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나는 과연 어떤 아버지인가?

딸의 안경 3개를 보며

교직에서 은퇴를 하고 나니 집에서 나오는 재활용품 분리 배출은 내 몫이다. 얼마 전 플라스틱 바구니에 안경집 세 개가 보인다. 그 속에는 안경도 들어가 있다. 대학을 졸업하고 지급은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딸의 안경이다. 딸의 방에서 나온 것으로 보아 학생 시절 착용했던 것을 아내가 버리려고 내 놓은 모양이다. 딸은 서울에 머물며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

 

퇴근한 아내에게 물었다. “이 안경, 왜 내 놓았죠?” “쓰지 않으니까 버리려고요.” “가영이가 알면 버리지 말라고 할 텐데一. “갖고 있으면 뭐해요. 사용하지도 않는데一.” 이게 나와 아내의 생활방식 차이다. 아내는 필요치 않으면 버리고 필요하면 구입하는 스타일. 나는 그 안경을 딸의 분신으로 생각하고 버리지 않고 유물처럼 보관하려 한다. 또 딸이 집에 와서 활용할 수 있게 그대로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누구의 생각이 맞고 틀리다는 것이 아니다. 나처럼 생각하면 물건을 버리지 못해 온 집안이 박물관이 된다. 아내처럼 하면 집안이 정리 정돈이 된다. 아내의 생각은 지금 쓰지 않는 물건은 앞으로도 쓰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나는 잘 보관해 두면 언젠가 요긴하게 쓰일 거라는 믿음으로 사용하던 물건을 함부로 버리지 못하고 있다.

 

딸의 학창시절 안경 3개를 보며 나는 과연 어떤 아버지였는가를 생각한다. 한마디로 많이 부족한 아버지다. 딸의 안경이 몇 개인지? 딸이 몇 학년 때부터 안경을 썼는지? 안경가격은 얼마인지? 안경을 어디서 구입했는지? 안경을 누가 사 주었는지? 딸의 시력이 왜 나빠졌는지? 아버지로서 관심도 부족하고 가정교육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고 보니 현직에 있을 때에는 앞만 보고 달렸다. 교직사회 동료그룹에서 앞서가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늘 바삐 부지런히 세상을 살았다. 남보다 뒤떨어지는 것을 못 견뎌하기에 매사 성실과 노력으로 교직생활을 했다. 그 결과 자녀교육은 교직에 있는 아내 몫이 되었다.. 아내는 학교를 출퇴근하면서 병설유치원과 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통학시켰다. 자연히 아내와 자녀의 출퇴근 시각이 같았다.

 

안경 세 개를 자세히 살펴본다. 구입처가 나와 있다. 하나는 우리가 살던 아파트 상가이고 하나는 장안문 인근, 하나는 딸이 다니던 K대학교다. 그러니까 이 안경은 딸이 초, 중, 고, 대학 때 쓰던 것이다. 안경알의 크기도 작은 것, 중간 것, 큰 것이 보인다. 하나에는 노란색 포스트잇이 붙어 있다. “2000.4.2. 엄마가 안경을 썼다!” 딸이 쓴 것이다. 그렇다면 자녀는 물론 아내에게도 무심했다는 이야기다.

 

우리 딸의 주장 하나. “엄마, 아빠가 나에게 해 준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 부모로서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부부가 맞벌이 하면서 미국 교환학생, 특목고 입학에 이어 명문대학교 졸업하고 지금 K통신사에 취직하도록 부모가 도와주었다. 딸은 대학 4년 장학생을 비롯해 이 모든 것을 자기 혼자 이룬 것으로 생각한다. 부모의 도움보다 자신의 노력이 더 많았다는 주장이다.

 

품 안의 자식이란 말이 있다. 부모 품 안에 끼고 살 때 자식이지 품을 벗어나면 자식이 아니라 독립된 인간이다. 그들 나름대로 세상에 적응하고 개척하고 살아간다. 딸도 가까운 서울에 살지만 한 달에 한 번 집에 오기 바쁘다. 부모를 보아도 무덤덤하다. 우리 부부도 자식이 오면 반갑고 떠나면 떠나는 대로 고맙다. 각자 자신의 세상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나는 몇 점짜리 아버지인가? 곰곰이 생각하니 낙제점이다. 남편이나 부모가 될 준비를 하지 않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다. 자식교육은 계속 시행착오의 반복이었다. 바쁘다는 핑계로 자식이 알아서 자라 주기를 바랐다. 딸의 이름도 한자로 ‘가영(佳營)’이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 책임을 회피하고자 “가영아, 네 인생을 너 스스로 아름답게 경영하라”고 세뇌하다시피 했다. 다행이 자녀들은 부모의 바람대로 잘 자라 주어 고맙기만 하다.

 

아내의 말에 의하면 딸은 초교 2년 때 안경을 착용했다고 한다. 시력이 나빠져 더 이상의 시력 감퇴를 막고자 썼던 것이다. 어떻게 안경을 구입했느냐고 물으니 처음엔 엄마와 같이 안경점에 갔으나 나중엔 딸 혼자서 구입했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 딸은 소프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아빠보다는 엄마가 자식에 대해 관심도 많고 애정도 많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다. 무심한 아빠에서 자상한 아빠가 되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