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여년 전, 처음으로 담임을 맡은 학년이 6학년이었다.
"김 선생님 고생 좀 하시겠습니다." 워낙에 개구쟁이들인데다 아이들의 학력은 함께 근무한 모든 선생님들이 걱정할 만큼 낮았다. 당시에는 학교마다 월말고사가 실시되고 있었다.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지난달 성적과, 또 친구간 비교가 부담이었고, 담임교사는 다른 학급과의 비교로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었다.
날마다 한 두건씩 사고를 일으키던 아이들이었지만 월말고사를 치르고 난 다음날은 쥐죽은 듯 고요했다. 나의 잔소리 때문이었다. 평가문항을 하나씩 풀어주다가 스스로를 억제하지 못하고 야단 섞인 잔소리를 늘어놓는 경우가 많았다.
그 날도 예외는 아니었다. 붉은색 색연필로 큼지막하게 점수를 새긴 수학 문제지를 모든 아이들에게 나눠주고서 한 문제씩 칠판에 설명을 하고 있었다.
"이 문제 그때 선생님이 중요하다고 했니, 안했니?" "공부 시간에 몇 번씩이나 풀어본 문제잖아, 이 문제 틀린 사람 손들어 봐!" 아이들은 행여 선생님의 원망이 자신에게 미치지 않을까 잔뜩 겁먹은 얼굴로 눈동자만 열심히 굴리고 있었다.
그 때였다. 맨 뒷자리에 앉아있던 문화가 앞자리의 영희에게 쪽지를 전달하고 킥킥대며 웃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장난 섞인 쪽지라니….' 나는 하던 잔소리를 멈추고 말을 하기도 귀찮다는 자세로 손가락을 까딱여 문화를 앞으로 불렀다. 모든 아이들의 눈이 문화를 향해 쏟아졌다.
문화의 겁먹은 얼굴과 쪽지를 들여다보던 나는 가만히 나의 몸을 교탁 뒤로 숨겼다. 그리고 제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풋내기 교사의 잔소리도 함께 거둬야만 했다. 아이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잔소리는 아이들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임을 알게 된 순간이었다.
공포에 가까운 교실 분위기 속에서 문화가 영희에게 전한 쪽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영희야, 선생님 남대문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