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2 (일)

  • 흐림동두천 -15.9℃
  • 맑음강릉 -9.0℃
  • 맑음서울 -11.6℃
  • 맑음대전 -12.7℃
  • 맑음대구 -10.6℃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0.0℃
  • 맑음부산 -9.3℃
  • 흐림고창 -11.9℃
  • 제주 1.4℃
  • 맑음강화 -13.6℃
  • 흐림보은 -16.4℃
  • 흐림금산 -15.2℃
  • 맑음강진군 -7.2℃
  • 맑음경주시 -11.1℃
  • 맑음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학종혁명]교과활동을 보충해주는 교과외활동

⑬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

두 요소 톱니바퀴처럼 맞물려야
학교생활 충실히 하는 것이 핵심

학생: 선생님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대학의 인재상과 평가요소를 살펴봐야 한다고 하셨는데, 학교마다 다르잖아요. 이런 상황에서 도대체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걱정돼요.

교사: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실제 한 대학이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30개 대학을 조사했어요. 대학별 서류평가의 공통점을 도출했는데 평가하고자 하는 역량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학생: 그럼 평가요소의 명칭만 다를 뿐 평가 영역은 거의 비슷하다는 말인가요?
교사: 네 맞아요. 학교마다 조금씩 다를 수는 있지만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이 4개 요소를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이번 시간에는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을 소개할게요. 먼저 학업역량은 선생님이 예전에 설명했듯이 학업성취도, 학업태도와 학업 의지, 지적호기심,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 탐구능력을 말해요. 

학생: 기억나요. 탐구하는 학자적인 모습이 중요하다고 하셨죠?
교사: 맞아요.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지적 호기심을 바탕으로 스스로 탐구하고 그 내용을 토의·토론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자신이 탐구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가는 것. 그것이 바로 학업역량이라는 거죠. 물론 지원학과와 관련된 교과목의 내신 성적이 좋아야 함은 당연하고요.

학생: 그런데 학종도 내신이 좋아야 한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것 같은데요?
교사: 학종에서 중요하게 보는 것이 바로 교과영역이에요. 학종은 특이한 경력을 가진 학생을 뽑는 전형이 아니에요. 고등학교 생활의 80% 이상이 교과영역이기 때문에 교과활동은 매우 중요해요. 해당전공을 이수할 학업능력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잣대가 내신 성적일 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정량적인 평가가 아닌 정성적으로 평가를 한다는 것이 핵심이에요.

학생: 전공적합성은 무엇인가요? 
교사: 전공적합성은 학생이 진로를 찾아가고 탐색하는 과정으로, 전공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그러나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할 때 무조건 전공과 관련된 활동만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아요.

학생: 그래도 전공적합성과 관련된 교과외 활동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게 아닌가요?
교사: 물론 모집단위에 맞는 활동도 의미가 있겠죠. 그러나 무조건 그와 관련된 활동을 통해 전공과 관련된 지식을 세부적으로 습득하기보다는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폭넓고 다양한 학습경험을 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에요. 

학종은 과정위주의 평가다. 학생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성장, 발전했는지를 본다는 것이다.  학교생활에서 80%는 교과활동이고 나머지 20% 정도가 교과 외 활동이기 때문에 교과활동이 상당히 중요함은 앞에서도 서술했다. 때문에 교과 외 활동은 교과활동을 보충하고 확산하는 정도로 전개하면 좋다. 
 
예를 들어 교과시간에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른 교과나 교과 외 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다. 국어시간에 정약용의 ‘보리타작’이라는 한시를 감상했다고 가정해보자. ‘보리타작’을 통해 실학사상을 배경으로 조선 후기 사회제도의 모순, 관리나 토호들의 횡포, 백성들의 고뇌 등을 배웠다면 조선 후기 사회와 경제, 정치와 행정의 실상을 더 살펴보기 위해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추가적으로 읽어볼 수도 있다. 
 
문학작품을 통해 살펴본 조선의 역사에 관심이 생겨 K-MOOC에서 ‘다시 찾는 조선의 역사와 인물’이나 ‘한국철학사, 한국지성사의 거장들을 만나다’를 수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아리원과 조선후기 시대상이나 정약용의 사상에 대한 논문을 읽고 토의·토론을 하고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는 것도 좋다. 만약 자연계열 학생이라면 ‘보리타작’에서 민중을 ‘보리’로 이해한 점에 착안해 보리의 속성을 탐구하면서 한시의 의미를 곱씹어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보리의 내력, 재배 적지, 재배 상황과 용도, 보리의 효능 등을 조사해 보면서 친구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이처럼 교과활동과 교과 외 활동이 서로 맞물리는 톱니바퀴처럼 진행된다면 자신의 학업역량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자신의 관심분야로 옮겨감으로써 전공적합성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억지로 무엇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아니라 지적호기심을 바탕으로 학교생활을 충실히 하는 것이 바로 학생부종합전형의 핵심이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