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마다 정서행동검사를 하면 자살 고위험군이 적지 않게 나온다. 따라서 자살의 원인과 징후는 물론이고 위험 징후 발견 시 대응법을 알고 더 나아가 자살 사고 발생 시 대응법도 미리 살펴둘 필요가 있다. 물론 지속적인 자살 예방 교육이 병행되어야겠다. 이번 달은 담임으로서 살펴야 할 자살의 원인과 징후에 대해서, 다음 달에는 자살징후 발견 시 대응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태도 불량, 일단 우울증 의심을 자살이란 자신의 뜻에 따라 고의로 목숨을 끊는 행위다. 자살의 원인에 대해 의료전문가들은 우울증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다. 연간 1만 명에 이르는 국내 자살자 중 80% 이상이 우울증 환자로 추정된다고 한다.
성인의 우울증은 우울하고 슬프지만 청소년들은 이와 다르다. 성인 우울증은 식욕이 저하되면서 수면장애가 따르지만 청소년 우울증은 늦게 일어나 지각하는 경우가 잦다. 그래서 게을러 보이기 쉽다. 포식하기도 한다. 성인들은 우울하면 외부 자극에 반응이 적으나 청소년은 반응이 높다. 개그 프로그램을 보며 정신없이 웃어대다가 다시 우울해진다.
또 성인은 대인 접촉 기피 현상을 보이는 반면 청소년들은 거부에 대한 예민함(hypersensitivity to rejection)을 보인다. 이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거부당하는 것에 과도하게 예민한 것으로 다른 사람의 지적을 모욕적인 조소로 잘못 해석하거나 어떤 요구에 대해 거절당할 경우 상처받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대인관계 충돌로 보이기도 한다. 교우관계가 예민해 다툼도 발생하고 이것이 등교거부로도 이어질 수도 있다. 이때 부모가 행여 “차라리 죽어버려라”라고 한다면 이것 역시 과잉 해석돼 뛰어내리는 행동까지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청소년기 충동적 자살이 높은 이유다.
담임 입장에서도 예민해져서 힘들어하는 아이들에게 “교실에서 나가!”라고 한다면 학생들은 이를 확대 해석하기 십상이다. 청소년들은 별 것 아닌 일에도 사사건건 시비를 거는 것처럼 느낀다. 기분이 우울하거나 좋지 않은 상태에서 교사가 머리를 툭 치면 대뜸 욕부터 하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 학생들을 문제아로 해석하면 적응장애로 발전해 자살에 이를 수 있다. 명지대 김현수 교수는 이를 “교사들은 학생이 교사에게 욕하는 게 우울이라는 걸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00년 이래 우리나라 자살률 추이는 몹시 가파르게 상승했다. 청소년 자살도 예외가 아니다. 청소년 자살률은 얼마 전까지 일본이 가장 높았으나 현재는 우리나라가 1위다. 우울증은 청소년 사망 사유에서 사고, 질병에 이어 3위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