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영양교사 5년 차인 홍화진(서울 남대문중) 교사는 출근하자마자 새벽에 들어온 돼지고기와 김치부터 살폈다. 오늘은 야심 차게 개발한 특제 레시피를 선보이는 날. 지치기 쉬운 계절, 학생들의 입맛을 살려줄 ‘황해도 김치밥’을 점심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쌀과 김치, 고기를 한데 놓고 밥을 한 다음 양념간장에 쓱쓱 비벼 먹으면 별미 중 별미다. 한바탕 전쟁 같은 조리과정이 끝나면 학생들 급식시간. 오늘따라 잔반도 별로 없다. 맛있게 먹었다는 증표 같아 뿌듯하다. 교육청에서 보내온 공문들 몇 건 처리하고 한숨 돌리는가 싶었는데 일정표를 보니 영양상담이 잡혀있다. 보건교사와 사회복지사 등과 함께하는 건강 동아리활동이다. 돌도 씹어 먹을 나이라지만 군것질을 너무 많이 하는 것 같아 적정 칼로리 섭취를 주제로 잡아 교육을 했다. 몸매에 관심이 많은 또래여서인지 “그러다 살찐다”며 은근히 겁을 줬더니 먹혀든 눈치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영양교사의 하루영양교사들은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 안전하고 맛있는 학교급식은 물론 학생들의 영양·식생활교육까지 그 중요하고 어려운 것을 해내는 급식실의 ‘태양의 후예’들이다. 일선 학교에 영양교사가 배치된 것은 지난 2007년.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지금, 이제 그들은 안전한 먹거리 책임자로, 또 밥상머리 인성교육 선생님으로 자리 잡았다. 명실상부 교사로서 굳건한 위상을 차지할 수 있었던 데에는 영양교사들의 연구모임인 서울초중등영양교육연구회(이하 연구회)의 역할이 결정적이다. 연구회는 지난 2010년 영양교사의 권익 신장과 전문성 강화에 목적을 두고 출범, 현재 60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는 단체다. 서울시교육청으로 부터 2년 연속 우수 교과연구회로 선정될 만큼 탄탄한 실력을 갖추고 있다.
“급식과 수업 모두를 잘하는 완벽한 영양교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학생들이 체감하는 영양·식생활교육과 학교급식의 교육 효과를 높이는 연구 활동에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연구회 김옥자 회장(서울대현초)은 “영양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자질 향상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는 영양교사 각자가 자신이 몸담고 있는 학교를 대표해 학생들의 영양교육과 건강급식을 책임진다는 큰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양교사 전문성·권익 신장 위해 연구회 출범
실제로 연구회는 지난해 전국 영양사 학술대회를 비롯해 융·복합 영양상담 직무연수, 공개수업, 수산물 요리 수업, 튼튼이 캠프, 학교급식 요리법 발간, 자살예방 봉사활동 등 다양한 연구 활동을 선보였다. 특히 수산물 쿠킹클래스는 학교급식에 적합한 수산물 요리 시연과 실습을 선보여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최근에는 영양교사와 학생들 간 스킨십을 확대하는데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급식에 치중하다 보니 일부 영양교사들 중에는 학생들과의 교감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지난해 영양상담을 통해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방법을 다룬 직무연수가 좋은 반응을 얻은 것도 이 때문이다. 연구회는 현재 개발 중인 영양수업 방법론 교재가 완성되면 교사들에게 보급, 도움을 줄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이들이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영양·식생활교육. 김 회장은 “식생활 예절과 올바른 음식 섭취를 통해 평생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능력을 기르고, 농부의 마음에서부터 환경보호까지 생각케 하는 밥상머리교육”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예컨대 학생들이 직접 식재료를 선택하고 친구들과 함께 요리를 하는 것으로 영양·식생활 교육 실습은 시작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나 혼자 보다 여럿이 어울리고 협동해야만 영양 좋고 맛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다는 이치를 자연스레 깨닫는다. 그리고 우리가 먹는 식재료를 만들기 위해 농부가 얼마나 많은 땀을 흘려야 했는지, 또 깨끗한 환경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느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최근 몇 년 새 학교급식의 교육적 기능이 부각되면서 급식을 통한 인성교육이나 진로교육이 강조되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학교급식은 교육급식… “실생활에 녹여 내는 게 중요”
“학교급식은 교육적 의미를 지닌 ‘교육급식’입니다. 급식과 교육이 수레바퀴처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죠.” 연구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김정선(서울수유초) 교사는 “학교에서 단순히 점심만 먹고 가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먹을까?’, ‘어떻게 먹을까?’ 고민하는 과정을 교육으로 녹여내 건강한 신체와 바른 심성을 기르는 것, 그것이 교육급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교급식이 행복한 삶을 배우는 교육생태계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과 긍지를 느낀다”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