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확고한 교육관이나 확실한 이론도 갖지 못한 채, 다만 ‘새교육’이라는 미명에 유혹되어 모방의 반복과 형식에만 소일하였던 시기였다.” 한국 전쟁 중 공주사범학교 교감이었던 문영한 교수는 해방 이후 1950년 초반까지를 이렇게 규정한 후(<새교육> 4권 2호, 1952년 8월), 이 시기에 대한 반성에 기초해서 우리 교육이 맞고 있는 시대적 과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보자는 생각에서 착수한 것이 ‘커리큘럼 연구’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가 스스로 밝힌 커리큘럼 연구 착수 시점은 1950년 3월이었다.
해방 후 <새교육>에 가장 많이 등장한 존 듀이문영한이 당시에 밝혔듯이 해방 이후 우리나라 교육개혁운동을 상징하였던 ‘새교육 운동’은 한국전쟁 기간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와 커리큘럼 개조 운동’으로 전환되었다. 이런 변혁 운동의 방향을 제시한 것은 존 듀이 사상이었고, 변혁운동을 실제로 주도한 것은 대한교육연합회(교총의 전신, 이하 대한교련)와 <새교육> 지였다. 1948년 창간 이후 1955년 8월 제1차 국가교육과정의 공포에 이르는 시기 동안 <새교육>에 가장 많이 등장한 교육사상가는 존 듀이였고, 가장 많은 지면을 차지했던 주제는 교육과정(커리큘럼)이었다.
1952년 당시 시카고대학교 대학원에 유학 중이던 이수남은 <새교육> 제4권 제2호에 기고한 ‘현대교육학과 쨘 듀이 선생’이란 제목의 글에서 하나의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단기 4282년 10월 20일 존 듀이 출생 90주년 기념일에 미국 전역에 있는 학자와 학생 3,000여 명이 뉴욕에 모였다고 한다. 당시 컬럼비아대학교 총장이었던 아이젠 하워(Dwight D. Eisenhower, 미국 제34대 대통령)는 기념식사에서 “미국의 철학사는 쨘 듀이 선생의 철학사요, 미국의 교육사는 쨘 듀이 선생의 교육사”라고 표현하였다. 이 일화를 소개한 이수남은 <민주주의와 교육>을 “현대 민주주의 교육 이론 연구의 금과옥조”라고 소개하였다. 1950년대 초반에는 세계적으로 교육과정 개조운동이 벌어지고 있었고 이를 상징하는 개념은 ‘경험중심 교육과정’과 ‘중핵교육과정’이었다. 교육학 분야의 학회 활동이 활성화되지 않은 당시 우리나라에서 외국의 교육과정 개조운동을 소개하고, 이 두 가지 핵심 개념을 따라 교육과정 개조운동을 주도하였던 것은 바로 대한교련과 기관지 <새교육>이었다.
대한민국 최초로 교육과정을 학술적으로 논의했던 <새교육>
<새교육>은 일찍이 1949년 2월호(제2권 1호)에서 ‘커리큘럼(curriculum)이란 무엇인가’(최병칠)라는 글을 게재하여 커리큘럼의 개념과 조직 원리를 상세하게 소개한 바 있었다. 교육과정에 대한 대한민국 최초의 학술적 논의였다. 뒤를 이어 성래운이 펴낸 <새교육개론>(홍지사, 1949)에서도 교육과정의 의미와 구성 원칙을 내용의 일부로 소개하였다. 이런 관심은 전쟁으로 일시 중단되었지만, 한국전쟁 종전 직전인 1952년 임시 수도 부산에서 속간된 <새교육>은 교육과정 연구의 새 출발과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확산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1952년 8월에 간행된 속간 제2호는 정범모의 ‘교육사조의 새로운 경향’과 이수남의 ‘현대교육학과 쨘 듀이’였다. 지식을 넘어 경험과 생활을 강조하는 존 듀이의 교육철학을 소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국내외 커리큘럼 연구 상황과 특집 논문 세 편을 게재하였다. 문영한은 ‘커리큘럼 신연구’라는 글에서 미국에서 1890년대에 시작된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역사를 소개하면서 1930년대 이후 미국 교육은 생활과 유리된 과거의 교육과 결별하였음을 천명하였다.
이어서 그는 새로운 교육을 이끄는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핵심은 교과중심 커리큘럼에서 생활중심 커리큘럼으로의 일대 전환이며, 이는 ‘교과에서 아동으로’ 그리고 ‘학문에서 생활로의 전환’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1947년 이래 일본에서 전개되고 있는 커리큘럼 개조운동 핵심 방향 역시 일본의 지역적 특수성에 기초를 둔 커리큘럼 개발이라는 점도 강조함으로써 우리나라 커리큘럼 개조운동이 서구 교육 이론의 맹목적 도입에 그쳐서는 곤란하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문영한은 우리나라가 인습적 교육관에 기초한 전통 커리큘럼으로부터 하루빨리 탈출하여야 하며, ‘새교육’의 실패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출발점은 새로운 교육목표의 설정이며, 새로운 교육목표는 우리나라의 지역적·사회적 특수성을 고려하고, 아동의 경험에 기초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이 글에서 문영한은 서구 교육사상에 대한 맹종, 우리나라다운 교육철학의 부재의 안타까움을 매우 설득력 있게 설파하였다.
대한교련,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중심에 서다 이어서 대한교련 주최로 진행된 ‘커리큘럼을 말하는 좌담회’ 내용이 게재되었다. 당시 부산과 경남을 중심으로 커리큘럼 개조운동을 이끌고 있었던 교육자 다수와 문교부 간부, 연희대학교 박창해 교수, 부산진서울피란국민학교 윤형모 교장, 그리고 대한교련 간부와 기자 등이 참석한 우리나라 최초의 교육과정 전문가 좌담회였다. 이 좌담회 기사를 통해 당시 커리큘럼 개조운동과 관련된 흥미로운 사실 몇 가지를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의 현대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초기 리더는 부산의 김두성, 서울의 심태진, 공주의 문영한 등이었다는 사실. 둘째, 피란지 부산에서 본격화된 커리큘럼 개조운동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철학의 부재, 연구물 결핍으로 인해 외국을 모방하게 되었다는 사실. 셋째, 초기에는 ‘일본 신문, 일본 서적, 일본 책에는 우리가 바라던 진리가 금덩이같이’ 들어 있어서 옥석 구분 없이 일본을 모방하게 되었으나 오래지 않아 일본의 그것도 별것 아니어서 권태기에 접어들었다는 사실. 넷째, 당시 교육자들은 우리 식의 독자적 개조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는 사실. 다섯째, 우리나라 커리큘럼 개조운동은 중등이나 고등교육 분야가 아니라 초등학교 교육자들 중심으로 시작되었다는 사실. 마지막으로는 당시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중심에는 대한교련이 있었다는 사실 등이다.
좌담회에 참석하였던 문교부 박희병 국장은 문교부가 1952년 초에 교육과정위원회를 발족시키고, 곧이어 미국에서 전문가를 초빙하여 커리큘럼 연구회(workshop)와 강습회를 전국적으로 개최하려고 하지만 필요한 예산이 없다는 점을 고백하고, 필요한 예산 3억 원을 후원해줄 수 있는 곳은 대한교련밖에 없다는 제안을 하였다. 이런 고백에 대해 대한교련의 주기용 사무국장은 즉석에서 지원 의사를 천명하였다.
1952년 12월에 나온 <새교육> 제4권 제3호에는 다시 ‘한국 교육을 말하는 좌담회-커리큘럼을 중심으로 한’이란 긴 글이 실렸다. 이 좌담회에는 1952년 10월에 내한하여 7주째 활동 중이던 미국 교육사절단의 멀홀랜드 박사(Dr. Mulholland)와 워렌 박사(Dr. Warren)를 비롯하여 문교부 박희병 국장, 최병칠 편수관, 심태진 장학관, 김기서 서울사대부속국민학교 교장, 대한교련의 주기용 사무국장 등 우리나라 커리큘럼 개조운동의 지도자들이 다수 참석하였다. 이 좌담회 참석자들은 우리나라 커리큘럼 개조운동이 혼란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에 공감하였고, 새로운 커리큘럼은 지식과 함께 아동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고, 미국에서 시도되고 있는 중핵교육과정(core curriculum)의 도입에는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하며, 미국식 종합고등학교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동의하였다. 두 명의 미국인 학자들은 이 좌담회가 자신들이 한국에 온 이후 가장 중대한 모임이었으며, 많은 참고 자료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어 자신들이 주도하여 시작할 연구수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부탁하였다. 미국 교육사절단 활동의 핵심이었던 지역별 연구수업(workshop)이 가능했던 것은 대한교련의 후원하에 출범하였던 중앙교육연구소의 인적, 물적 지원과 협조 때문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