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0 (수)

  • 흐림동두천 3.2℃
  • 구름조금강릉 11.4℃
  • 흐림서울 6.3℃
  • 구름많음대전 6.3℃
  • 구름조금대구 9.2℃
  • 맑음울산 10.7℃
  • 구름조금광주 9.5℃
  • 맑음부산 12.4℃
  • 맑음고창 8.3℃
  • 제주 11.8℃
  • 흐림강화 5.3℃
  • 구름많음보은 4.0℃
  • 맑음금산 4.7℃
  • 흐림강진군 10.6℃
  • 구름많음경주시 9.7℃
  • 구름많음거제 11.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새교육>의 위기, <새교육>의 경고

“우리를 위하여 의미 있는 것이 세계 다른 지역의 사람들에게도 또한 의미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미국의 유명한 교육학자 윌리엄 킬패트릭(William Heard Kilpatrick)은 <새교육> 제90호(1961년 3월 간행)에 소개된 ‘도전하는 새 세계와 미국의 교육’이라는 글에서 ‘미국이 교육을 통해 만드는 표준이 세계의 표준이 될 것’이라는 자부심을 미국 시민들에게 심어주자고 주장하였다. 1960년 선거에서 공화당의 닉슨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어 임기를 시작한 존 에프 케네디(John F. Kennedy)는 선거 유세 기간에 “세계 각국의 청년을 미국에 초대하는 것이 미국이 세계 각국의 이해와 신뢰를 얻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주장하였다. 바야흐로 세계가 미국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었고 교육은 그 시대로 가는 지렛대였다.

새 시대 교육에 대한 기대와 실망
1950년대 후반 미국의 위기는 교육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교육을 통해 미국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신념을 전파하는 데 성공한 것이 케네디의 선거 승리 배경이기도 하였다. 그는 우수한 교사가 우수한 교육을 만든다는 신념으로 교육자치제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교사 처우개선과 소련에 대항할 수 있는 훌륭한 과학자 양성을 핵심 교육정책으로 내세웠다. 변화를 갈망하는 교사들의 마음을 얻었고, 선거에서 승리하여 미국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한국에서는 4·19혁명의 성공과 국민의 기대 속에 새로운 민주당 정부가 출현하였고, 태평양 건너 미국에서는 “이 나라를 다시 한 번 힘차게 만들어봅시다”라는 케네디의 연설에 미국 국민들이 환호하고 있었다. 개신교의 나라 미국에서 가톨릭교도로서 대통령에 출마한 최초의 후보였으며 나이 43세에 불과한 그가 주류 민족인 앵글로 색슨계가 아닌 아일랜드계였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왜 잠자고 있는가’라는 논문을 쓴 그의 능력과 약속을 미국 국민들은 선택하였다. 그가 최초로 정치적 훈련을 받은 것은 대학 졸업 직후 당시 주영 미국대사를 지내고 있었던 아버지 조지프 케네디(Joseph Kennedy)의 비서로 일했던 6개월의 경험이었다. 변화하는 미국에서 능력은 혈연을 넘어서는 덕목이었다. 친인척이 아니라 아들을 비서로 고용해도 문제 될 게 없었다.

4·19혁명으로 새로운 정부가 출범한 1960년 8월 여름부터 가을, 겨울, 그리고 1961년 봄까지 대한민국은 새 시대에 대한 희망과 현실에 대한 절망, 그리고 교육에 대한 기대와 실망의 목소리가 진동하였다. 진동은 강하였고, 이는 <새교육>도 흔들었다. <새교육>은 4·19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중단되지 않고 월간지로서 발간을 이어갔지만 1960년 6월과 7월, 8월과 9월은 합본 형태로 지면 수를 대폭 축소하여 간행하였다. 당시 아시아재단으로부터 용지 지원을 받기 시작하였던 것을 보면 재정적인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10월과 11월에는 정치·사회적 혼란도 없는 상태에서 예고 없이 간행이 중단되었고, 12월호로 속간되었다. 최소한의 지면인 48면으로 축소되어 간행된 1961년 1월호와 2월호를 보면 눈물겹다. 6만 회원 교사들의 참여 속에 만들어지는 유일한 월간지로서 한 때는 선생님들의 힘찬 목소리와 감동적 주장으로 150쪽 이상을 채우던 모습은 사라지고 50쪽 내외로 간행되기에 이르렀다. 예고도 없이 장기 휴간에 들어가기 전 마지막 호였던 1961년 2월호 편집후기는 이렇게 고백하고 있다.

6만 회원의 유일한 기관지이고 교육연구지가 이래서야 되겠나 하는 것이 편집자의 솔직한 심정이다. 1년 5회 발간이니 격월제도 못 되고 지면은 단 48페이지이고 보니 무엇을 실어야 할지? 하나도 빼지 않고 다 싣고 싶은 기사뿐인데…. 그중에서 그래도 이것만은 하고 실어보았으면 했지만 역시 어딘지 부족한 것 같고 독자 앞에 내어놓기가 부끄럽다. 발행이 1년 5회인 관계로 이번 호부터 월호를 쓰지 않고 앞으로도 통권으로 표시하게 되었으니 양찰하시기 바란다.

페이지 수를 맞추기 위해 마지막 면을 교육과 아무 관련도 없는 민의원 좌석표로 채워야 했던 편집자의 한숨 소리가 지금도 들리는 듯하다. <새교육>의 위기였으며, 이는 대한민국 교육자의 위기였다. 또한 대한민국 교육의 위기였으며, 대한민국 자체의 위기이기도 했다.

<새교육>의 위기, 대한민국 교육의 위기
4·19 학생 혁명 이후 제기된 대한교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컸다. 새로 출범한 교원노조의 합법성을 둘러싼 교사집단과 여론의 분열 속에서 대한교련의 영향력은 약화되었고, 이는 기관지 <새교육>의 위기로 이어졌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것은 <새교육>의 대응 방식이었다. 대한교련에 대한 비판의 핵심은 ‘국가 유일의 교원단체가 지금까지 교원들의 처우개선이나 근무조건 향상과 같은 현실적 문제해결에 적극적이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이런 지적에 대해 대한교련도 부분적으로 동의하였지만, 해결 방식에서는 의견이 전혀 달랐다. 노동조합 결성이 아니라 기존 조직인 대한교련의 개혁을 선택했다. 지역 교육회 대의원 구성이나 운영 방식에서 일선 교사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등 많은 개혁안을 제시하였지만 돌아선 교사들의 마음을 되돌리는 데 한계가 있었다. 적지 않은 교원들이 대한교련을 떠나 교원노조에 가입하는 현상이 벌어졌다. 적게는 2만, 많게는 4만 명이 떠났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