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애정공세가 많아질수록 교사는 지쳐가지만, 정작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과 애정표현이 교사를 힘들게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에게 상처 없이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의 핵심은 이후로도 서로 좋은 관계는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다시 시작된 새 학기. 담임으로 만나는 학생들은 달라졌는데 희한하게도 겉모습만 달라졌을 뿐 보이는 문제행동들은 작년이나 올해나 비슷비슷하다. 작년 같은 실수는 범하기 싫다는, 작년처럼 큰 사건 없이 올해도 지나갔으면 하는 마음 등이 교차하면서 새 학기의 설렘은 종종 불안감으로 바뀌곤 한다.
학교 현장에 발령받아 근무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은 ‘문제행동에 대한 원인 분석’ 은 엄청 많은데, 정작 필요한 ‘방법’은 쏙 빠져있다는 점이었다. 10여 년 동안 학생들을 만나면서 선생님들이 자주 협의를 요청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정답은 아니지만 학생, 학부모,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었던 방법들을 제시해보려고 한다. 노하우에 또 다른 노하우가 겹쳐 폭발적인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하면서….
지나친 애정 표현을 하는 학생에게 분명한 태도와 단호한 어투로 입장을 표현해야 할까? 일 년에 한두 명씩은 교사에게 지나친 애정공세를 퍼붓는 학생들이 있다. 매 쉬는 시간마다 찾아와 다른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미주알고주알 자신의 일상 이야기를 들려주고, 주말엔 카톡을 쉴 새 없이 보낸다. 다른 학생과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도 옆에 서 있다가 불쑥불쑥 끼어들고, 책상에 있는 물건들을 달라고 조르기도 한다. 복도에서는 멀리서 큰소리로 ‘○○쌤~’하며 달려와 끌어안고, 팔짱을 끼며 돌아다니기 일쑤다.
이 학생들은 왜 친구들이랑 안 놀고, 왜 교사에게 애정공세를 펼칠까? 맞다. 이미 알고 있는 것처럼 ‘부모로부터의 애정결핍’이거나 ‘또래집단과의 관계 형성 미흡’이 주원인이다. 그래서 학기 초, 자신에게 친절한 모습을 보이거나 작은 것에도 관심을 보여준 선생님에게 적극적인 애정공세를 펼치는 것이다. 선생님들도 이런 속 사정을 알기 때문에 함부로 학생을 내치지 못한다. 그러잖아도 상처 많은 아이에게 내가 더 보태줄 수는 없다는 일종의 ‘아름다운 책임감’으로 말이다.
하지만 문제는 사람의 표정과 행동은 말보다 정직하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귀신같이 알아차린다. 특히 상처가 많을수록, 사랑을 충분히 받지 못했을수록, 또래집단과 관계가 안 좋을수록 자신에게 보이는 타인의 표정 변화, 행동 변화에 민감하다. 어느 순간 교사가 자신에게 눈을 마주치지 않고 말하거나, 피한다는 느낌이 들면, ‘선생님 바쁘니까 좀 이따가 말하자’, ‘친구들이랑 놀아야지, 왜 맨날 선생님한테 오니. 어서 교실로 가’ 등 교사가 일정 선을 긋기 위해서 좀 단호한 태도를 보이면 금세 토라진다.
이런 상황이 몇 번 반복되면 학생은 토라지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적극적 안티’로 돌변한다. 수업시간에 불손한 태도를 보이고, 다른 학생들에게 ‘저 선생님 재수 없지 않니?’라며 교사의 험담을 하고 돌아다니고, 좋은 말로 타일러보려고 해도 들은 척도 안 한다. 더 이상 찾아오지 않는 학생으로 몸은 편하지만, 마음은 불편하다. 더 심각한 것은 그 영향이 다른 학생에게도 전이된다는 것이다. 다가오는 아이들을 마냥 받아주기가 두려워지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런 상황을 다시는 만들지 않기 위해서 처음부터 교사와 학생의 한계를 정확하게 하려고 하고, 엄격해진다. 그러면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이 생겨버린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교사와 학생 사이에 벽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친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을까? 그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담임교사들이 효율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적극적인 상담전략 방법을 알아보자.
학생들은 생각보다 더 많이 교사를 믿고 따른다 담임교사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관계 설정 대화의 핵심은 교사가 ‘학생이 귀찮아서’가 아니라 ‘너의 마음은 알지만 지켜야 할 예의범절’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상담교사로 학교에서 10년 근무하면서 깨달았다. 교사는 교사일 때 가장 아름답다는 것을. 말이나 행동은 그렇지 않지만, 학생들은 생각보다 더 많이 교사를 믿고 따른다. 특히 자신이 좋아하는 교사의 말은 더욱더 신뢰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을 통해 행동수정까지도 꾀함으로써 학생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간단한 대화로 범위와 한계 설정하기 “선생님이 오늘은 너무 바빠서 ○○이 이야기를 집중해서 들을 수가 없어. 급한 내용이 아니라면 내일 이야기할까?” “선생님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은 ○○이 말고도 많아서 매 쉬는 시간마다 ○○이에게만 시간을 내줄 수가 없단다.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시간을 정해서 이야기해보는 건 어떨까?” “○○이가 선생님을 좋아해서 그러는 건 알지만, 다른 선생님과 이야기하고 있는데 갑자기 뒤에서 껴안으면 너무 당황스럽단다. 선생님을 좋아한다는 것을 다른 방법으로 표현했으면 좋겠는데, 어떤 것들이 있을까?” “○○아, 선생님도 학교 밖에서는 우리 딸의 엄마가 된단다. ○○이가 카톡을 보내도 바로바로 연락 못 할 수도 있어. 그리고 집에서도 학교 일하면 우리 딸이 속상해해. 메시지는 아주 급한 일에만 보내면 좋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