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6 (월)

  • 흐림동두천 0.8℃
  • 구름많음강릉 3.5℃
  • 구름많음서울 2.5℃
  • 구름많음대전 2.5℃
  • 맑음대구 0.2℃
  • 흐림울산 5.8℃
  • 맑음광주 1.8℃
  • 구름많음부산 6.3℃
  • 맑음고창 2.9℃
  • 흐림제주 9.0℃
  • 흐림강화 1.9℃
  • 구름많음보은 -0.3℃
  • 흐림금산 0.5℃
  • 맑음강진군 1.9℃
  • 맑음경주시 -0.5℃
  • 맑음거제 3.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세종과 한글을 찾는 500년 역사의 길

1446년과 1957년을 잇는 이야기

 

1446년은 세종에게, 그리고 우리 역사에 특별한 해다. 그 해 3월,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 심씨가 세상을 떠났다. 소헌왕후는 세종에게 미안함과 고마움의 존재였다는 점에서 그 이별은 더욱 가슴 아팠을 것이다. 세종 즉위 직후 장인인 심온이 상왕이던 태종을 비판했다는 모함에 걸려 죽임을 당했다.(구체적인 증거가 있다기보다는 태종의 외척세력 제거 정책과 관련이 있다) 그러자 소헌왕후 역시 폐비 논쟁에 휘말리지만 내조의 공이 있다 해서 가까스로 무마됐다. 세종은 그런 왕비를 위해 특별히 ‘공비(恭妃)’란 이름으로 불렀다. 세종 14년, 왕비에게 이런 미칭(美稱)을 부른 적이 없다는 지적에 그만뒀지만 세종의 소헌왕후에 대한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왕과 왕비로 살아온 지 30년을 눈앞에 둔 시점에 일어난 일이다.
 

이런 슬픔 속에서 세종은 그 해 9월, ‘훈민정음’을 반포했다. 이미 3년 전인 1443년에 대략적인 완성을 보인 훈민정음(한글)이기에 이 반포는 대외적으로 공식화한다는 의미가 컸다. 반포 후 첫 작업은 왕비의 명복을 바라는 글을 짓는 것이 됐다. 바로 <석보상절(釋譜詳節)>.

 

세종은 둘째 아들인 수양대군에게 명을 내려 석가모니의 일생과 그가 남긴 설법을 한글로 번역하게 했다. 이를 책으로 엮기 위해 아름답기로 유명한 금속활자 ‘갑인자’에 ‘한글 활자’가 추가로 제작됐다. 1466년은 훈민정음이 반포된 해이자 한글로 인쇄된 첫 번째 책이 나온 해가 되는 것이다. 그 배경에는 소헌왕후를 생각하는 세종의 마음과 ‘훈민정음’ 반포가 연결돼 있다.
 

1957년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사전인 <우리말 큰 사전>이 완성된 해다. 사실 한글 사전의 완성은 훨씬 늦춰질 뻔했지만 그로부터 12년 전,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난 덕분에 가능했다.
 

 

1945년 9월 8일, 그러니까 광복을 맞이한 지도 그럭저럭 20여 일이 지난 날 들려온 소식은 노(老) 한글학자들이 눈물을 흘리게 했다. 서울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2만6500매의 원고뭉치가 발견됐는데 바로 잃어버린 줄 알았던 <조선말 큰 사전> 원고였기 때문이다. 이 원고는 한글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세종이 창제한 한글은 세종과 세조 때를 지나자마자 대부분의 사대부에게 외면을 받았다가 근대에 들어오며 가치를 다시 인정받았다.

 

하지만 곧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며 한글은 다시 위기에 빠졌다. 이른바 ‘국어’가 일본어인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말을 지키고 널리 펴기 위해서는 사전, 그러니까 <조선말 큰 사전>의 편찬이 급선무였다. 사전이 없다면 집요한 일본어의 공세 속에 정체성을 잃는 것은 시간문제였기 때문이다. 
 

사전을 편찬한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먼저 ‘맞춤법’이 정리돼야 하고 ‘외래어표기법’도 정리돼야 한다. 또 사전에 들어갈 ‘표준어’도 정해야 한다. 곧, 사전을 만드는 것은 낱말을 모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우리말과 우리글에 대한 총체적인 정리’ 작업인 것이다. 다행히 1929년 ‘조선어학회’가 시작된 이래 사전 편찬을 위한 사전 과제들을 하나씩 정리해갔다. 1941년 1월 15일을 마지막으로 <외래어표기법통일안>이 완성됐다. 이제 병행해 오던 사전편찬 작업도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지만 청천벽력 같은 일이 일어났다. 
 

1942년 일제는 ‘조선어학회 사건’을 날조해 한글 학자들을 잡아들였다. 33명이 기소되고 48명이나 취조를 겪는 재판이 시작됐다.(참혹한 고문이 이어졌는데 결국 이윤재, 한징 두 명이 재판과정에서 숨을 거뒀다) 당시 재판은 함흥에서 열렸는데 처음 이 사건의 빌미를 제공했던 것이 함흥의 영생고등여학교 학생과 교사(정태진)였기 때문이다.

 

마침내 이극로 등 5명에게 실형이 내려졌는데 이 가운데 4명은 상고를 했다. 한글 연구가 죄가 되는 선례를 남길 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이렇게 해서 이 사건은 서울 고등법원으로 이관될 뻔 했지만 1945년 8월 13일, 일제의 고등법원은 이 사건을 기각했다. 광복 이틀 전의 일이다.

 

 

8월 17일 풀려난 사람들을 비롯해 학회 회원들은 일제에게 압수당한 사전 원고를 백방으로 찾아 나섰지만 찾을 수 없었다. 다시 십 수 년의 노력을 들여야 한다는 생각에 한글학자들은 눈앞이 캄캄했을 것이다. 그러던 중 기적처럼 원고를 찾은 것이다. 나중에 조사된 바에 따르면 이 원고는 4명이 서울 고등법원으로 상고하면서 증거자료로 보냈던 것이다. 만약 상고가 없었다면 불에 태워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훈민정음’에서 ‘우리말 큰 사전’까지 시련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이승만 정부의 한글 간소화 파동(한글파동)이다. 1953년 이승만 대통령은 한글맞춤법이 복잡하다고 여겨 간소하게 줄일 것을 발표했다. 1955년 철회되긴 했지만 이 안이 통과됐다면 우리는 ‘낫/낱/낮/낯/낳/났’을 모두 ‘낫’으로 적을 뻔 했다. 사전 작업이 이미 1~3권까지 나온 상황에서 이 법안에 따를 경우 작업을 새로 시작해야 했다.

 

이런 ‘낫 뜨거운’ 아니 ‘낯 뜨거운’ 당시 주장은 이승만 대통령이 일제강점기 전에 미국으로 가 있는 동안 변화, 발전한 한글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었다. 어두운 시절, 우리말과 글에 위기가 닥쳤지만 우리 국민과 한글학자들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냈는데 그 역사의 가치를 몰랐던 것이다. 결국 1957년 6권이 나오며 우리도 우리말 사전을 갖게 됐다. 한글을 반포한 뒤 무려 511년 만의 일이다.

 

 

1446년 반포한 ‘훈민정음’은 시련을 겪었지만 1957년 ‘우리말 큰 사전’으로 그 가치를 이어나갔다. 두 역사 속 사건의 시간은 500년이 넘지만 놀랍게도 그 사건이 펼쳐진 공간은 채 몇 킬로미터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다행스럽게도 훈민정음을 반포한 시절의 역사 현장을 찾아보고 바로 20세기, 조선어학회 사건과 한글운동의 중심지로 이동할 수 있다. 
 

처음 가보면 좋은 곳은 경복궁 서쪽, 통인시장 입구 근처다. 거기에 세종이 태어난 곳을 알리는 표석이 있다. 그래서 이 동네를 ‘세종마을’로도 부른다. 여기는 원래 태종의 집이 있던 곳으로 조선시대에는 준수방으로 불렀다. 다음은 경복궁으로 옮겨가면 된다. 넓디넓은 경복궁 가운데 근정전을 중심으로 하는 사정전 영역, 강녕전과 교태전 영역과 함께 경회루와 수정전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이지만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을 겪은 뒤 한참동안 나라의 중심 역할을 하지 못했다. 정종은 즉위하며 개경으로 갔고 태종은 한양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창덕궁을 지어 경복궁에서는 경회루 정도만 썼다. 경복궁이 본격적으로 역할을 찾은 것은 세종 때다. 이때 지금의 수정전 자리는 당시에 집현전이었으니 근정전과 수정전, 경회루와 강녕전을 잇는 길은 세종의 정치를 이해하는 중심 공간이라고 할만하다. 
 

이제 궁궐 밖으로 나서자. 시대는 일제강점기와 현대로 넘어온다. 경복궁 동쪽의 북촌에는 ‘조선어학회’가 있던 곳이 있다. 그리고 광화문광장 서쪽, 세종문화회관 근처에는 ‘한글가온길’이라 해서 한글의 역사를 살펴보기 좋은 장소로 답사 코스가 마련돼 있다. 이 가운데 주시경, 헐버트 두 사람의 한글에 대한 업적을 기억할 수 있는 ‘주시경 마당’과 세종로공원(세종문화회관 북쪽 마당)에 있는 ‘조선어학회한말글수호기념탑’을 살펴보면 좋겠다. 조선어학회 사건에 대한 전말과 그 사건을 견뎌야 했던 한글학자들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
 

한글이라는 긴 역사를 잇는 길이라고 하기에는 그 거리가 무척이나 짧지만 거기에서 새길 역사의 의미는 결코 가볍게 볼 수 없을 것 같다. 한글의 500여 년을 생각하며 다음 500여 년을 이어갈 한글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 지 생각해보면 어떨까.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