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교육의 성패는 수업에 의해 결정된다. 그만큼 교사가 주도하는 수업이 중요성하다는 뜻이다. 수업에 의해 학생들이 성장하고 교육과정이 완성된다. 교육개혁을 이야기할 때도 여러 가지 정책이 언급되지만 결국은 수업의 변화에 방점을 찍고 있다.
최근 학교 내에도 그 어느 때보다 교실 수업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선생님들도 교실 수업의 개선에 능동적으로 임하고 있다. 과거에는 연례적으로 하던 수업 공개를 상시로 전환하면서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고 있다.
수업 공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수업을 보는 것도 일상화됐다. 연구 수업이라고 해서 겨우 초임 선생님들의 수업만 받는데, 지금은 달라졌다. 제법 경력이 있는 동료 교사의 수업도 관찰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여기에 맹점이 있다. 선생님들의 수업이 흔들리고 있다. 자기 수업을 보여줘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권유하는 부서에서는 그냥 자연스럽게 하던 것을 보여주면 된다고 하지만 어디 그런가. 보여주는 처지에서는 무엇인가 색다른 차림을 준비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여기저기 수업 관련 연수를 찾아다닌다. 그곳에서 좋다는 수업 형식이 있으면 똑같이 해서 보여 주고 싶다.
수업이 변해야 한다는 관점도 부담스럽다. 무턱대고 과거와 결별해야 좋은 수업이라는 바람에 반성적 성찰도 없이 변화를 시도한다.
그러면서 교내 수업도 화려해졌다. 협동 수업, 토론 수업, 짝 토론 학습, 하브루타 수업, 프로젝트 수업, 거꾸로 수업, 발표 수업, 비주얼싱킹 수업, 컴퓨터 활용 수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다.
수업 공개를 위해 수업 연수를 받고, 좋은 수업 형태를 실천하면서 수업의 성장을 하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수업이 변해야 하는 관점은 지나치게 수업 형태에 집착하게 된다. 결국 새 것 따라가기에 바쁘다. 수업이 변해야 한다는 관점보다 학생에 맞는 수업을 고민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마음을 읽어야 한다. 그리고 거기에 맞는 수업을 해야 한다. 토론 수업보다는 글쓰기에 더 관심이 있는 아이들도 있다. 글쓰기도 글로 하는 토론이다. 따라서 토론의 효과를 충분히 낸다. 협동하지 않아도 과제를 완성할 수 있는 것도 일률적으로 협동 학습으로 진행한다면 배움의 효과는 떨어진다.
수업에서 활동이 많아지는 측면도 걱정스럽다. 수업 공개를 통해서 무엇인가 보여줘야 하는 부담에 학생 활동을 많이 계획한다. 발표와 토론, 모둠별 활동, 질문하기 등 다양한 활동이 전개된다. 때에 따라서는 놀이 형태의 게임을 한다.
학습에 참여하도록 적절한 동기를 주는 것은 좋다. 그 방법이 흥미를 동반한 학생 활동이라면 효과도 있다. 학생 활동이 수반되는 수업은 흥미가 있고,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활동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수업은 학생들이 생각할 시간이 없다. 놀이 형태의 수업 분위기에 휩쓸려 배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활동을 통해 배움의 의미가 내면화돼야 하는데, 활동만 남는다. 수단이 목적이 돼 버리는 꼴이다.
최근 교실에 들어오는 다양한 수업 형태도 마찬가지다. 앞에서 언급한 발표 및 토론 수업들이 모두 학생 활동을 활발하게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활동 위주의 수업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활동이 수업을 장악함으로써 교사나 학생들은 수업의 목적을 놓치고 있다. 학생들도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는 것으로 수업에 참여를 했다고 생각하고 정작 중요한 학습 내용은 놓치고 있다.
수업에서 중요한 것은 활동 자체가 아니라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배움에 다가가도록 하는 것이다. 활동만 하고 배우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다. 활동을 하면서 활동이 주는 학습의 의미를 느끼게 해야 한다. 이런 연결 관계가 없다면 무의미한 활동이고 재미만 남는 수업이 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가 중요 관점으로 떠오른다. 학생이 스스로 사고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수업을 계획해야 한다. 이것이 학생 중심 수업이다. 학생 중심 수업이 곧 학생 활동 중심은 아니다. 학습자의 진정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 설계와 실천이 이루어지는 것이 학생 중심 수업이다. 교사가 어떻게 가르칠까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어떻게 배우는가에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