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꾸라지와 메기 이야기 학교 경영에서 연구학교 운영은 매우 흥미 있는 과업의 하나였다. 거의 정형화(定形化)화되어 있는 학교 경영의 일상적인 틀로부터 변화를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문헌이나 선행 연구를 탐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새로운 학설을 접하게 됨으로써 교사나 교장 모두가 지적인 성장을 도모하게 되기 때문이다. 거기에다 연구결과의 성공 여부를 불문하고 부가 점수까지 받게 되니까 도랑 치고 가재 잡고, 꿩 먹고 알 먹는 격이 된다. 그런데 요즘엔 한 번 연구학교를 운영하고자 해도 50% 이상의 교사가 동의하지 않으면 할 수 없다고 하니까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느끼게 된다. 만사를 편하고 쉽게 가자고 한다면 학교 여건상 꼭 필요한 경우에도 연구 활동을 못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몇몇 교사들은 아직도 좌정관천(坐井觀天)의 늪에서 안일무사에 젖어 있는 것은 아닌가 싶어 씁쓸하다. 이와 같은 세태를 빗대어 만든 이야기 중에 ‘미꾸라지와 메기’가 있다. 메기가 없는 논의 미꾸라지는 피둥피둥 살만 쪄서 매일 잠만 자는데 메기와 함께 사는 미꾸라지는 몸체도 날씬하고 행동이 민첩해 재빠르게 움직인다고 한다. 천적(天敵)이 없는 생물이 겉으로 보기에는 좋은 것 같은데 실제로는 자생력이 없어서 결국은 도태되고 만다는 현상을 은유한 것이다.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기업사회에서는 경영학의 개념으로 ‘성공의 텃’(Success of trap)이라는 용어가 있다. 이를테면 펩시콜라가 있었기 때문에 코카콜라가 발전할 수 있었고 바이엘 아스피린이라는 강력한 브랜드가 있었기 때문에 타이레놀이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로마의 강력한 경쟁국이었던 카르타고가 몰락하면서 오만과 나태에 빠진 로마가 몰락하게 됐다고 보는 역사학자도 있다. 경쟁은 환골탈태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거듭 낳는 고난을 통해 자신의 발전을 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수많은 직역(職域) 중에서 유난히 교단은 ‘메기’를 기피하는 증상이 강한 것이 아닌가 싶다. [PAGE BREAK] 미완(未完)의 실험연구학교 D 초등학교 재직 중에 나는 실험적인 연구학교를 운영해본 일이 있었다. 상급 기관에서 지정한 것도 아니니까 부담을 가질 필요도 없었고 결과의 성패에 연연할 필요도 없어서 유유자적하는 마음으로 진행했다. 지나고 보니까 나름대로 기발했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것을 연구의 논리적인 절차(필요성, 실태분석, 가설설정, 실행, 검증 등)에 따라 정리를 다하지 못하고 퇴임한 것이 아쉽기만 하다. 연구 주제는 ‘성명을 이용한 한자(漢字) 학습의 효과에 관한 진단’이었다. 당시만 해도 한자에 특별히 관심이 있는 몇몇 학급에서만 칠판에 아침 자습이라는 이름으로 몇 개의 한자(漢字)를 써놓고 거기에 훈과 음을 달아 쓰도록 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그것으로 한자 학습을 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몇 번씩 필사(筆寫)하는 것만으로 다소의 학습효과는 있을지 몰라도 학습의 흥미 유발과 성과에는 미흡했고, 잘못하면 학습이 한낱 노역(勞役)으로 전락하고 말게 될 것이 아닌가 싶었다. 그래서 시도한 것이 교장을 포함해 전교생(약 1200명)의 성명(姓名)을 통한 한자 학습이었다. 비록 훈(訓)은 모를지라도 전교생이 이름표를 달고 다니는 동안에 서로 보고 부르며 음(音)만이라도 쉽게 익히게 하자는 의도였다. 먼저 명함 크기의 이름표를 만들어 가슴에 달았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홍길동’ 중에서 처음 1개월은 ‘洪길동’만 써서 달고, 2개월 후부터는 ‘홍吉동’으로, 3개월째에는 ‘홍길童’으로, 4개월째는 ‘洪吉童’으로 했다. 그리고 1주일에 한 번은 전교생이 조회(애국조회)를 하는 운동장에서 다음과 같은 집단 놀이학습을 전개했다. ▲성씨별로 모둠 만들기(할머니, 어머니 성씨 별), ▲가운데 글자가 같은 사람끼리 모둠 만들기, ▲끝 글자가 같은 사람끼리 모이기 등이다. 이와 같이 역동적인 이합집산(離合集散) 활동을 통해 인간관계에서 동류성(同類性)과 연관성을 바탕으로 집단별 장기자랑과 릴레이 경주 등을 실시해 놀고 즐기는 동안에 학습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훈습(薰習) 환경을 조성했다. 똑같은 방법으로 아버지 어머니 성함(姓銜)을 이용했고 다음에는 할아버지, 할머니에 이어서 형제자매나 친인척, 친구의 성명까지 이용했다. 그런 과정 중에 운동회가 있었다. 그날에는 만국기 대신 학생 자신이 직접 쓰거나 그린 이름표를 달았다. 형형색색의 이름표와 자기 모습이 휘날리는 운동장은 매우 이채로웠다. 아침 일찍부터 아이들과 학부모들은 모두 자기 자녀의 이름과 작품을 찾아보느라고 야단이었다. 흥미를 유도하는 데는 아주 기발했다. 그러나 그것은 교장이 주도하는 과업이었으므로 고군분투(孤軍奮鬪)를 면할 수가 없었다. “그동안 시행해오던 대로 만국기를 달면 될 것을 왜 전례도 없는 이름표를 다는가?” “교사가 줄에다 60명이 넘는 아이들의 이름표를 일일이 단다는 게 얼마나 힘이 드는지 모르나?” “이것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 자료가 있나?” “교장 개인의 연구 의욕에 아이들이 희생양이 되는 게 아닌가?” “아이들을 교육연구의 실험 도구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교사들의 반대에 봉착해 밤늦도록 갑론을박(甲論乙駁)하면서 그들을 설득하느라고 장기간 소모전을 감수해야만 했다. 교직원과의 불협화음 속에서도 교장이라는 직권과 늙은이의 옹고집(壅固執)으로 지속할 수 있었지만 결국은 그 연구의 성과를 검증하지 못한 채 2000년 3월, 나는 62세의 정년 제1기생으로 자리에서 황급히 물러났다. 내가 떠나는 날 교사들은 오래도록 환호를 하면서 ‘뜨거운 박수’(?)를 보냈다. 이제 와 생각하니까 교장이라는 신분적 권리만을 이용해 다수의 의견을 제압했던 것이 자랑스럽지 못했고 특히 한자 학습의 기본과 지도 방법을 도외시하고 단순히 감각적인 생각만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것이 무모했다는 생각을 감출 수가 없다. [PAGE BREAK] 하나를 주려면 열을 알아야만 했다 부끄러운 일이지만 나는 한자(漢字)교육을 하겠다고 하면서도 오체(五體), 육서(六書)와 부수(部首)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그러니까 무면허 운전을 한 셈이다. 오체는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를 말한다. 문헌에 따르면 전서(篆書)는 중국이 통일 이전에 진(秦)나라에서 쓰던 서체로 이것을 대전(大篆)이라 했고 이후에,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고 여러 나라의 문자를 집대성해 소전(小篆)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전서(篆書)가 점차로 발전해 예서(隸書)가 되었고 한대(漢代)에 이르러 필획(筆劃)이 더욱 간략화되면서 굽은 필획이 곧게 되고 혹은 네모지게 바뀐 것들이 많아졌다. 글자체가 도화(圖畵)에서 부호(符號)로 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에 초서(草書)가 등장하고 이후에 해서(楷書)가 나오고 한말(漢末)에 행서가 등장한 다음, 당(唐)나라 이후부터 그것을 진서(眞書)라 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통상적인 글자체로 쓰여 왔다고 한다. 이후 현대에 들어서면서는 1956년에 해서체(楷書體)가 변해 현재 중국의 공용 문자로 사용하고 있는 간자체(簡字體)가 등장하게 된다. 육서(六書)는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를 말하는데 이것은 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를 알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내가 문자 학자가 아니니까 이것을 깊이 연구할 필요는 없었지만 적어도 한자를 능률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이론적 무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육서(六書)를 알면 한자(漢字)가 보인다 •상형(象形)은 사물의 형태가 있는 것들의 모양을 그려서 그것으로 글자를 만든 것이다. 한자를 상형문자라고 하는 의미도 문자가 회화적(繪畵的)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日, 月, 山, 川, 鳥, 魚 등은 사물을 본뜬 것이고 이것들이 결합해 추상적인 언어도 만든 것을 볼 수 있다. •지사(指事)는 위, 아래, 중간 또는 어떤 기준 등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의 기준선이나 부호를 사용해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을 만든 한자이다. 이를테면 ‘一’(일)을 이용해 그 위에•(점)을 찍어서 上, 下를 만들었고, 다시 그 개수를 이용해 一, 二, 三을 만들고, 그 위치를 이용해 中, 本 등과 같은 글자를 만든 것이다. •육서 중에서도 회의(會意)는 아주 재미있다. 두 글자 이상의 한자끼리 결합하되 뜻과 뜻을 합해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한자를 말한다. 뜻을 모은다는 것은(會意) 결국 글자를 모으는 일이다. 이미 이루어진 두세 글자를 모아 다른 뜻을 나타내는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모아지는 글자는 앞서 말한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중 어느 글자라도 좋다. 나무(木)와 나무(木)가 합해 ‘숲을 나타내는’ 林 자를 만들고 ‘여자(女)가 아들(子)을 안고 있는 모습을 따서’ 好 자를 만드는 것이다. 武 자도 본래는 戈와 止를 모아서 ‘干戈를 中止하여 천하를 태평으로 이끈다’는 뜻으로 만든 것이고, 信도 人과 言을 합쳐서 ‘사람의 말은 서로 믿음을 의지하지 않고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에서 생성된 글자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알면 교사가 한자를 지도하거나 어린이가 학습하는데 흥미를 유발해 학습에 시너지 효과를 제고하게 될 것이다. 회의문자(會意文字)의 원리를 좀 더 깊이 들어가면 몇 가지 결합 법칙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森, 姦, 轟과 같이 여러 개의 똑같은 글자가 결합해 만든 글자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을 동체회의(同體會意)라 했고 位, 看, 好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 것을 이체회의(異體會意)라고 했다. 이외에도 老(늙은 노)와 子(아들 자)의 결합으로 孝(효도 효)를 만들었고 寢(잠잘 침)과 末(끝 말)을 합쳐서 寐(잠잘 매)를 만든 것과 같이 때로는 구성 요소들의 자획(字劃)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이것을 변체회의(變體會意) 또는 생체회의(省體會意)라 한다. •형성문자(形聲文字)는 두 글자 이상의 한자(漢字)끼리 결합한 것으로써 한쪽 부분은 뜻(훈)을 나타내고 다른 쪽 부분은 음(성)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형성은 한자 구성법 중에서 가장 흔히 쓰는 방법으로 문자 총수의 90% 이상이 이 방법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알게 되면 난해(難解)한 글자라도 결합되어 있는 구조 중에서 어느 한 글자의 음을 읽으면 글자의 독음(讀音)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음을 이해하게 된다. 예를 들면, 水(뜻)+靑(음)=淸(맑을 청), 工(음)+力(힘)=功(공로 공)이 있고 음(音) 부분이 변해 결합된 水(뜻)+工(음)=江(강 강)이 된 것도 있다. 그 외에도 洞, 河와 같이 왼쪽은 ‘형태’를, 오른쪽은 ‘음’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좌형우성(左形右聲)이라 한다. 그런가 하면 鳩(비둘기 구),鴨(오리 압)과 같이 우형좌성(右形左聲)의 글자도 있고 草(풀 초), 藻(말 조)와 같이 상형하성(上形下聲)의 글자도 있다. 글자를 논리적 구조적 분석적으로 살펴보면 婆(할미 파)와 같은 것은 상성하형(上聲下形)이고, 圃(밭 포), 國(나라 국)과 같은 것은 외형내성(外形內聲)이고 問(묻다 문), 聞(듣다 문)과 같은 것은 외성내형(外聲內形)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한자의 특징 중의 하나는, 같은 형부(形部)는 대개 공통으로 관련된 의미를 나타내며 같은 성부(聲部)는 대체로 비슷한 음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이를테면 松(소나무송),栢(잣나무 백), 梨(배나무 이)와 같이 목부(木部)에 수록된 글자는 대개 나무와 관련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江(강 강), 紅(붉을 홍), 空(빌 공)과 같이 工을 성부(聲部)로 하는 글자는 그 음이 工과 같거나 비슷한 것이 많다는 점이다. •전주(轉注)는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바꾸어 여러 가지 음과 뜻을 나타내는 글자를 말한다. 예를 들면 樂이 ‘즐거울 락’, ‘좋아할 요’로 바뀌거나 說이 ‘말씀 설’, ‘기쁠 열’, ‘달랠 세’로 바뀌어 쓰이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가차(假借)가 있다. 이것은 글자의 뜻과 관계없이 음이나 모양을 빌려 쓰는 원리이다. 이를테면 코카콜라를 可口可樂으로, 펩시콜라를 百事可樂으로, 아시아를 亞細亞로, 아메리카를 美國으로, 도이취를 德而志로, 이태리를 伊太利로 쓰는 경우이다. 가차를 살펴보면서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우리 한글이 얼마나 훌륭한 문자인 인가를 다시 한 번 깨달을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학습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글자 중에는 세 개가 중첩(重疊)되어 만들어진 글자도 있다. 예를 들면 犇(달아날 분), 磊(돌무더기 뢰), 轟(수레소리울릴 굉), 聶(소곤거릴 섭), 鱻(생선 선), 皛(희다 효), 雥(새떼모일 잡) 같은 글자는 어려운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구조를 파악하면 쉽게 익힐 수가 있다. [PAGE BREAK] 그릇된 선입견 나는 한자 교육의 기본은 ‘千字文’이며 그 학습 방법은 옛날 서당식으로 훈장(訓長) 앞에 앉아서 눈을 감고 좌우로 어깨를 흔들며 “하늘 천, 땅 지, 검을 현, 누루 황~!” 식으로 암송하는 학습인 줄로만 알았다. 그건 엄청난 시대착오였다. 천자문은 중국 남북조 시대 양(梁)나라의 문인 주흥사(周興嗣)가 하룻밤 사이에 각기 다른 글자를 가지고 사자일구(四字一句)로 250구가 되게 만든 것이며 여기에는 중국의 역사를 비롯해서 천문, 지리, 인물, 학문, 가축, 농사, 제사, 송덕(頌德), 처세(處世), 지혜, 도덕과 자연현상에다 나라를 올바르게 다스릴 수 있는 제왕(帝王)의 길과 백성을 다스리는 정치, 행정가의 올바른 몸가짐, 그리고 바람직한 인간형인 군자(君子)의 길에서 자기 가족과 이웃 사이에 지켜야 할 예의범절과 도리(道理)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망라한 고전적인 요소가 담겨 있었다. 지금도 세간에서는 천자문을 한자 학습의 초보 자료라 여겨, 조금 경시하는 성향이 있는 것 같은데 그건 잘못된 인식인 것 같다. 한자교육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비로소 나 자신이 선무당이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 oram209@yah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