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구름조금동두천 9.8℃
  • 구름많음강릉 6.8℃
  • 맑음서울 10.3℃
  • 맑음대전 10.0℃
  • 맑음대구 10.0℃
  • 구름조금울산 9.5℃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8.7℃
  • 흐림제주 11.8℃
  • 맑음강화 7.1℃
  • 맑음보은 10.1℃
  • 맑음금산 9.3℃
  • 맑음강진군 11.1℃
  • 구름조금경주시 8.3℃
  • 구름많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육’ 보다 ‘정치’…학부모는 피곤하다

‘교육’보다 ‘정치’ 앞세운 진보 교육감 행보
취임과 동시에 행해졌던 교육감들의 정치적 행보는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하다. 모든 교육적 의제들을 정치화하며, 사사건건 중앙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특정 집단과 정치적 이념과 행보를 같이 하면서 교육현장을 정치판으로 만들어 갔다. 진보 교육감들이 특정 집단의 호위무사도 아닐진대 ‘교육’보다 ‘정치’를 앞세운 행보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는 동안 공교육의 신뢰는 땅에 떨어졌고, 성적 부담과 학교폭력으로 스러져간 학생들의 슬픔은 갈수록 깊어졌다. 학교 교육이 출구가 보이지 않는 절망의 미로에 갇혀 있어도 그들에게는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던 같다.

실제로 지난 2년 동안 학생과 학부모에게 보여준 이들 교육감의 행보는 누리과정 예산 및 역사 교과서 발행체제 논란을 핑계로 교육부와 힘겨루기 하는 모습뿐이었다. 청와대 앞 1인 릴레이 시위와 걸핏하면 공동 대책 회의, 공동 기자회견 등으로 자리를 비우고, 정작 중요한 현안 등에 대한 해결 의지는 보이지 않은 채 2년이란 소중한 시간을 허송세월로 보내고 말았다. 이 같은 갈등과 대립은 학부모들에게 심각한 피로감을 안겨주었고 결과적으로 교육정책에 대한 불신만 키웠다.

범위를 좁혀 학부모 입장에서 살펴봐도 아쉬운 점이 많다. 남들 쉬는 연휴에도 출근해야 하는 열악한 환경 속에 있는 ‘워킹맘’들의 교육적 고통을 진심으로 헤아려는 보았는지, 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는지 묻고 싶다. 또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거리를 방황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선도 방안은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는지, 온갖 위험에 노출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적절한 대응책은 세워놓고 있는지 답답할 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학부모가 만족하고 아이들이 즐거워하는 학교를 만들기 위한 교육철학과 비전을 가지고 있는지 실로 궁금하기 짝이 없다.

학습 부담 없애는 것만 좋은 교육인가
사교육비는 또 어떤가. 교육부와 통계청이 지난 4월 26일 발표한 ‘2015년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최근 3년(2013~2015년) 사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전북으로 6.2%였고, 이어 경기(4.6%), 충남(3.4%), 서울(2.9%), 인천(2.6%) 등이었다. 사교육비가 많이 오른 지역은 공교롭게도 진보 교육감이 이끄는 지역과 일치한다. 교육전문가들은 진보 교육감들이 이끄는 지역은 정책의 중심이 아무래도 ‘학력 향상’보다 ‘학생 인권’ 등에 집중돼 있다 보니 불안감을 느낀 학부모들이 학원으로 몰려가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진보 교육감들은 경쟁을 부추긴다며 시험으로부터 자유를 주장하고, 학생 인권이란 미명 아래 절제와 방종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버리는 것이 좋은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라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모든 개인적 성취는 피나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루어진 아름다운 산물이다. 힘들고 어려운 과정을 인내하고 극복하면서 소중한 개인적 소망을 이루는 것이며, 그것을 깨우쳐주는 것이 곧 교육이다. 훗날 성인이 된 그들이 일하기 싫다고 투정하면 어떻게 하겠는가. 사회 규범이 귀찮고 거추장스러우니 자기 멋대로 하고 살겠다고 한다면 또한 어떻게 하겠는가.

교육이란 마땅히 행할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진보 교육을 표방하는 일부 교육감들은 이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에게 당장 눈앞의 달콤함만을 선물하려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힘들고 어렵지만 모두가 지켜야 할 사회적 도리와 소중한 가치를 일깨워 주는 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고민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