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진흥법이 공포된 2000년 이후 영재교육은 양적 성장을 통한 많은 발전이 있었다. 또한 영재성의 개념이 다양해지고 그 범위가 확대되면서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서점에서 영재교육 관련 서적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영재’라는 말이 붙어 있는 학원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보편화된 영재교육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양적 팽창에 걸맞게 질적 수준도 성장했는지는 의문이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부모, 학생들과 겪고 있는 영재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에 따른 대안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영재 선발에도 성적 부풀리기 만연
먼저 교사와 관련된 문제점이다. 첫째,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 부여된 교사의 권한이 너무 적다.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 즉, GED(Gifted Education Database) 학교 추천 단계에서 교사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교사의 의견이 들어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학교에서는 우리 학교 학생이라는 이유로, 제자라는 이유로 일단 최고점을 주는 경우가 많다. 다른 학교 학생들과 경쟁해야 하므로 기본 점수를 확보해 주려는 것이다.
둘째, 교사들의 인식 부족이다. 지금은 학교 규모별로 정해진 인원이 없어서 그나마 다행이지만 몇 년 전만 해도 학급 수 대비 추천 인원이 정해져 있어 대체로 해당 교과 성적과 해당 부문 수상 실적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물론 선정 결과에 대한 학부모의 항의에 대비하기 위해 공정성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있기는 했지만, 교사들 역시 영재교육대상 학생은 무조건 성적이 우수할 것이라는 선입견이 반영된 것이다. 아울러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검사를 ‘학생 줄 세우기’라고 생각하는 교사들도 상당수다. 교사의 경력이 어느 정도 되면 영재교육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영재성을 띤 학생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에도 점수로 영재성을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셋째, 영재교육 내용 구성에 어려움이 있다. 영재들 간에도 개인차가 크다. 하지만 각각의 요구와 수준에 맞게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지도교사의 관심과 역량에 따라 내용과 수준이 다르고, 학년별 위계 또한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