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좋은 생활지도는 무엇일까? 아마도 학생들이 사건을 통해 한 뼘 더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것은 어쩌면 ‘아이들의 특권’일지도 모르겠다. 교사가 해야 할 일은 사건을 계기로 아이들이 한 뼘 더 성장하고, 더 깊은 우정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지혜를 모으는 일이 아닐까?
6월, 어느덧 1학기가 지나간다. 교단의 봄은 긴장의 계절이다. 인사이동, 새 업무, 새로운 동료와 학생들, 그리고 낯선 학부모…. 신학기 긴장은 1학기 내내 풀리지 않는다. 낯선 환경에 대한 심리적 부담은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15평 남짓한 교실 속에서 쉽게 자신을 드러내지 못한 채 서로를 탐색하며 1학기를 보낸다. 어느 정도 서로의 성향을 파악하면 나름의 판단으로 삼삼오오 그룹을 형성하면서 ‘따돌림의 기운’이 서서히 만들어진다. 3년 전 겪었던 학급내 따돌림도 그랬다.
사건의 발단은 사이버 불링(cyber bullying) 1학기가 지나면서 우리 반 여학생은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저마다 깔깔거리며 급식, 이동수업, 하교 등 서로 무리 지어 다녔다. 그러던 어느 날 선희(가명)가 다른 그룹의 아이들과 함께 종알대며 지나가는 것을 보았다. 의아했지만 그냥 무심히 넘겼다. 그로부터 몇 주가 지난 후, 쉬는 시간에 잠시 교실에 들렀을 때 선희는 몇몇 여학생들에게 둘러싸여 울고 있었다. 이유를 물었지만 아무도 대답하지 않은 채 서로 눈치만 살폈다. 사태의 심각성이 느껴졌다. 우선 상황 파악을 해야만 했다.
생활지도 1단계 : 상황 파악하기 혼잣말처럼 넌지시 학생들을 향해 한 마디 던졌다. “선희가 우는데 이유를 알 수 없으니 맘이 무겁네….” 전략이 통했는지 한 학생이 다가와 나름 심각한 이야기를 전해줬다. 연주(가명)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선희 욕을 하자 선희 남자친구가 연주에게 같은 방법으로 맞대응했고, 선희와 그 친구들이 연주에게 욕을 하고 나면 이번엔 연주 친구들이 선희를 공격하는 등 자기들끼리 치고받고 하는 상황을 반복하다 결국엔 연주가 집단 따돌림당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상황 파악 Tip 교사가 진지하게 ‘무슨 일이야. 왜 울고 있어. 아는 사람 말해봐’ 등 다그치듯 물어보면 학생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입을 더 다문다. 따라서 ‘너희를 혼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학생을 돕고 싶은 것’이라는 교사의 마음을 전달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대화가 학생들의 협조를 끌어내는데 효과적이다. ● “선생님이 돕고 싶은데 무슨 일인지 알 수가 없으니 안타깝네.” ● “너희도 친구가 걱정되나 보구나. 우리가 함께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있을 텐데, 뭐라도 알고 있는 사람 있니?”
생활지도 2단계 : 학생 상담하기 먼저 선희와 연주가 속한 그룹 학생들을 차례로 상담하였다. 선희 그룹 아이들과 연주 그룹 아이들은 저마다 자신의 입장에서 상대편 잘못을 끄집어내기 바빴다. 나는 간간이 “진짜 화났겠다”, “저런” 등의 반응을 보이면서 이후 진행되는 학부모 상담 및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등 사건처리를 준비했다.
학생 상담하기 Tip 학생들의 입장을 공감하기 위해 교사는 상황이 파악되기 전까지 어떠한 선입견도 품어서는 안 된다. 그래야만 두 집단의 입장이 모두 이해가 되며, 학생들도 자신들의 생각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을 수 있다. 두 입장을 모두 들어본 후, 교사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교통정리’이다. 여학생들의 ‘따돌림’ 문제는 대부분 오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A의 행동을 B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해하거나, 예상 밖의 B 반응에 A가 어떤 다른 의도가 있을 것이라고 넘겨짚는 것이다.
또한 이야기를 듣다 보면 여러 지점에서 아쉽고, 속상하고, 어이없고, 황당하고, 화가 나는 상황들이 있다. 하지만 아직 문제해결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어린 마음에 감정적으로 대응한 것일 뿐이라고 생각하자. 그리고 사건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비슷한 일이 반복되면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좋을지 짚고 넘어간다면 교육적 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다음과 같은 대화가 학생들과 진솔한 상담을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이다.
● “선생님은 너희를 혼내려고 하는 건 아니야. 너희가 그럴 수밖에 없었던 마음을 알고 싶은 거야.” ● “그랬구나. 너무 화가 나서 그랬구나. 그래서 너도 그런 행동을 했던 거구나.” ● “어때? 다음번에 이런 상황이 또 발생한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 같니?” ● “A는 이런 마음이었대. 그래서 네가 이렇게 반응했을 때 어이가 없었다는구나. 그래서 A도 화가 났던 모양이야. 그런데 넌 오히려 A가 화를 내니까 더 어이가 없을 수밖에…. 이해가 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