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전화 한통이 걸려왔다. 우리 지역교육청에서 신규교사 멘토링을 진행한 적이 있다. 수석교사들이 중심이 돼 신규교사들과 만나고 수업 대화를 나누면서 앞으로 교사로서의 계획을 바르게 세울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었다. 나와 만났던 선생님은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바로 임용고시에 합격한 20대 중반 남 교사로 학교에 찾아오겠다며 적극성을 보였다.
첫 만남에서 아직 대학생티를 벗지 못한 인상을 받았지만 그만큼 순수한 모습이 보기에 좋았다. 나는 학교에서 아이들과의 생활은 어떤지, 선생님들과의 소통은 어떤지, 학생과의 수업은 어떤지 등을 들어보고 싶었다. 그런데 선생님은 수업에 대한 고민이 가장 크다며 이야기를 꺼냈다. 특히 수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탓에 아이들이 많이 자거나 딴 짓을 하는 경우가 제법 많을 뿐 아니라 때로는 자존심도 상한다는 것이었다. 교사는 열심히 수업하고 있는데 학생은 자고 있으니 자존심이 상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다.
첫발을 내디딘 신규 선생님은 처음 발령받은 학교에서 얼마나 꿈에 부풀어 있었을까.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선배 교사들은 업무에 대해서는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가르쳐 주지만 수업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잘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평소 수업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물었다.
현재는 2학년 문학을 가르치고 있는데 교과서와 EBS교재를 병행해서 가르치고 있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러니 배움 중심 수업은 물론이거니와 교육과정 재구성은 아예 생각도 못한다고 했다. 수업도 거의 100%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한다고 말했다.
사실 그의 말은 일반 인문계고의 보편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지역 여건과 학교 특성 및 학생 수준을 고려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했다면 수업이 일방통행으로 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후 신규 선생님은 몇 번에 걸쳐 내 수업을 참관했다. 인근학교이긴 했지만 시간을 내서 참관하는 일은 쉽지 않았을 텐데 배우고자 하는 열의가 대단했다.
“수석 선생님! 다음에 제가 가르쳐야 할 소단원이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인데 저도 모둠수업을 통한 배움 중심 수업을 하고 싶어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나는 가급적 선생님이 ‘설명’하는 방식 말고 아이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구상해 보라고 조언했다. 다음에 만날 때 지도안을 가져왔는데 1차시는 ‘백석의 여인’이라는 소제목을 붙여 질문을 만들고 토론을 중심으로, 2차시는 백석의 연인 김영한을 중심으로 문학 지도를 그려보는 수업을 디자인했다. 정말 놀라운 변화였다. 수석교사의 여건상 직접 가서 수업을 참관해 보지는 못했지만 분명 변화된 모습의 수업이 그림처럼 그려졌다.
다시 만났을 때 신규 선생님의 얼굴은 조금은 상기돼 있는 표정이었다. 손에는 아이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결과물이 들려있었다. 처음엔 잘 할 수 있을까 반신반의 했는데 아이들이 생각보다 너무 잘 하더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자는 아이들이 한명도 없었다는 게 더 좋았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인문계고에서 이렇게 수업을 해도 괜찮은지 아직 잘 모르겠다는 걱정을 털어놨다. 나는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는 말로 격려해 줬다. 분명 같은 교과 선생님들의 수업은 강의식 수업일 텐데 신규교사 입장에서 수업을 단독으로 바꾼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겠는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교육의 본질은 인간을 성장시킴과 동시에 발달을 촉진하는데 있다. 인간은 자신의 내부에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교육은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능력을 이끌어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은 인간이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개인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키는데 필요한 사회현상의 하나다.
아이들에게도 수업은 삶이다. 교사의 판단에 아무리 교육적 가치가 있는 수업 내용일지라도 아이들의 삶과 동떨어진 내용이라면 무용지물일 것이다. 교과서만 따라가는 수업은 그래서 힘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