℃
  • 흐림고창 13.1℃
  • 제주 19.1℃
  • 구름많음강화 12.8℃
  • 흐림보은 14.1℃
  • 흐림금산 14.4℃
  • 흐림강진군 15.9℃
  • 흐림경주시 15.3℃
  • 흐림거제 16.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육정책, 교사들에게도 여유를 주자

벌써 또 한 해가 마무리되어 간다. 올해는 유난히 많은 ‘사건’들이 있었기에 더 빨리 지나간 것처럼 느껴진다. 한 해 말이면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는 것이 메타 능력을 가진 인간의 특권이자 하나의 일상화된 습관인 것 같다. 지난 한 해는 우리 교육계에서 진정으로 수많은 변화가 일어났던 한 해임은 분명하다.

지난 한 해 동안 눈에 띄는 몇 가지 ‘사건’만을 간추려도 목록이 짧지가 않다. 학교 자율화 조치, 교과교실제 도입, 입학사정관제 확대, 미래형 교육과정 개정,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결과 및 수능성적 공개, 교원 평가제, 외고 개선 방안 등 중요한 문제들이 쉴 틈 없이 발표되거나 논란이 되어 왔다.
이런 정책이나 변화들은 비록 정책의 세부적인 내용이나 추진상의 일정 등에서는 의견이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우리 학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한 해를 되돌아보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지 않을 수 없다. ‘그래, 교육의 제도나 환경을 바꾸는 것은 우리 교육의 개선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지. 그러나 잠깐, 제도의 개선이나 환경 개선 자체가 추구할 목적이라고 보기에는 뭔가 부족하지 않은가? 무엇을 위한 제도 개선이고 환경 개선이지? 예컨대, 무엇을 위한 학교 자율화 조치이고, 무엇을 위한 수능 성적 공개지?’하고 말이다.
수많은 정책들이 발표되고 추진되기에만 정말로 바빴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각 정책들이 무엇을 위한 정책인지에 대해 우리 교육계 인사들 특히 학교 현장 교사들이 생각할 시간과 여유는 가질 수가 없었다. 교육정책의 효과가 최종적으로 구체화되어 드러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생활하면서 교육하는 우리 교사들이 이런 정책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럼에도 이런 취지를 이해하거나 자기화할 시간적인 여유나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교사들에게 생각할 시간이나 여유를 충분히 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지난 한 해의 우리 교육정책과 현실을 되돌아 볼 때 두드러진 또 하나의 특징은 그동안 과정을 강조한다는 명목으로 학교에서 행하던 세세한 것 하나하나까지도 드러내고 평가하는 방식의 정책 지향이 과정의 자율성을 대폭 확대하되 결과, 즉 성과의 평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교평가를 통해 느껴왔던 것처럼, 결과나 성과를 배제한 과정 중심의 평가가 갖는 한계는 너무나 분명해 보였다. 많은 것을 다양하게 하기만 하면 성과와 상관없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극단적인 경우 많은 것을 다양하게 한 것처럼 꾸미기만 해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학교평가의 유용성이나 정당성에 대한 의구심이 학교 현장에 널리 퍼져 있지 않은가?
이런 맥락에서 교육의 성과, 즉 결과의 공개와 평가는 교육과정의 공개나 평가보다 더 바람직해 보인다. 학교 구성원이 교육활동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허용하되, 그러한 교육활동의 성과를 중심으로 공개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의 교육활동 과정을 낱낱이 공개하고 평가하는 것보다 단위 학교에게 교육의 자율성을 대폭 허용하되 성과를 공개하고 평가하자는 것이다. 이 역시 세계적인 흐름일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우리 학교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성과 중심의 학교평가가 현재의 학생평가처럼 객관식 지필평가 대세인 우리 교육 상황에서 성공하기란 쉽지 않다. 학생들의 평가 점수만이 주요 성과로 간주된다면 미래 지향적인 성과 중심의 평가가 과거 회귀적인 점수 경쟁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의 징후가 여러 곳에서 이미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학업성취도시험 대비 보충수업 듣느라 여름 방학이 1주밖에 안 되는 학생들, 전교생을 대상으로 저녁까지 강제적으로 실시하는 보충수업 등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교육개혁의 긍정적인 성과라기보다는 우려되는 부정적인 결과가 아닐는지….
교육의 자율화는 그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 학생들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 교사들이 학생들의 교육적 필요에 맞는 교육활동을 자율적으로 구안해 실천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해 각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 주자는 것이다. 특히 PISA 등 국제학업성취도평가 결과가 보여주는 것처럼 우리 교육의 취약한 부분인 학교에서 배우는 활동 자체를 싫어하는 학생들에게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학교를 학생들이 배움의 활동에 몰입하면서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하는 곳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폭설, 스키장 개장 소식과 함께 벌써 12월이 왔고, 우리 교육계에 문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도 저물어 간다.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새해에 대한 소박한 바람을 나누고 싶다. 다가오는 새해에는 교육정책의 내용을 좀 더 숙고하면서 그 의미를 이해하고 자기화해 실천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여유가 우리 교사들에게 주어졌으면 좋겠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